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for Family Leisure - Focus on the parent of adolescent -  

Han, Sang-Keum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Paichai University)
Kim, Soon-Ok (School of Human Life Sciences, Sungkyunkwa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6, no.5, 2008 , pp. 35-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leisure for parents of adolescent children to enable them to pursue happy lives as healthy families with adequate balance of cohesiveness and adaptability and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the members of their families after parent education for family leisure. Research procedure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leisure proceeded with establishment of theory and requirement survey through precedent research, design of program, practice of program, evaluation of program and suggestion of revised program model after evaluation. On the basis of evaluation results,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leisure aiming at parents of adolescent children can conclusively be revised as follows. The first session aims at understanding of family leisure; the second session aims at improvement of learning effect through education & 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the third session aims at understanding and paying regard to their children through hobby-oriented activities; the fourth session aims at improvement of social relations through society-oriented activities; the fifth session aims at helping children education through check of communication in family-oriented activities and home-visiting education for etiquette; and the sixth session, the final session, aims at provid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on family leisure and letting them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adolescent children.
Keywords
family leisure; parent educ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family leisure; healthy family perspectiv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윤희(1990). 부부관계 . 부모-자녀 의사소통 . 가족기능 과 청소년 자녀 비행과의 관계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문숙재, 윤소영, 차경욱, 천혜정(2005). 여가문화와 가족. 서 울 : 신정
3 송성자, 전영자, 김득성(2005). 가족생활교육론. 서울: 교문사
4 안희정(2005). 부모효능감과 가족응집력 향상을 위한 부모교 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 사학위 청구논문
5 윤소영, 윤지영(2003). 가족여가의 활동유형 및 본질에 대한 연구. 여가학 연구, 1(2), 11-31
6 이민아(2006). 청소년의 가족여가활동과 가족건강성 연구 :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이상원(1986). 도시중년여성의 성인 교육 요구분석 및 그 내용 개선에 관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이은희, 민현선(2004).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여가동기와 여 가기능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6), 243-258
9 이태진(2000). 가족여가활동이 가족체계 역동성 및 생활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전귀연, 최보가(1995). 가족응집성이 청소년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1), 83-97
11 주현식(2001). 청소년의 여가활동이 스트레스해소 및 학업성 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3(1), 81-97
12 지영숙, 이태진(2001). 도시가정의 가족여가유형 : 자녀교육 기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2), 153-165
13 차갑부(1993). 성인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14 천혜정(2004). 가족여가 참여 동기 및 가족여가 활동의 효과.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8(2), 1-13
15 최규련(1997). 가족생활교육의 과제와 전망. 한국가족관계학 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22
16 최길례(2003a). 가족의 여가활동이 정서적 역동성과 가족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 구논문
17 최길례(2003b). 가족의 여가활동이 정서적 역동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3), 175-184
18 최길례, 강봉화(2003). 가족의 여가활동이 가족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1023-1034
19 한국가족관계학회(1999). 가족생활교육 : 이론 및 프로그램. 서울: 하우
20 http://www.daads.com/
21 Hennon C. B., & Arcus, M. E.(1993). Life-span family life education. Family Relations : Challenges for the future. ed. by Brubaker, T. H. SAGE Publications
22 Lamanna M. A., & Riedman, A.(1994). Marriage and family : Marriage choices and facing change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23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1983).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VI : Theoretical update. Family Process, 22, 69-83   DOI   ScienceOn
24 Robertson, B. J.(1999). Leisure and family : Perspectives of male adolescents engage in delinquent activity as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1(4), 335-358   DOI
25 김순옥, 한상금(2006). 청소년기 가족의 여가생활을 위한 부 모교육에 관한 요구도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4(11), 91-106   과학기술학회마을
26 박세혁(2002). 주 5일제 근무제에 따른 가족여가 살리기. 여 가.문화학회, 제 1회 여가.문화포럼 자료집,15-22
27 Stice, E., Barrera, M., & Chassin, L.(1993). Relation of parent support and control to adolescent's externalizing sympotomatology and substance use :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cuvilinear effect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1(6), 609-629   DOI
28 Unger, D., McLeod, L., Brown, N., & Tressell, P. (2000). The role of family support in interparental conflict and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9, 191-202   DOI   ScienceOn
29 http://www.mct.go.kr/open_content/common/searc h_view.jsp
30 Gross, I. N., Crandall, E. W., & Knoll, M. M.(1980). Management for modern family.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 Hall
31 Olson, D. H., Portner, J., & Lavee, Y.(1985). FACES III,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2 윤기영, 서지영(2001)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서원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발전, 20(1), 129-155
33 국민여가조사(2006). 문화관광부
34 정인오(1993). 사회교육기관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 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 구논문
35 http://fatherwork.byu.edu/
