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the Industry Security Career Education through the Middle School Free Semester  

Shin, Min-ji (중앙대학교 대학원 융합보안학과)
Lee, Chang-Moo (중앙대학교 산업보안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Security Journal / v., no.59, 2019 , pp. 133-1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ree semester system, introduced on a trial basis in 2013, has been fully implemented in all middle schools since 2016.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divided into subject activities and free semester activities with the purpose of students' dream and career exploration. While the activities of various vocational groups linked to subjects during the free semester are discussed, studies on the industrial security career education in middle schools are hard to find. In addition, the career sites that provide diverse information on career path fo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ith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have not established any program regarding industrial security.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status of career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keywords for industrial security in the career experience network currently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n-depth interview with career education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industrial security experts.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attempts to figure ou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to explore strategies for promoting industrial security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activation plan for industrial security education requires the industry security education through career network, development of industrial security education program, training and placement of professional industrial security lecturer, and establishment of support systems for experience in industrial security.
Keywords
Industrial Security; Security Education; Free Semester System; Career Education;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희진 (2011). 커리어넷을 활용한 진로지도가 인문계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유리, 이제경 (2008). 직업체험 몰입(Flow)경험과 진로결정효능감과의 관계 : Job School 직업체험 실습수업에서의 몰입경험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6(2), 75-90.   DOI
3 김유진 (2014). 효과적인 보안교육과정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 중학생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자원, 전민서, 박상호 (2016). 산업보안 현장 전문인력을 고려한 요구역량 분석 연구. 한국산업보안연구, 6(2), 7-27.
5 김지윤 (2015). 청소년 약물 중독 예방용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한 조사 및 효과 검증. 애니메이션연구, 11(4), 60-80.
6 김진숙 (2013). 아일랜드 연계학년제와 한국 자유학기제 비교. 비교교육연구, 23(6), 163-183.
7 김한호, 김상인 (2018). 청소년 범죄예방을 위한 위드 폴(K-CSI) 직업체험 효과성 검증. 인성교육연구, 3(1), 1-21.
8 김혜영 (2011). 직업체험활동을 활용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민보경 (2015). 미술 진로교육을 위한 자유학기제 동아리 활동 프로그램 개발 연구: 중학생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교육부 (2015).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행 계획 보도자료. 서울: 교육부.
11 박영숙, 강미경 (2003). 상호작용성 가상체험 기법을 이용한 청소년 사이버 성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 검증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1(1), 42-55.
12 성은모, 정효정 (2013). 자유학기제 청소년 진로 체험활동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지역사회연계 방안. 진로교육연구, 26(4), 49-63.
13 신성례, 하나선 (2002). 청소년 흡연 예방을 위한 자기주장 훈련 비디오 개발과 효과검증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2(3), 336-343.   DOI
14 양혜정 (2012). 커리어넷을 활용한 진로지도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의사결정능력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유정애 (2014).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른 중학교 체육진로교육의 방향과 과제탐색. 한국체육학회지, 53(6), 235-246.
16 이숙영 (2013). 정신장애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 청소년복지연구, 15(1), 23-53.
17 이창무 (2017). 산업보안 개념의 비판적 고찰.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285-303.
18 이혜숙 (2018). 자유학기제 진로탐색활동 활성화를 위한 서울시 전략. 정책리포트 제243권, 1-23.
19 최지원 (2014). 해외사례 분석을 통한 자유학기제 운영 방향과 과제: 아일랜드.덴마크.스웨덴.영국 사례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7(3), 199-223.
20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2019). 산업보안학. 서울: 박영사.
21 한지용 (2016). 자유학기제 실행에 따른 음악수업 모형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교육부 홈페이지 https://www.moe.go.kr/main.do?s=moe
23 꿈길 홈페이지 http://www.ggoomgil.go.kr
24 원격영상 진로멘토링 홈페이지 https://mentoring.career.go.kr/school/index.do.
25 커리어넷 홈페이지 https://www.career.go.kr/cnet/front/main/main.do.
26 경미연 (2009). 중학교 컴퓨터 보안교육의 현황 및 활성화 연구.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강연희 (2018). 자유학기제의 시행에 따른 음악관련 진로탐색 수업방안 연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강정희 (2013). 중학교 정보통신윤리의 실태 및 바람직한 지도 방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강주영, 이환수 (2015). 산업보안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방안. 한국산업보안연구, 5(2), 85-116.
30 교육부 (2013). 중학교 자유학기제 시범 운영계획(안). 서울: 교육부.
31 권수완 (2017). 자유학기제를 통한 중학생의 체육진로에 관한 사례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