1 |
김경화(1987). 성 차에 따른 과학과 학습 태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2 |
이일수(2000). 고교생의 감성지능과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의 관계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3 |
이재천(1992).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측정도구 개발 및 과학불안 경향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4 |
이정옥(2000).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이 유아의 감정이입 및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 |
황재기(1998). 청소년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적응행동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6 |
Golman, D.(1995). Emotional Intelligence. Brockmann Inc., USA
|
7 |
Sutarso, T., Baggett, L. K., Sutarso, P., & Tapia, M.(1996). Effect of Gender and GPA on Emotional intelligence. ED40641O
|
8 |
김진비 (2002). 과학불안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과 학생의 특성에 따른 과학 불안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9 |
윤정민(1997). 중학생들의 기질이 과학태도 및 성취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
10 |
곽윤정(1997). 정서지능의 발달 경향성과 구인타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1 |
Wynstra, S. & Cummings, C.(1993). High school science anxiety. The Science teacher, October, 18-21
|
12 |
류광선(1999). 정서지능 향상 교육프로그램이 정서지능과 도덕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3 |
전형렬(1999). 초등학교 아동의 정서지능 발달 및 정서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14 |
정홍섭(1996). 정서지능, 일반지능 및 정서안정도와 대학생의 적응과의 관계. 부산교육학연구, 9(1), 103-123
|
15 |
Westerback M. E.(1990). Science knowledge and the reduction of anxiety about teaching earth science in exemplary teachers as measured by the science teaching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5), 361-374
DOI
|
16 |
Golman, D.(1996). Emotional Intelligence, why it can matter more than IQ. Learning, 24(6), 49-50
|
17 |
김은량(1991). 중 고등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18 |
Mayer, J. D. & Geher, G.(1996).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22, 89-113
DOI
ScienceOn
|
19 |
Fraser, B. J.(1981),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Macquarie University
|
20 |
Wierzbicki, M.(1993). Use of MCMI subtle and obvious subscales to detect faking.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9(6), 809-814
DOI
ScienceOn
|
21 |
Salovey, P. & Mayer, J. D.(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
22 |
Mallow, J. V.(1986). Science anxiety: fear of science and how overcome it, Sunnydale, Blvd: H&H Publishing Co., Inc
|
23 |
Maree, J. G., & Ebersohn, L.(2002).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Redefining giftendness?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16(3), 261-273
DOI
ScienceOn
|
24 |
임선빈, 조수연, 노성향(2001). 중학생을 위한 정서지능-정서지능 향상을 위한 50가지 활동. 양서원: 서울
|
25 |
박순옥(2001). 감성지능을 높이기 위한 미술교육 모델 연구. 전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26 |
Ediger, M.(1999). Affective Objectives in community college science. ED 436218
|
27 |
고영희, 김재복(1982). 수업전략. 배영사: 서울
|
28 |
Czerniak, C. & Chiarelott, L.(1984). Science anxiety: an investigation of science achievement, sex and grade level factor. ED 243672
|
29 |
강미자(1997). EQ와 수학의 학업성취도 및 EQ와 IQ의 상관성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