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Schlenker, B, R., & Weigold, M. F. (1989). Self-isentification and accountability. Impression management in the organization. Hillsdale, N.J:Erlbaum, 21-43.
|
2 |
Van Dyne, L., Ang, S., & Botero, I. C. (2003). Conceptualizing employee silence and employee voice as multidimentional construct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359-1392.
DOI
|
3 |
김기성, 황지연, 이환수 (2014). 보상과 조직몰입이 산업기술 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안연구, 4(2), 9-44.
|
4 |
김성덕 (2015). 엘리트 스포츠 지도자의 공정성이 팀 침묵현상과 팀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4(4), 373-384.
|
5 |
김영환 (2010).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경영학 박사학위논문.
|
6 |
김유리 (2010). 지각된 상사의 지위와 조직 침묵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7 |
김태은 (2000). 조직공정성과 심리적계약위반의 영향에 따른 조직구성원의 태도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8 |
박선주 (2013).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간호조직을 중심으로. 카톨릭대학교 행정학 석사학위논문.
|
9 |
서봉성 (2016). 경찰공무원의 조직침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0 |
송은일, 이종호 (2017). 시큐리티업무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50, 263-283.
|
11 |
신소영, 김창호 (2015). 산업보안정책과 준수비용이 산업보안 실무자의 행동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4(4), 139-162.
|
12 |
신현구, 이주락 (2014). 조직공정성이 산업보안담당자의 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조직애착과 임파워먼트를 중심으로. 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241-268.
|
13 |
고대유 (2014). 조직문화 인식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해양경찰조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4 |
신현구 (2014).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요인과 개인요인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5 |
유형창 (2014). 산업보안관리에 관한 뉴패러다임의 정림: 글로벌 비즈니스를 중심으로.한국경호경비학회지, 39, 357-386.
|
16 |
이미경 (2017). 종엄원침묵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 조직공정성, 상사신뢰,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7 |
이성규, 채명신 (2014). 산업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대한경영학회지, 27(6), 927-953.
|
18 |
이영일, 송봉규 (2012). 산업보안수준 평가방법 개선방안 연구. 경제정책연구, 2(1), 1-38.
|
19 |
이아람 (2011). 조직침묵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수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 |
최영호 (2015).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산업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17(6), 343-366.
|
21 |
황현동, 이창무 (2016). 산업기술유출과 자기통제력, 조직애착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47, 119-137.
|
22 |
최영호 (2015). 조직문화가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산업보안정책준수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찰학회보, 55, 343-366.
|
23 |
Bowen, F., & Blackmon, K. (2003). Spirals of silence: The dynamic effects of diversity on organizational voi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40(6), 1393-1417.
DOI
|
24 |
Greenberg, J. (1987).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9-22.
DOI
|
25 |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04: 41.
|
26 |
Morrison, E. W., & Miliken, F. G. (2000). Organizational silence a barrier to change and development in a pluralistic world.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5, 706-725.
DOI
|
27 |
Price, J. L., & Muller, C. W. (1986). Absenteeism and Turnover of Hospital Employees. Greenwich, CT: JAL press.
|
28 |
Pahnila, S., Siponen, M., & Mahmood, A. (2007). Employees' Behavior Towards IS Security Policy Compliance. Proceedings of the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rence on System Sciences, 40(6), 2597-2606.
|
29 |
강욱, 전용태 (2014). 산업보안 담당자의 보안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억제이론과 합리적 선택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13(3), 273-2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