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6115/khea.2011.49.1.107

Life Satisfaction of Future Elderly and the Elderly  

Kwak, In-Suk (Department of Senior Welfare, Woosu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9, no.1, 2011 , pp. 107-1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evels of life satisfaction influenced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activities, personal support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 surveyed 504 future elderly people(age between 50 to 64) and the elderly(over 6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uture elderly people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life than the elderly. Second, life satisfaction of the future elderly is rarely influenced by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ereas,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s more influenced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he personal activities. Supports from neighb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more satisfying their lives. Thus, we should come up with new programs providing opportunities to attend various social activities to maximize their life satisfaction of the future elderly. For the elderly, we need systems to build social network for supports from neighbors and to provide more job opportunities and educating programs.
Keywords
self-esteem; depression; attitude toward ag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life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미령(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2 김미혜, 신경림, 최혜경, 강미선(2005),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후 삶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6(1), 91-104.
3 강민정(2003) 한국 여성노인들의 노년기 적응과 노년기 삶의 모습에 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131-146.
4 강이주(2008), 노인의 삶의 질 관련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29-142.
5 곽인숙, 홍성희(2009), 노인의 노후부양과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4), 17-38.
6 권중돈, 조주연(2000)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7 Tinsley, T., & Kaufman, E.(1985) A System of Classification Leisure Activities in Terms of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Participation Reported by Older Persons. J. of Gerontology, 40(2), 172-178.   DOI   ScienceOn
8 Cumming, E., & Henry, W. E.(1961), Growing Old ; The Process of Disengagement, N.Y.; Basic Books.
9 Chatfield, W. F.(1977), Economic and sociological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J. of Gerontology, 44, 169-171.
10 Cohen, J., & Mansfiled(1989) Employment and volunteering roles for the elderly: characteristics, attributions and strategies.
11 Pynoos, J., Cohen, E., Davis, L., & Bernhardt, S.(1987) Home modifications improvements that extend independence. In Reginer, V., and Pynoos, J, Housing for the aged; Design directives and policy considerations. New York : Elsevier, 277-303.
12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3 Stroebe, M., Stroebe, W., & Hansson, R. O.(1993), Handbook of bereavement :Theory, research and intervention. N.Y.: Cambridge Univ.Press.
14 장혜경, 최외선(2005).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성질환을 앓는 노인들의 의사소통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13-128.
15 정명숙(2007).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37, 249-274, 한국노인복지학회.
16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http://www.kostat.go.kr에서 2010년 9월 28일 인출.
17 배진희(2004).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사회복지정책, 20,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97-216.
18 홍성희(1998). 노인의 여가활동참여와 여가만족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1), 107-123.
19 홍성희, 곽인숙(2010). 세대간 노인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4(2), 177-199.
20 홍성희, 이경희, 곽인숙, 김순미, 김혜연, 김성희(1997). 노년기 생활설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5(3), 151-169.
21 심경혜(2005). 집단미술치료가 우울증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양옥경(1994). 삶의 만족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한국사회복지학, 24,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157-198.
23 윤현숙, 유희정(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24 이민숙(2005). 노인의 우울과 자살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혜자, 서명옥, 신윤아(2003). 대도시 여성노인의 정신건강과 사회인구학적 관련변수-심리적 복지감과 우울감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2(겨울), 127-150, 한국노인복지학회.
26 이신숙(2004). 자기진술에 의한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생활 실태. 한국가정과학회, 7(2). 73-81.
27 이신숙(2009). 유.무배우 여자노인의 연령, 경제상태, 신체 만족도에 따른 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6), 215-227.
28 이인정(2007).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6, 159-180.
29 김영주(2009).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 노인복지연구, 46, 77-104.
30 김재중(2007).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김재호(1987). 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김지연(2002). 자녀와의 관계와 성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박상규(2006).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785-796.
34 김태현, 한은주(2004).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 경험유무에 따른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 9(3), 81-106.
35 김효정, 최선남(2010). 회상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 성질환 입원환자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1), 99-118.
36 박경란(1988). 노년여성의 생활만족도 연구-장남부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박선영(1998). 사회적 지지가 저소득층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김성연, 박미석(2000). 도시노인의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67-84.
39 김수연(1987). 도시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김수연(2002). 음악치료가 뇌졸중환자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김수정(2006). 노인의 종교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노인복지연구, 33, 2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