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6623/KSSR.2019.61.10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Terrorism Scale in Korea  

Chung, Jong-Woon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경찰학)
Kwack, Dae-Gyung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Sim, Hye-In (동국대학교 경찰행정학과 범죄학)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Security Journal / v., no.61, 2019 , pp. 235-2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a factor structure regarding the criterion of terror awareness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provides information whether the criterion fits in the analysis of terror awareness in Korea or not. Data of 176 public officials working at the National Assembly collected in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curity in the National Assembly Building」(Choi O-Ho and others, 2016) was used in the analysis. Study results showed the fit statistics of 3 questions regarding concern in terror, 5 questions regarding cognition of terror occurrence, 3 questions regarding countermeasure of terror, and 3 questions regarding equipments against terror satisfied the standard. Also, standard regression coefficient exceeded the standard and was shown to be fit. Concern in terror, as a latent variable, was below the standard value of average variance extracted. However, focused validity was secured by obtaining other values fit. This study proceeded distinct validation test to supplement data.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criterion level was fit. Thus, further survey should include questions that are appropriate to measure the awareness of terror based not only on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but also on questions of terror awareness tested in this study. Such development in surveys will support the means of data measurement.
Keywords
Terrorism Concern; Terrorism Recognition; Terrorism Response; Counter-terrorism Equipm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유인일 (2011). 뉴테러리즘 대응관리체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군의 역할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유재두 (2013). 북한 테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연구. 한국테러학회보, 6, 72-96.
3 이대성 (2004). 한국의 테러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이만종 (2018). UN지정 테러단체의 활동추세와 대응방안. 대테러연구, 40, 124-186.
5 이만종, 김강녕 (2010). 북한의 테러 가능성과 대비전략. 한국테러학회보, 3, 7-52.
6 이민영 (2017). 예시 사진과 집단주의 성향이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61(6), 177-200.
7 이민영 (2018). 테러 뉴스의 서술 수준과 예시 유형이 테러 관련 인식과 정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1), 153-185.
8 최오호, 이주락, 오병일 (2017). 국회청사 테러 인식에 관한 연구. 의정논총, 12(2), 277-297.
9 강병진 (2012). 요인테러의 경호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강부순 (2019). 테러리즘 공포의 설명요인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김용현, 박영주 (2011). 한국의 안보상황 및 안보정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에 관한 연구. 군사논단, 65, 115-138.
12 김종열 (2013). 테러리즘 발생위험과 대응체계에 관한 한국 경찰관의 인식 및 함의.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효준, 박헌영, 안병수 (2011). 테러리즘에 대한 특수경비원의 인식분석.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7(4), 273-285.
14 박헌영 (2011). 특수경비원의 테러리즘 인식에 대한 실증적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박헌영 (2013). 테러발생에 대비한 한국 정치인 경호체제 구축방안.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백수웅 (2019). 테러방지법상 테러개념에 관한 법제적 고찰. 원광법학, 35, 221-237.
17 최진혁 (2010). 산업보안 활동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CPTED 기법의 유용성 분석.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최창호, 유연우 (2017). 탐색적요인분석과 확인적요인분석의 비교에 과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0), 103-111.   DOI
19 한성일, 황의갑 (2016). 테러에 대한 두려움이 정부의 사생활 침해 우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테러학회보, 9, 22-39.
20 황화철 (2009). 심리적거리가 지각된 위험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통과학연구, 7(2), 63-87.
21 Cho, H., Lee, J. S., & Lee, S. (2013). Optimistic bias about H1N1 flu: Testing the links between risk communication, optimistic bias, and self-protection behavior. Health Communication, 28(2), 146-158.   DOI
22 Montello, D. R. (1991). The measurement of cognitive distance: Methods and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101-122.   DOI
23 Stapleton, C. D. (1997). Basic concepts and procedure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uthwest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ustin, TX, January, 23-25.
24 Van Prooijen, J.-W., & Van der Kloot, W. A. (2001). Confirmatory analysis of exploratively obtained factor structur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1(5), 777-792.   DOI
25 대테러센터 홈페이지 http://www.nctc.go.kr/nctc/index.do
26 대테러센터 (2019). 주간테러동향. 2019. 2. 1. (금).
27 최오호, 정종운, 조경연, 오병일 (2016). 국회청사 보안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회 보안인식 및 방청제도 개선을 중심으로. 국회내부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