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Chang, Woo-Kwon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v.43, no.4, 2012 , pp. 403-42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a development plan on th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 a viewpoint document information and archives. This study consists of two aspects : a document investigation based on Korean diaspora and information resource and in a practical examine based on a spot of life, settlement, and movement of overseas. A lot of Korea Diaspora have immigrated to Japan, China and Russia mostly with other peopl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dominant cause. They are produced a various of document information and was formed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and archives in a library, a newspaper office and a publishing compan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looked forward to help to R&D of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in values and competencies for Korean diaspora.
Keywords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document information; archive; Korean diaspora information resource manag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정현, 장우권, 김홍길. "러시아에서의 고려인이 생산한 한글정보자원에 관한 연구: 1900-193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6), pp.357-379.
2 김필영. 소비에트 중앙아시아 고려인 문학사. 강남대학교 출판부, 2004.
3 러시아극동의 한인들: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문서와 자료, 블라디보스톡, 2001.
4 김현동, 주인영. 재중동포사회 기초자료집 I: 중국 조선족 개황. 재외동포재단, 1999.
5 리옥금, 김덕모 편. 중국조선문잡지목록색인 1954-1990. 중국 목단강 : 흑룡강출판사, 2002.
6 문헌정보학용어사전. 한국도서관협회, 2010.
7 사공복희, 장우권. "재중 조선족 정보자원 생산과 콘텐츠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제9권, 제1호(2004. 3), p.179.
8 외교통상부. 재외동포정책 및 현황(2011).
9 이광규. 러시아 연해주의 한인사회. 서울 : 집문당, 1998.
10 이명규 외. 재외한인 문헌정보자원과 실제. 서울 : 집문당, 2005.
11 이명규, 장우권. "중국 조선족 한글정보자원 생산과 출판물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4호(2004), pp.401-422.
12 이미림.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에 나타난 예술.사랑.국가." 세계한국어문학, 제4집(2010), pp.97-127.
13 임채완 외. 재외한인 정보자원 생성과 발전. 서울 : 북코리아, 2008.
14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 제37집, 제4호(2003), pp.101-142.
15 장우권. "디지털정보자원관리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30집(2012. 11), pp.7-27.
16 장우권, 사공복희. "중앙아시아에서의 한글정보자원관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2006), pp.291-315.
17 장우권 외. 재외한인의 문헌정보자원 정책과 관리. 서울 : 북코리아, 2006.
18 전형권, 이소영. "사할린 한인의 디아스포라 경험과 이주루트 연구," OUGHYOPIA: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 Vol.27, No.1(Spring 2012), pp.135-184.
19 정성호. "코리안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 네트워크로." 한국인구학, 제37권, 제3호(2008), pp.107-130.
20 최정태. 기록학개론. 서울 : 아세아문화사, 2001.
21 한국기록관리학회 편. 기록관리론: 증거와 기억의 과학. 서울 : 아세아문화사, 2010.
22 한국기록학회 편. 기록학용어사전. 서울: 역사비평사, 2008.
23 한국전산원. 국가지식정보자원 디지털화 로드맵 수립(2001. 11).
24 황유복 편. 중국속의 한글학교. 미.중 한인우호협회, 2002.
25 Bergsten, C. Fred, 최인범 외.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세계경제(The Korean Diaspora in the World Economy). 서울 : 국제경제연구소, 2003.
26 ISO, International Standard As 15489.1: 2001, 3.15, 7.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Records Management.
27 Safran, William. "Diasporas in Modern Societies: Myths of Homeland and Return." Diasporas, Vol.1, No.1(1991), pp.83-99.   DOI
28 Ф, Бугай Н. К вопросу о депор тации нородов в 30-40-х годах //История СССР, No. 6, 1989, С. 135; Правда, 24 ноября.
29 김영기 외. 문화시대의 디지털 아카이브. 전남대 출판부,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