36 최석호(2004). 가족과 여가. 여가학연구, 1(3), 45-55
37 Small, S. A., & Eastman, G.(1991). Rearing adolescents in contemporary society :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sponsibilities and needs of parents. Family Relations, 40, 455- 462   DOI   ScienceOn
38 송말희(1998). 중년기 주부대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성인미혼 자녀와의 관계 향상을 중심으로. 숙명여자 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9 여가 나눔 여가스쿨. http://www.ygschool.net/
40 Michael, H. Popkin.(2002). Active Parenting Today. Active Parenting Publishers, Inc. Marrietta, GA, U. S. A. 현대의 적극적 부모역할 훈련 지침서. 홍경자(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993년 원저 발간)
41 한국청소년개발원(1996).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서울: 인 간과 복지
42 김정원(1999).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3 Barnes, H. L., & Olson, D. H.(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44 김숙영(2003). 가족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여가정책 방안.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세미나, 12, 46-55
45 유영주(2002). 건강가족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경희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논집, 6(1), 1-24
46 김수현(2006).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평가도구의 개발과 적용 : 부부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 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7 김외숙(1991). 도시기혼여성의 여가장애지각과 여가활동 참 여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208-218
48 부산가족발달상담센터. http://www.family1004.net/
49 Orthner, D. K.(1975). Leisure activity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over the marital care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 91-102   DOI   ScienceOn
50 Roberts, T. W.(1994). A systems perspective of parenting : The individual, the family and the social network. Brooks/Cole Publishing Company
51 Papalia, D. E., Olds, S. W., & Feldman, R. D.(1989). Human development. N. Y.: McGraw-Hill. Inc. 인간 발달 II. 정옥분 (역). 서울: 교육과학사. (1992년 원저발간)
52 김동위(1996). 성인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53 김충기, 정채기(1996). 평생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육 과학사
54 진양희(1999). 중류층과 저소득층 유아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도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Shaw, S. M.(1997). Controversies and contradictions in family leisure : An analysis of conflicting paradigm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1), 98- 112   DOI
56 오재연, 최정혜, 김행자(2003). 가족의 심리적 환경이 청소년 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4), 55-66
57 윤소영, 차경욱(2004). 여가인식, 활동유형 및 여가제약의 세대 간 비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2), 97-107
58 김경아, 이정우(2003). 청소년의 예절수행 세대전이 및 가정 생활건강성 : 어머니와 청소년기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21(4), 79-92
59 이시연(1995).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연구 : 자녀를 준 중년기 부인의 욕구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0 고갑준(1998). 가족여가활용을 통한 가족복지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1 정현숙, 유계숙(2003). 가족관계. 서울: 신정
62 하헌국, 전귀연(1998). 가족기능이 여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0(1), 193-211
63 Cicchett, D., & Toth, S. S.(1998).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erican Psychologist, 53, 221-241   DOI   ScienceOn
64 Hughes, R. Jr.(1994). A Framework for developing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s. Family Relations, 43, 74-80   DOI   ScienceOn
65 이연숙(1997). 성인을 위한 가족생활교육론. 서울: 학지사
66 Iso-Ahola, S. E.(1980). The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and recreation. Dubuque, IA: W. C. Brown
67 Mannell, R., & Douglas K.(1997). A Social Psychology of Leisure. State College, PA: Venture
68 Shaw, S. M.(1999). Purposive leisure : Examining parental discourse on family activities. In W. Stewart & D. Sandahi(Eds.), Abstracts from the 1999 Symposium on Leisure Research(p.7). Ashburn, VA: National Park and Recreation Association
69 송정아(1996). 중년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13-130
70 하헌국(1995). 가족여가지향성이 가족응집성 및 적응성에 미 치는 영향. 관광학 연구, 19(1), 105-124
71 Thrane, C.(2000). Men, women, and leisure time : Scandinavian evidence of gender inequality. Leisure Sciences, 2, 109-122
72 Olson, D. H., Russell, C. S., & Sprenkle, D. H.(1979). Circumplex model of marital and family systems I : Cohesion and adaptability dimensions, family typ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amily Process, 18, 3-28   DOI   ScienceOn
73 Harris, T., & Molock, S.(2000). Cultural orientations, family cohesion and family support in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on among African American college student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30, 341-353   PUBMED
74 이혜숙(1992). 도시 중년 주부들의 위기감과 학습욕구. 홍익 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5 First, J. A., & Way, W. l.(1995). Parent education outcomes : Insights into transformative learning. Family Relations, 44, 104-109   DOI   ScienceOn
76 이한규(2002). 주 5일제와 생활체육의 변화 및 전망. 한국스 포츠사회학회, 동계야외 세미나 자료집, 1-11
77 Olson, D. H., McCubbin, H. I., Barnes, H., Larsen, A., Muxen, M., & Wilson, M.(1982).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78 송길원(1998). 부모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사회교육적 측면에서. 안양대학교 신학대학원 논문집, 3, 29-61
79 장혜경, 정익종, 황정임, 김은경(2002). 가족문화개선 청소년 보호교육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보호위원회
80 Freysinger, V. J.(1988). The experience of leisure in middle adulthood: Gender differences and change since young adultho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81 Zabriskie, R. B., & McCormick, B. P.(2001). The influences of family leisure patterns on perception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Relations, 50(3), 281-289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