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은영, 현대 국어 감정동사의 범위와 의미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어의미학 16:99-124, 2005.
|
2 |
閔丙秀, 뉴 에이지 새 國語辭典, 서울, 敎學社, 1993.
|
3 |
박문호, 뇌 생각의 출현, 서울, 휴머니스트, 2009.
|
4 |
박주홍, 고대 서양의학 체질론과 사상체질론의 형성과정 및 내용 비교 연구, 醫史學 18(1):15-41, 2009.
|
5 |
서유헌, 바보도 되고 천재도 되는 뇌의 세계, 중앙교육연구원, 1997.
|
6 |
薛有暻, 四象醫學에서 性情의 개념과 腦와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東義大學校大學院, 2000.
|
7 |
薛有暻, 중국.조선철학의 性情과 동의수세 보원의 性情에 관한 문헌적 考察, 사상체질의학회지 11(2):51-73, 1999.
|
8 |
송일병 외, 四象醫學, 서울, 集文堂, 2000.
|
9 |
이수경, 사상의학에서는 인간을 왜 넷으로 나누는가, 사상체질학회지 15(3):62-73, 2003.
|
10 |
이철승,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동양철학연구 61:274-302, 2010.
|
11 |
임지룡, 감정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언어화 양상, 담화와 인지 6(2):89-117, 1999.
|
12 |
차경미, 감정 어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pp.13-17, 2013.
|
13 |
최현석, 인간의 모든 감정, 파주시, 서해문집, 2011.
|
14 |
황민우 외, 東武 李濟馬의 心慾과 性情에 관한 考察, 사상체질의학회지 16(2):17-31, 2004.
|
15 |
Ammar Al- Chalabi 外, 김상훈 역, 뇌를 이해하기 위한 가장 쉬운 책, 서울, 사람의 무늬, 2012.
|
16 |
Campbell, Reece, 전상학, 강성만 역, 생명과학 8판, 서울, 바이오사이언스(주), 2009.
|
17 |
Susan greenfield, 정병선 역, 브레인 스토리, 서울, 지호, 2004.
|
18 |
William K. Purves, David Sadava 등, 이광웅, 강봉균 등역, 생명:생물의 과학, 서 울, (주)교보문고, 2003.
|
19 |
김명근, 哀怒喜樂의 심리학, 개마고원, 서울, 2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