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Korean Mothers' Fervor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with a Focus on th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Kim, Song-Yee (Child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Yonsei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6, no.2, 2008 , pp. 13-2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hers' perceived social pressure regarding their children's education, social conspicuousness, competitiveness, and self-esteem on the mothers' fervor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se effects were analysed separately by residential area. A total of 231 mothers who had children attend middle school at Mok-dong and Ahyun-dong surveyed by questionnai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mothers' residential area. Mok-dong mothers have a higher perceived social pressure about child education, self-esteem, education fervor for their child, and monthly income and fathers' and mothers' education level than Ahyun-dong mothers. In Mok-dong mothers, onl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others' education fervor. Specifically, monthly income and fathers' education level were positively related to education fervor of Mok-dong mothers. Ahyun-dong mothers' social pressure about child education and self-esteem significantly explained mothers' education fervor for their child after controll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positive social pressure and positive self-esteem were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education fervor about their child.
Keywords
education fervor; social pressure; competitiveness; social conspicuousness; self-esteem;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창동(1996). 한국 교육열의 사회학 특성에 관한 연구. 교육문제연구, 8, 209-227
2 김동석(1990). 한국입시경쟁에 대한 구조적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영화, 이인효, 박현정(1993).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지수(2002). 대안학교 학부모의 교육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노현경(2006). 학부모 및 학생 관련 요인과 사교육비 지출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4(1), 97-118
6 류향곤(2004). 문화자본, 학업성취, 교육열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한국교육신문(2007. 8. 27일자). 가계 사교육비 매년 25% 급증... 효과는 글쎄. (www.hangyo.com에서 2007. 10. 21 인출함.)
8 한지혜(2004). 취학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조기교육열. 열린유아교육연구, 9(1), 219-251
9 Coopersmith, S.(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Freeman and Company
10 김경근(2003). 한국사회의 교육열과 청년실업. 교육학연구, 41(4), 87-105
11 안범희(1985). 대인관계적절성과 성향검사의 타당도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주영랑(1992). 국민학생에 대한 사교육비 지출경향 분석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나영미, 윤정혜(1999). 가계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어머니의 자녀교육열이 사교육비 지출여부와 지출규모에 미치는 영향. 한국소비자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69-395
14 추병식(1998). 집단 순응과 대리 만족의 교육열. 교육사회학연구, 9(1), 17-30
15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 서울특별시(2005). 서울통계 연보. (www.seoul.go.kr에서 2007. 12. 18 인출함.)
17 현 주, 이재분, 이혜영(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오욱환(2000). 한국사회의 교육열: 기원과 심화. 서울: 교육과학사
19 통계청(2004). 한국인의 사회지표. (www.nso.go.kr에서 2007. 12. 18 인출함.)
20 헤럴드경제(2007. 10. 9일자). 강남 8학군 가고 신외고 학군온다. (www.heraldbiz.com에서 2007. 10. 21 인출함.)
21 김용희(1993). 자기존중감 수준과 안정성이 자기편향귀인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정영숙(1996). 가계의 교육비 지출과 선별가설: 사교육비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7(2), 207-221
23 손승영(2006). 한국의 가족주의와 사회적 과시: 지속과 변화. 담론 201, 9(2), 245-274
24 한성열(1994). 한국문화와 그릇된 교육의식 및 관행.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1), 95-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