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Using FMEA Technique for Selecting Priority order  

Yu, Jung-Ho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Song, Ji-Won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대학원)
Kim, Chang-Duk (광운대학교 건축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v.9, no.6, 2008 , pp. 185-1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s buildings become higher and larger, the possibility of accident also increases, and recurrent accidents and serious accidents are also increasing.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control all the hazardous activities in construction site. Therefore, hazardous activities with higher possibility should be identified and prioritized in advance so engineers and managers can control the activities in safe manner.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adopts FMEA technique, which has been widely utilized in manufacturing industry. In order to apply FMEA technique i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the process of construction work is divided into sub-processes or activities. Then FMEA technique is applied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ortance of each activity from the safety perspective.
Keywords
FMEA; priority order; safety management; risk factor Evalu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동춘 외 1인(2001). "철골공사 중대해 분석을 통한 위성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권 12호(통권158호), 대한건축학회, pp217-224
2 김동춘 외 1인(2001)." 건설공사 재해정보 분석을 위한 고 발생 분류체계의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권 11호(통권157호), 대한건축학회, pp139-145
3 한국산업안전공단(2006), "2005년도 산업재해조사 보고서", http://www.kosha.or.kr
4 홍정석 외 2인(2005). "건설현장 안전관리 성공요인 분석을 통한 언전관리 활동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6권 5호(통권27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48-156   과학기술학회마을
5 홍현석 외 3인(2004)." 철골공사 재해다발 공정의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5회, 한국건설관리학회, pp123-135
6 Stamatis, D. H.(1997)." TQM Engineering Handbook", Marcel Dekker, Inc. pp 247-263
7 양용철 외 2인(2004). "건설공사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 개선과 공정관리와의 연계 운영 방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5권 2호(통권18호), 한국건설관리학회, pp139-145
8 B. H. W. Hadikusumo(2004). "Capturing Safety Knowledge Using Desing-for-Safety-Process Tool",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0 n2, ASCE, pp281-289   DOI   ScienceOn
9 홍영탁 외 3인(2004)." FMEA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공기영향요인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0권 10호(통권192호), 대한건축학회, pp183-192
10 이상용(2005). 신뢰성공학, 3판, 형설출판사, 서울, pp197-220
11 Gregory Carter(2006). "Safety Hazard Identification o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32 n2, ASCE, pp197-205   DOI   ScienceOn
12 한국산업안전공단(1992-2006.4) "건설 중대재해 사례와 대책", http://www.kosha.or.kr
13 Pyzdek, T.(2003). "The Six Sigma Handbook", McGraw-Hil, pp590-600
14 한동일 외 2인(2005). "건설공사 안전점검 현황과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기술논문발표회 논문집, 5권 2호(통권 제9집), 한국건축시공학회, pp121-126
15 김윤성(2002). "건설업에서의 시공FMEA적용 방안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3회, 한국건설관리학회, pp123-135
16 고성식 외 2인(2005). "재해사례와 위험도 지수를 활용한 건축공사 안전정보 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1권 6호(통권200호), 대한건축학회, pp113-120
17 D. P. Fang(2004). "Benchmarking Studies o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 China",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29 n3, ASCE, pp424-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