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Wulff, H. R., S. A. Pedersen, and R. Rosenberg. Philosophy of Medicine: an Introduction.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p.160, 1986.
|
2 |
김상일. 한의학과 러셀 역설 해의-음양오행론으로 현대 논리학의 난제 풀어보기. 서울, 지식산업사, 2005.
|
3 |
Bates, D. "Scholarly Ways of Knowing: An Introduction". in Bates, D., ed. Knowledge and the Scholarly Medical Tra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
4 |
강신익. 동서의학의 신체관. 한국생명윤리학회 3(2):2-71, 2002.
|
5 |
이기백. 의학사를 철학적으로 조감하기.Yonsei J Med Hist 10(1): 249-253, 2007.
|
6 |
야마다 게이지. 중국과학의 사상적 풍토. 전파과학사. 1995.
|
7 |
김정제. 동양의학개요. 서울, 사단법인 동양의학연구소, 1977.
|
8 |
전국한의과대학 생리학교수 편저. 개정판 동의생리학. 서울, 도서출판 집문당, 2008.
|
9 |
홍원식. 정교 황제내경. 서울,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1981.
|
10 |
김광중. 동의생리학 체계. 동서의학, 19(3):5,27-31, 1983.
|
11 |
Artuhr C, Guyton and John E, Hall, 강대길 외 26인 역 : 의학생리학, 서울, 도서출판 정담, 2002.
|
12 |
백영한. 동서의학의 체계간의 협력증진, International Symposium on East-West Medicine,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1991.
|
13 |
라창수 외. 한의학총강. 서울, 도서출판 의성당, 2001.
|
14 |
김교빈. 박석준 외. 동양철학과 한의학. 서울. 아카넷. 2005.
|
15 |
유도곤. 간기능에 대한 동서의학적 고찰, 동의병리학회지, 2:60-70, 1987.
|
16 |
이정수. 해부생리학. 서울, 현문사, 2003.
|
17 |
Farquhar, J. Problems of Knowledge in Contemporary Chinese Medical Discours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24(12):1013-1021, 1987.
DOI
ScienceOn
|
18 |
김상일. A. J. 베임, 비교철학 입문, P. T. 라쥬, 비교철학이란 무엇인가. 한국철학학회. 32(1): 297-308. 1989.
|
19 |
김동광. 생명과 진화에 대한 통찰(- 스티븐 제이 굴드를 기리며). 시민과학 (통권38호). 2002.
|
20 |
Tauber, A. I., The Immune Self: Theory or Metaph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
21 |
Zaner, R. M., "Parted Bodies, Departed Souls: The Body in Ancient Medicine and Anatomy", in Leder, D. ed. The Body in Medical Thought and Practi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2.
|
22 |
황상익 , 근대 이전 서양의학의 기능적 질병관과 그 극복 과정, 한국과학사학회지, 제 17권 제1호, 1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