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형원, 장현호, 유영수. 오지상승요법에 관한 임상사례 연구와 현대적 이해, 동의신경 정신과학회지, 12(1):11-27, 2001.
|
2 |
龍伯堅. 黃帝內經槪論, 서울, 논장, pp. 109-111, 2010.
|
3 |
김부환, 박현국. 황제내경에 유입된 오행학 설에 관한 연구, 1(1):161-191, 1992.
|
4 |
홍원식 校合編纂. 精校 黃帝內經,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p. 19, 35, 50, 51, 86, 99, 118, 124, 131, 217, 231, 248, 282, 341, 1974.
|
5 |
송경애, 문정순, 강성실, 최정현. 지역사회재가 노인들의 낙상공포에 관한 연구. 한국 보건간호학회지, 15(2):324-333, 2001.
|
6 |
유인영, 최정현. 경로당 이용 노인의 낙상경 험과 낙상 예측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1):14-22, 2007.
|
7 |
허정훈, 임승길, 이동현. 한국형 노인 낙상 효능감 척도(FES-K)의 타당화, 한국체육학회지, 49(3):193-201, 2010.
|
8 |
임승길. 남성 고령자의 낙상공포 수준에 따른 체력수준의 차이,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5:923-934, 2011.
|
9 |
정영미, 이성은, 정길수. 재가노인의 건강상 태에 따른 낙상실태 및 낙상관련요인, 한국 노년학, 26(2):291-303, 2006.
|
10 |
유인영. HSEP를 적용한 낙상예방프로그램이 재가노인의 신체균형과 보행, 하지근력, 낙상공포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9(1):259-273, 2009.
|
11 |
임승길. 한국형 노인 낙상공포 및 활동척도(K-SAFE)의 타당화,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0:359-368, 2010.
|
12 |
허진영. 낙상의 심리적 두려움과 감각통합이 건강한 노인의 정적 동적 평형성에 미 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2(2): 57-68, 2001.
|
13 |
Tinetti, M. E., Speechley, M., & Ginter, S. F..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Berkeley, CA: Peaceable Kingdom Press, 1988.
|
14 |
Blake, A. J., Morgan, K., Bendall, M. J., Dallosso, H., Ebrahim, S. B., Arie, T. H., Fentem, P. H., & Bassey, E. J.. Falls by elderly people at home: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Age and Aging, 17(6):365-372, 1988.
DOI
ScienceOn
|
15 |
Tinetti, M. E., & Speechley, M. . Prevention of falls among the elderly,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0(16):1055-1059, 1989.
DOI
ScienceOn
|
16 |
전병진, 이재신, 이옥자, 심문숙, 한수정, 장윤승. 농촌지역 노인들의 낙상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7(4): 99-112, 2009.
|
17 |
Murphy, S. L., Williams, C. S., & Gill, T. M. Characteristic of associated with fear of falling and activity restriction in community-living older person.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0: 516-520, 2002.
DOI
ScienceOn
|
18 |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G. Statistical power analysi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Behavior Research & Methods, 41: 1149-1160, 2009.
DOI
ScienceOn
|
19 |
Lachman, M. E., Howland, J., Tennstedt, S., Jette, A., Assmann, S., & Peter, E. W.. Fear of falling and activity restriction: The survey of activities and fear of falling in the elderly (SAFE),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 53B: 43-50, 1998.
DOI
|
20 |
Yardley, L., Beyer, N., Hauer, K., Kempen, G., Piot-Ziegler, C., & Todd, C.. Develpment and intial validation of the Falls Efficacy Scale-International (FES-I), Age Aging, 34:614-619, 2005.
DOI
ScienceOn
|
21 |
신경림, 강윤희, 정덕유, 김미영, 윤은숙, 마예원. 지역사회 여성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낙상발생빈도, 낙상두려움 및 지각된 건강상태. 한국노년학, 31(4), 1155-1167, 2011.
|
22 |
임재영, 박원범, 오민균, 강은경, 백남종. 한국노인의 낙상 실태와 위험요인: 일부 지역의 인구비례 할당 표본 조사. 대한노인병학회, 14(1): 8-17, 2010.
|
23 |
김종민. PRECEDE 모형을 적용한 노인 낙상사고 위험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24 |
Murphy, J., & Isaacs, B.. The post-fall syndrome. A study of 36 elderly patients, Gerontology, 28(4):265-270, 1982.
DOI
|
25 |
Jorstad, E. C., Hauer, K., Becker, C. & Lamb, S. E.. Measuring the psychological outcomes of falling: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3:501-510, 2005.
DOI
ScienceOn
|
26 |
권명순. 재가 노인의 낙상에 대한 지식, 두려움 및 효능감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1(2):139-147, 2010.
|
27 |
Scheffer, A. C., Schuurmans, M. J., van Dijk, N., van der Hooft, T., & de Rooij, S. E.. Fear of falling: measurement strategy, prevalence, risk factors and consequences among older persons, Age and Ageing, 37(1):19-24, 2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