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Priority Analysis of Work Delay Factors in Steal-frame Work using FMEA  

Lee, Hyun-Chul (전남대학교, 건축과학기술연구소)
Lee, Jae-Hong (순천대학교 건축학부)
Go, Seong-Seok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10, no.1, 2009 , pp. 91-10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actors of uncertainty such as work delay could cause many problems, for example, increase of construction cost and terms of work, and the deterioration of quality. Because of these, the uncertainty risk is regarded as an important management factor to obtain the success of construction project. So, the systematic management plan about the uncertainty factors is needed becau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ompletion of entire project. And also analysis of some factors which can cause the work delay can be one way of improving construction project's certainty and making it competitive. In this reason, we have to make an effort to set a priority based on analysis of quantitatively numerical value about work delay factors to manage them effectively.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work delay in steel-frame work which is progressive actively now, along with increasing of demand of high-rise buildings by analyzing each reasons of work delay factors and also by suggesting important management factors that are coded according to each construction work using FMEA method which could give a data about the importance of work delay factors through quantitatively numerical value.
Keywords
Steel-frame work; Work delay; FMEA(Failure Mode Effect Analysis); RPN(Risk Priority Numb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방성원 외 3인, 현장조사를 통한 철골공사 설계프로세스 개선 방안,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   과학기술학회마을
2 지근창 외 2인, 건축공사 투입요소에 의한 작업지연 원인분류 체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6
3 유정호 외 2인, 건축공사의 투입요소에 의한 작업지연 원인 분류 체계,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6
4 주해금 외 2인, 위험관리 중심의 공정관리모델,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5   과학기술학회마을
5 홍영탁 외 3인,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4
6 이은석, 일본현장의 철골공사 생산시스템과 철골조립공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5
7 한종관 외 2인, 시공자 중심의 주요 공종별 공기지연 원인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3
8 안상현 외 2인, 공동주택 공사의 작업지연요소 분석,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5
9 안재봉 외 1인, 경제적 철골제작 설치 및 공기단축 사례분석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4   과학기술학회마을
10 홍영탁 외 3인,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 공기영향 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4
11 지근창 외 2인, 건설공사의 작업지연 원인분석 프로세스,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6   과학기술학회마을
12 김영재 외 3인, 건설공사 동시발생 공기지연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4
13 이정호 외 3인, 웹 기반의 공기지연 클레임 분석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2
14 구자민외 1인, 생산성을 고려한 건설공사 공기지연 분석방법,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04
15 대한건축학회, 철골구조, 기문당 ,1998
16 김윤성, 건설업에서의 시공 FMEA적용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2 p 273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