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오승규. 자극치료학. 서울, 군자출판사, p688, 2011.
|
2 |
옥태한. 약침치료를 통한 요통환자의 호전도에 관한 임상적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6(1):184-97, 1995.
|
3 |
정혜윤, 강성길, 고형균. 小鍼刀 療法에 관한 文獻的 考察. 대한침구의학회지, 19(1):244-61, 2002.
|
4 |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이윤재, 손희정, 장보형, 서혜선, 신채민. NECA 체계적 문헌고찰메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p.287, 2011
|
5 |
이향숙, 차수진, 박히준, 서정철, 박종배, 이혜정. STRICTA(침 임상연구에서 중재 보고를 위한 표준) 개정판 : CONSORT Statement의 확충안. 대한경락경혈학회, 27(3):1-23, 2010.
|
6 |
C. Vincent and G. lewith. Placebo controls for acupuncture studies. Journal of the Royal Society of Medicine, 88(4):199-202, 1995.
|
7 |
Korean Acupuncture & Moxibubustion Society Textbook Companion Committee. Th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Seoul, Jipmoondang, p153-5, 249-54, 341-50, 412-6, 478, 2012.
|
8 |
Ko SH, Lee CC, Kang BS, Lee KJ, Lee SH. Treatment of refractory lateral epicondylitis with platelet-rich plasma. J of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13(1):59-63, 2010.
|
9 |
Kraushaar BS, Nirschl RP. Tendinosis of the elbow(tenniselbow). Clinical features and findings of hist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y studies. J Bone Joint Surg Am, 81(2):259-78, 1999.
|
10 |
Jung SH, Lee CG, Yeo IH, Sung HJ, Roh JD, Jo NY, Lee EY. A Case Study of 20 Patients with Lateral Epicondylitis of the Elbow by Using Hwachim (Burning Acupuncture Therapy) and Sweet Bee Venom Pharmacopuncture. Journal of Pharmacopuncture, 17(4):22-6, 2014.
DOI
|
11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p526-8, 2006.
|
12 |
김신제, 홍원식. 韓醫學辭典. 서울, 성보사, p157, 1991.
|
13 |
허준. 東醫寶鑑. 서울, 大星文化社, p441-4, 1990.
|
14 |
공정현. 萬病回春(下). 일중사, p.51-2, 1991.
|
15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제5판). 서울, 최신의학사, p.389, 2004.
|
16 |
엄봉군, 김정원, 김주영, 한상욱, 양기영, 조태영. 한방치료로 호전된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 4례 보고.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7(1):103-12, 2012.
|
17 |
김경태, 송호섭. 上腕骨外側上顆炎에 대한 蜂藥鍼 요법이 미치는 影響. 대한약침학회지. 9(2):1-6, 2006.
|
18 |
안근형, 이현, 이병렬. 상완골 외상과염(Tennis elbow)에 대한 봉독약침치료와 일반 침치료의 비교연구.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3(2):267-76, 2004.
|
19 |
Lee HJ, Chung MS, Kim SH, Kim JK, Baek GH. Comparison of Wrist Extension Stretching Exercise and a Wait-and-see Policy for Treatment of Lateral Epicondylitis. J Korean Soc Surg Hand, 16(2):72-7, 2011.
|
20 |
Shin HD. Sports Injury of the Elbow. J Korean Orthop Soc Sports Med, 14(2):187-92, 2011.
|
21 |
Bernhang AM. The many causes of tennis elbow. New York State journal of medicine, p1363-6, 1979.
|
22 |
김기현. 최신 침구치료학, 서울, 성보사, p643, 2002.
|
23 |
안호진, 정동화, 황규선, 윤기붕, 김태우, 문장혁, 백종엽, 이상무. 족과관절염자 환자에 대한 董氏針法과 일반침법의 효과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1):120-30, 2003.
|
24 |
Koich N(Trans. Choi DY), Zukai Keikingaku. 도해 경근학 : 기초와 임상. 서울, 신흥메드싸이언스, p.610, 2009.
|
25 |
황유진, 이건목, 황우준, 서은미, 장종덕, 양귀비, 이승훈, 이병철. 봉약침을 이용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8(5):33-41, 2001.
|
26 |
안순선, 허동석. 전열침이 급성 족관절 염좌로 인한 전거비, 종비 인대 손상에 미치는 임상적 효과.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3):119-29, 2010.
|
27 |
신대철, 이지인, 강미숙, 송호섭. 주관절 외측상과염 환자에 대한 八虛 이론에 근거한 복합침구치료 치험 2례. 대한침구의학회지, 32(2):209-16, 2015.
DOI
|
28 |
박민규, 강일아, 신민근, 김효섭, 심영호, 이준환, 이재민. 주관절 외측상과염에 대한 가열식 화침(火鍼) 치험 6례. 대한침구의학회지, 29(4):113-21, 2012.
|
29 |
박장우, 황재필, 강준혁, 김현수, 허동석, 윤일지, 오민석. 상완골 외상과염 환자에 대한 오공약침 치험 2례. 대한약침학회지, 9(3):155-60, 2006.
DOI
|
30 |
김채원, 박해인, 이용현, 이광호. 심부가열침술을 이용한 주관절 외상과염 환자 치험 13례. 대한침구의학회지, 30(2):25-30, 2013.
|
31 |
최주영, 강재희, 이현. 소염약침 병행 한방치료를 시행한 상완골 외측상과염 환자 2례에 대한 증례보고.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153-60, 2011.
|
32 |
안병준, 송호섭. 임신 중 발생한 肘關節外側上顆炎 환자 치험 1례. 대한침구학회지, 28(4):137-41, 2011.
|
33 |
김민균, 윤일지, 오민석. 봉약침으로 주관 절통증과 기능부전을 치료한 Tennis Elbow 환자의 1례 증례보고. 대전대학교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8(2):113-8, 2009.
|
34 |
임나라, 임진영, 김동웅, 이종덕, 김성철. 초음파 진단을 통한 주관절 외상과염의 침도 치료 임상 증례 보고. 대한약침학회, 14(2):53-9, 2011.
DO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