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대한정형외과학회. 정형외과학. 서울, 최신의학사, pp583-7, 2006.
|
2 |
권순정, 송호섭. 경항통에 봉약침 치료법이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1(4):76-84. 2004.
|
3 |
Stephen I. Esses. 척추질환의 이해. 서울, 군자출판사, pp137, 201-3, 2008.
|
4 |
대한 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침구학 하. 파주시, 집문당, pp59, 64-5, 2008.
|
5 |
대한약침학회 학술위원회, 약침의학연구소. 약침학.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pp181-207, 2011.
|
6 |
권기록, 고형균, 김창환. 봉침에 대한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1(1) : 159-171, 1994.
|
7 |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침구학 중. 파주시, 집문당. pp429-435, 2008.
|
8 |
정혜윤, 고형균. 봉독약침액이 염증 및 통증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19(3): 41-50, 2002.
|
9 |
강영화, 김효은, 조명제, 김태우, 윤기봉, 김 은영.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경항통 환자의 봉약침 치료에 관한 임상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6):67-79, 2002.
|
10 |
김경태, 송호섭. 무작위 이중맹검 시험을 통한 봉약침의 경항통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2(4):189-95, 2005.
|
11 |
신화영, 김재수, 이경민. 경추 협척혈 봉약침 치료에 호전을 보인 상지 활동장애를 호소하는 경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1례. 한국한의학연구원 논문집, 16(2):119-124, 2010.
|
12 |
문자영, 송주현, 임명장, 강인, 이효은, 조 재희 외 3인. 한의학적 치료로 호전된 경추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영상의학적 변화 5례. 대한침구학회지, 24(5):229-240, 2007.
|
13 |
고형균, 권기록, 인창식. 봉독약침요법. 서울, 경희대학교 출판국. pp188-191, 2003.
|
14 |
한태륜, 방문석. 재활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pp780-1, 789, 2009.
|
15 |
허준. 정교동의보감. 서울, 한미출판사, pp360, 2001.
|
16 |
대한약침학회, 약침요법 시술지침서. 서울, 한성인쇄, pp187-94, 1999.
|
17 |
안병준, 김경태, 강미숙, 송호섭. 퇴행성슬관점염의 봉약침 치료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3(4):15-20, 2006.
|
18 |
황유진, 이건목, 황우준, 서은미, 장종덕, 양귀비 외 3인. 봉약침을 이용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의 임상적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18(5):33-42, 2001.
|
19 |
유상민, 이종영, 권기록, 이향숙.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침 치료와 봉독침, 봉약침 병행치료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3(5):39-54, 2006.
|
20 |
이대용, 이건목, 염승철, 김도호, 김대중. 중풍후유증으로 인한 견비통 환자의 봉약 침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3(4):69-80, 2006.
|
21 |
양가람, 송호섭. 흉,요추압박골절에 대한 봉약침 복합치료효과. 대한침구학회지, 25(3):29-39, 2008.
|
22 |
최주영 , 이현, 강재희, 김영일, 김정호, 이성환 외 3인. 이후통을 호소하는 초기 안면신경마비 환자에 대한 일반치료와 봉약침 병행치료의 비교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6(5): 95-103, 2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