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spection and Physiognomy on the Viewpoint in Aesthetic |
SaGong, Hee-Cha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Hwang, Chi-Hyuk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Kim, Byoung-Soo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Kim, Kyoung-Shi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aejeon University) |
1 | 김경철, 이용태. 내경에 나타난 국소 부분 망진에 대한 연구. 동의한의연구 4:39-58, 2000. |
2 | 김정헌. 한국인의 얼굴 한국인의 운명. 서울, 동학사, 1999. |
3 | 王浩, 구중희 옮김. 역리학의 이해. 서울, 상명출판사, 2006. |
4 | 최화정. 마의상법의 이론적 고찰 : 마의상법의 석실신이부, 금쇄부, 은시가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008. |
5 |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 著, 김희경 譯. 朝 鮮의 占卜과 豫言. 서울, 동문선, 1991. |
6 | 진희이 저, 최인영 역. 麻衣相法. 서울, 상원 문화사, 2010. |
7 | 설혜심. 16.17세기 영국 관상학의 사회적 기능과 변천. 역사민속학 7:207-226, 1998. |
8 | Lavater, Johann Caspar. Physiognomische Fragment zur Beforderung der Menschenkenntnis und Menschenliebe. Berlin, Leipzig und Winterthur, 1984. |
9 | 한철. 얼굴과 문자 -18세기 독일 관상학의 기호론적 구상들. 독일어문학 44:201-223, 2009. |
10 | 이선희, 한중 '얼굴'의 의미확장과 개념화 양상. 中國語文學 55:411-438, 2010. |
11 | 우리히 렌츠. 아름다움의 과학. 서울, 프로 네시스, 2008. |
12 | 오주영. 한국의 미의식에 의한 장승의 조 형성 연구 : 자수작품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998. |
13 | 고바야지 신지, 김경자 역. 무용미학. 서 울, 현대미학사, 1983. |
14 | 김익달. 철학과 사전. 서울, 학원사, 1970. |
15 | 강신. 모델의 미적 표현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2004. |
16 | 오병남. 미술교육과 미학. 美術史學 2(1):49-60, 미술사학회지, 1988. |
17 | 대니얼 맥닐. 얼굴(THE FACE.. 서울, 사이언스북스, 2003. |
18 | 김광호. 시간성과 공간성을 중심으로 살펴 본 안면망진의 원리.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7(1):387-409, 1998. |
19 | 양력. 중의질병예측학. 서울, 법인문화사, 2001. |
20 | 곽노규. 감각과 신체-고대 중국의학에서 신체 지각의 문제. 의철학연구 3:77-95, 2007. |
21 | 배병철. 금석황제내경. 서울, 성보사, 1995. |
22 | 이천. 편주의학입문(영인본.. 서울, 대성문화사, 1989. |
23 | 허준. 대역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1999. |
24 | 김희봉.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 적 반성. 철학연구 89:1226-1237, 2010. |
25 | 조민환. 유가미학에서 바라본 몸. 동양철학연구 18:429-457, 1998. |
26 | 주희 저, 김진근 역. 완역 易學啓蒙. 서울, 청계, 2008. |
27 | 김현숙. 篆刻의 方圓에 관한 周易美學的硏 究. 동양철학연구 60:340-367, 2009. |
28 | 김명희, 윤천성. 현대미학의 미적 인식에 관한 고찰. 한국미용학회지 15(2):483-493, 2009. |
29 | 김석진. 대산주역강의. 서울, 한길사, 1997. |
30 | 김웅권. 미학이란 무엇인가. 서울, 동문선, 2003. |
31 | 노재욱. 노자 도덕경. 서울, 자유문고, 199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