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ethod of Quantity Data Analysis for Building Construction Cost Estimation : Focusing on Finish Work of Public Apartment Project  

Ji, Sae-Hyun (서울대학교 대학원)
Park, Moon-Seo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Lee, Hyun-Soo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Seong, Ki-Hoon (서울대학교 대학원)
Yoon, You-Sang (서울대학교 린건설연구단)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9, no.6, 2008 , pp. 235-24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Construction project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these may be carried out by contractors thus, cost should be estimated before execution. The importance of cost estimation and cost check has become increasingly emphasized in all phases of construction project that would be performed numerously. It is needed that owner have to estimate reasonable budget, and contractor should predict the bid price. However, there are lack of standard cost estimation method before quantity takeoff, cost analysis method, and cost database thus, the method of area cost, such as square foot method, is as used as ever in Korea.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ed standard cost database structure CUBE, and analysis method of item quantity per one household categorized by area type. Whereafter, database of all item quantity of finish work has been built with 90 building cost data, and validated it's availability. In this respect, the suggested method and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help enhancing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cost estimation in Korea.
Keywords
Cost; Database; Estimate; Quantity; Finish wor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효열 외 2인 (2004)." 공동주택 실적공사 표준 DB를 이용한 COST MODEL",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20권 5호, 대한건축학회, pp. 129-136
2 지세현 외 3인 (2008), "건설공사 공사비 예측 및 관리기술 발전방향: 호주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9권 2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170-181   과학기술학회마을
3 이유섭 (2003). "코스트 중요항목 분석을 통한 공사비 예측모델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4권 4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 212-219
4 김광희, 강경인 (2004). "유전자 알고리즘에 의한 신경망 구조의 최적화를 이용한 공동주택 초기 공사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눈문집 구조계, 제20권 2호, 대한건축학회, pp. 81-88
5 박우열 외 3인 (2002)," 신경망이론을 이용한 공동주택 초기 사업비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 18권 7호, 대한건축학회, pp. 155-162
6 김문한 (2006). 건축생산관리학, 기문당, pp. 251-253, 255, 260
7 손보식 (2005). "영향변수에 따른 수량변화 분석 기반의 건축 공사비 개산견적 모델",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8 이동원, 김성호 (2006) 엑셀을 이용한 현대통계학, 서울경제경영, pp. 82-85
9 김광희, 강경인 (2003). "공동주택 프로젝트의 초기 공사비 예측을 위한 신경망 학습에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모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제19권 10호, 대한건축학회, pp. 133-142
10 Ivor H. Seeley (1997). Quantity Surveying Practice, 2nd edition, Antony Rowe Ltd
11 일본 도시재생기구 본사 기술코스트 관리실(2006). 임대주택주체공사비 기준금액 일람표, 평성 18년도, 도시재생기구
12 Australian Cost Management Manual Volume 1 (2006). 3rd edition, AIQS
13 전석한, 최인성 (2005). "실적공사비 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제5권 1호, 한국건축시공학회, pp. 111-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