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06/KJCEM.2012.13.5.064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Turnover Intent of Architectural Design Firms  

Seo, Hee-Chang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Oh, Jung-Keun (건국대학교 건축학부)
Kim, Jea-Jun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13, no.5, 2012 , pp. 64-7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oday organizations are making considerable efforts in order to maintain excellent talent, and in particular, they are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ir intentions of changing jobs which are most highly correlated with job turnover. In the case of architectural design firms, its intensity of work is very high unlike industrial settings, and it not only takes much time to cultivate new men of talent and but also is characteristic that employees can change livery easily because of the flexible labor market. The turnover rat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dicates that specialized,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 industry including the architectural design firm has a relatively high turnover rate compared to the average of the turnover rate of the overall industries. However, studies on intentions of changing jobs until now were conducted focused on employees engaged in other industrial areas, and it is true that studies regarding intentions of changing jobs of practitioners of architectural design firms are very insufficient.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aimed to draw determinants affecting intentions of changing jobs of practitioners of architectural design firms,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 practitioners' intentions of changing jobs through importance analysis by each factor based on this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the large scale architectural design firms and the small and medium sized architectural design firms.
Keywords
Turnover Intent; Determinants; Architectural Design Firms;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정진경 (2009), "조직구성원이 이직의도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조동환.조현청.성행남 (2011), "중소건설 IT종사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영정보연구, 제30권 제2호, pp.161-184
3 강호영.박현일.김민정 (2011), "임파워먼트와 보상 공정성이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해 조직구성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제조업을 중심으로-", 회계정보연구, 제29권 제3호, PP.249-274
4 국가통계포털 (2012), http://kosis.kr
5 권채영 (2006),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경우(2008), "사회복지조사방법론강의", MJ미디어
7 김성민(2008),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욱.원영희.박준기 (2011), "노인일자리사업 실무자의 직무 관련 요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7권, pp.305-332
9 김형섭 (2005),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 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 pp.203-225
10 김희철 (2004), "건축설계 근로자의 인사평가에 관한 연구 : A사를 중심으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박인규 (2010), "호텔 종사원의 직무배태성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지, 제25권 제3호, pp.61-79
12 서동구(2001), "관광호텔의 인터널마케팅요인이 종사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서연숙.김윤찬(2007), "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교육저널, 제12권, pp.151-172
14 서철현 (2006), "호텔기업 여성종사원이 인식하는 성차별이 근로의욕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0권 제3호, pp.41-59
15 Dalton, D. R. & Todor, W. D. & Krackhardt, D. M. (1982), "Turnover overstated: the functional taxonom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7(1), pp.117-123
16 Zimmerman, R. D. (2008), "Understanding the impact of personality traits on individuals'turnover decisions: a meta-analytic path model", Personnel Psychology, 61(2), pp.309-348   DOI   ScienceOn
17 조경희.고호석(2010),"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7호, pp.404-419
18 한국경영자총협회(2008), "대졸 신입사원 채용 및 재교육 현황 조사 결과 보고서"
19 Bluedorn, A. C. (1978), "A taxonomy of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 pp.647-651
20 Cotton. J. L. & Tuttle, J. M. (1986), "Employee Turnover : A meta analysis and review with Implication for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1) pp.55-70
21 Meyer, J. P. & Allen, N. J. (1984), "Testing the Side-bet theory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me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pp.372-378   DOI
22 Mobley, W.H. (1982), "Employee turnover: causes, consequences, and control", Reading, MA: Addison Wesley
23 Poster, L. W. & Steers, R. M. (1973),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80, pp.151-176.   DOI
24 Price, J. L. (1977), "The study of turnover",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
25 Steel, R. P., & Ovalle, N. K. (1984),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Intentions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9, pp.673-686   DOI
26 Steers, R. M. & Mowday, R. T. (1981), "A model of voluntary employee turnover", Research in orhanization behavior, JAI Press, Greenwich, pp.233-281
27 양옥희.김민석.황욱선.김용수 (2011), "공동주택의 분양가 결정을 위한 영향요인 도출 및 중요도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2권 제5호, pp.127-136
28 Zeller, R. & Carmines, E. G. (1980), "Measurement in the social sciences: The link between theory and data" Includes index. Bibliography, pp. 186-193.
29 송기준.김창준.강경인 (2007), "우선수리대상 문화재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제23권 제5호, pp.211-218
30 안원찬(2009)," 제조업 근로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인 연구",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원융희(2004), "관광인사관리", 백산출판사
32 이민순 (2010), "항공사 종사원의 직무착근도가 직무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10호, pp.418-428
33 이병호.김정술 (2010), "치과위생사의 소진과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의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217-227
34 이정민 (2012), "병원 간호단위관리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일반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35 이주재 (2010), "요양보호사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연구, 제34권 제2호, pp.93-113
36 이현수.김봉기.박문서 (2012), "건설회사 신입사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13권 제2호, pp.137-146
37 이희라 (2011), "항공사의 윤리경영이 항공사 직원의 팀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개인조직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장호성.박슬기.박종승 (2010), "호텔 직원이 지각하는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2권 제5호, pp.7-22
39 정대원(2006), "호텔 인사고과 특성과 시스템 이해도가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정영주(2011), "사회복지사의이직의도에영향을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