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Variables Affecting Brand Relationship Quality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Chae, Jin-Mie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6, no.8, 2008 , pp. 121-1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cipher the BRQ (Brand Relationship Quality) Construct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and to identify influencing variables.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fashion product attributes and marketing communication instruments were investigated as affecting variable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50 women between the age of 20 and 50 living in Seoul and other metropolitan areas from Mar. 5 to Mar. 18, 200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frequency and percentage using SPSS (Version 15,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BRQ Construct of fashion product consumers was proved to be composed of five factors; 'self-connective love', 'pursuing symbol', 'trust', 'intimacy', and 'knowledge'. Secondly, consumption valu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RQ Construct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2%, 'Epistemic value'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BRQ. 'Functional valu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ome BRQ factors. Thirdly, explanatory power of fashion product attributes affecting BRQ was 45%. 'Aesthetic attribute' had significant effect on all BRQ factors, while 'functional attribute'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only 'pursuing symbol', 'trust', and 'intimacy'. Finally, marketing communication mixes showed 21% explanatory power and 'word of mouth' and 'display' among marketing communication mixes were found 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affecting the BRQ Construct.
Keywords
Brand Relationship Quality; Consumption value; Product attribute; Marketing communication mix;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경훈(1984). 디스플레이 디자인 소비자심리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영(1989). 생활양식유형과 의복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박성연, 유세란(2003). 소비자-브랜드 관계가 소비자 만족과 상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논총, 21(1), 37-57
4 안광호, 유창조(1998). 광고원론: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접근. 서울: 법문사
5 이윤원(2004). 소비자와 브랜드 관계의 질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정지아(1999). 여대생의 유행 선도력에 따른 자아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채진미(2006). 패션상품 소비자가 인식하는 상표관계본질 (BRQ)이 상표충성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Boote, A. S.(1981). Market segmentation by personal values and salient product attribut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1(1), 29-35
9 Dawis, R.(1991). Vocational interests, values, and preferences. In M. D. Dunnette & Hough(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2), 830-872
10 Fournier, S.(1994). A consumer-brand relationship framework for strategic brand man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11 Laaksonen, P.(1994). Consumer involvement: Concepts and research. New York: Routledge
12 박은주, 이은영(1982). 의복 선택기준에 대한 요인분석. 한국의류학회지, 6(2). 41-48
13 박태희(2003).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최민욱(2005).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적 차원과 브랜드 가상 요소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김미승(2001). 외국 유명브랜드 구매에 관한 결정 요인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우신재(1987). 의류매장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변성인(2004). 소비자-브랜드 관계의 질이 브랜드 확장 제품의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유재, 안정기(2001). 서비스애호도와 의사애호도가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 연구 12(1), 53-75
19 Bawa, K., & Shoemaker, R. W.(1987). The effects of a direct mail coupon on brand choice behavi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November), 370-376
20 김유경(2000). 브랜드 개성의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제품 특성과 소비자 요인을 중심으로. 광고연구, 49, 29-53
21 구자룡(2003). 소비자 - 브랜드 관계 유형별 브랜드 인지, 지각된 품질 및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로열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조희라(2000). 소비자와 영캐쥬얼 의류 상표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Abraham, M. L., & Littrell, M. A.(1995). Consumers' conceptualization of apparel attributes.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3(2), 65-74   DOI
24 Hines, J. D., & O'neal, G. S.(1995). Underlying determinants of clothing quality: the consumer's perspective.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4), 227-233   DOI   ScienceOn
25 Glock, & Kunz.(1990). Apparel manufacturing sewn product analysis. New Jersey: Prentice
26 Voss, P. J.(1984). Status shifts to peer influence, Advertising Age, 17(2), 1-10
27 이혜용(1982). 의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김선희(1999). 의복 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 선도력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Blattberg, R. C., & Neslin, S. A.(1989). Sales promotion: Concepts, methods, and strategi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0 김의성(1999). 광고에 대한 이야기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43, 143-167
31 Dodson, J. A., Tybout, A. M., & Sternthal, B.(1978). Impact deals and deal retractions on brand switch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 (February), 72-81
32 Assael, H.(1988). Consumer behavior and marketing action, Massachusetts: Pws-Kent & Nelson
33 서성은(1992). 소비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제품의 지식과 표상.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Simon, C. J., & Mary, s. w.(1993). The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Marketing Science, 12(1), 28-52   DOI   ScienceOn
35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1991). Why we buy what we buy :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159-170   DOI   ScienceOn
36 박성은(1998). 의복의 속성 지각이 의류 제품의 선호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7 백선영(2000).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Aaker, D. A., & Myers, J. G.(1982). Advertising management. 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9 Rao, A. R., & Sieben, W. A.(1992).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price accessibility and the type of information examine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9(2), 256-70   DOI   ScienceOn
40 Davis, S., Jeffrey, I., & Leigh, M.(1992). Promotion has a negative effect on brand evaluations-or does it? Additional disconfirming evidenc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4(2), 143-148
41 Gupta, S.(1988). Impact of sales promotion on when, what, and how much to bu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5(November), 342-355
42 Howard, J. A., & Woodside, A. G.(1984). Personal values affecting consumer psychology. Lexington: D.C. Health and Company
43 허 웅(2001). 소비자와 브랜드 간 관계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이상은(2001). 브랜드 개성과 의복속성이 상표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