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Relationships among Work Stress, Self-Efficacy and the Task Performance of the Preceptor  

Jung, Gye-Hyun (College of nursing, Daejeon University)
Park, Young-Im (College of nursing, Daeje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Haehwa Medicine / v.21, no.1, 2012 , pp. 151-1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is survey ai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work stress, self-efficacy, and task performance of the preceptor. Method: The data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15 Preceptors who have been working in four hospitals in Deajeon.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and Duncan test for group difference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 WIN 17.0 program.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work stress (r=0.193, p<0.05), self-efficacy (r=0.346, p<0.00), and the task performance of preceptor. The most predictive factors of the task performance were self-efficacy(11.5%), the job stress(2.7%), and age(2.0%). Conclusion: Nursing department supervisors need to manage preceptor to reduce work stress and to improve self-efficacy. It is recommended that work stress should be decreased and programs for increasing self-efficacy need developing in order to satisfy self-realization of preceptors and their needs.
Keywords
Work Stress; Self-Efficacy; Task Performance; Precept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수미. 프리셉터와 일반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비교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2 김매자 & 구미옥. 임상간호원의 업무스트레스에 관한 분석적 연구. 간호학회지, 15(3). 39-49. 1984
3 김종임. 자조집단활동과 자기효능성 증진법을 이용한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생리적 지수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4 강소영. 임상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5 김미애, 김혜숙, 최선숙, 김이영, 안영희, 한미정, 김순희, 공성화, 장수련, 김수영. 신규간호사 예비교육에서 실습지도자(프리셉터)의 교수 효율성(Teaching Effectivenes) 연구. 임상간호연구, 3(2), 5-33. 1998.
6 김지영. 프리셉터의 지도유형과 신규간호사의 학습유형이 신규간호사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7 김창희, 김혜숙, 조혜성, 이순옥, 함형미, 박미미. 신규간호사 배치후 교육시 프리셉터 쉽 적용 사례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0(2), 546-559. 2000.
8 류은혜. 프리셉터의 업무수행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4.
9 문경선. 프리셉터 교육이 프리셉터 역할인식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3.
10 박남정.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유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11 박상미. 정신과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12 박성석. 노인전문병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13 박수연. 프리셉터의 업무부담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3.
14 성미혜, 김자원, 김혜원. 프리셉터와 신규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도 비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7(2), 131-138. 2007.
15 송선주. 외과계간호사 프리셉터쉽 개발과 적용경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6 양남영. 프리셉터와 프리셉티의 간호 업무성과 영향요인.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35-141. 2005.
17 이미정. 간호사의 실무능력과 관련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8 이세민. 프리셉터 간호사의 직무만족와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4.
19 이영희. 프리셉터(프리셉터)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경험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0 이윤민. 간호사 업무수행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21 이정희, 김동옥. 프리셉터쉽 경험이 프리셉터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6(2), 345-358. 2000.
22 이지순, 오원옥. 간호사의 생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37(5), 676-683. 2007.
23 이혜정. 임상간호사의 성격특성, 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2.
24 조은숙. 프리셉터가 인지한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2.
25 한성숙, 양남영, 송선호. 프리셉터의 업무수행, 자율성, 임파워먼트, 조직몰입에 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9(4), 641-650. 2003.
26 Balcaine, A. & Bowler, P., Action research applied to a preceptor program. Journal of Nursing Staff Development, 13(4), 193-197. 1997.
27 Cohen, J., & Cohen, P.,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ition). Hillsdale, NJ: Erlbaum. 1983.
28 Gray-Toft, P., & Anderson, J. P., Stress among hospital nursing staff; its cause and effects. social sience & medicine, 15A, 639-647. 1981.
29 Motowidlo S. J., Manning M. & Packard J. S., Occupational stress : Its causes and consequences for job performance. Apple Psychology, 71(4), 618-629. 1986.   DOI
30 Schwirian P. M.,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nurses : A multidimensional approach. Nursing Research, 27(6), 347-351. 1978.
31 Shamian, J. & Inhaber, R., The concept and practice of preceptorship in contemporary nursing : A review pertinent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ent, 22(2), 79-88. 1985.   DOI
32 Sherer. M., Maddus. J. E. Mercandate. B., Prentice-Dunn. S., Jacobs. B., & Rogers. R., W.,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51, 663-671. 1982.   DOI
33 Virginia, E., Susan. E., Gottlieb, T. & Schwarts, F., Improving Self-Efficacy in Nursing Research. Clinical Nurse Specialist, 10(2), 83-87. 1996.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