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Typology of Mid-life Adults' Everyday life : An Analysis of Time Diary  

Cha, Seung-Eun (Institute of Population and Aging Research, Hany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6, no.1, 2008 , pp. 103-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describe the everyday life of middle-aged adults in terms of their time-use activities. From the original '2004 Time dairy' Data, developed by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KNOS), 17,684 respondents aged between 35-59 were selected. In order to categorize their activity patterns, work/labour, domestic labour, and spare leisure time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ction classification system. As a result, four dominant types were found: namely work-leisure, work-oriented, family-oriented, and leisure-oriented activities. Results of multinomial logistic analysis revealed that gender, age, socioeconomic status, job characteristic, and family structure were the major determinants on time-use. Compared with work-leisure, young middle aged women holding a part-time job with less income tended to be involved in a family-centered time use. Dual earners with lower SES status were likely to have work-oriented time schedules. Older men with relatively lower income we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leisure-oriented activities rather than work-leisure activities. Multitasking behavior was a significant variable in explaining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ime-use. Work-oriented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ime pressure as well as fatigue. Group differences in these measures, however, was not as large as expected.
Keywords
middle age time-use; time diary; work-family; leisure activity; time pressu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오만석, 은기수, 김복수, 이윤석, 김정석(2005)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활: 생애주기별 접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 이기영, 조희금, 김외숙, 이승미, 홍두승, 조흥식, 김유경, 김 주희(2006). 농가 가족원의 생활시간 분석, 한국가정관 리학회지, 24(5), 205-222.   과학기술학회마을
3 이승미, 이기영(1998). 부모와 자녀의 공유시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2), 123-136.
4 한경혜, 노영주(2000). 중년기 여성의 40대 전환기 변화 경 험과 대응에 관한 질적연구, 가족과 문화 12(1), 67-91.
5 Milkie, M., Mattingly, M. J., Nomaguchi, K. M., Bianchi, S. M., & Robinson, J. P.(2004). Time squeeze: Parental status and feelings about time with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4), 739-761.   DOI
6 Rogers, S. J., & Amato, P. R.(2000). Have changes ingender relations affected marital quality? Social Forces, 79, 731-753.   DOI
7 Scheiman, S.(1999). Age and anger,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0, 273-289.   DOI   ScienceOn
8 김진욱(2006). 한국 노인의 생활시간에 관한 연구: 200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에 나타난 노인의 일, 가족, 여가생 활 분석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2(여름), 149-177.
9 채 로, 이기영(2004). 맞벌이부부의 가사노동시간과 생활만 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265-281.
10 Binachi, S. M. Casper, L. M., & King, R. B.(2005). Complex connections: A multidiciplinary look at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research. In Binachi, S. M. Casper, L. M. & King, R. B(eds.)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Pp.1-17).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1 한경혜, 송지은(2001). 중년 남성의 건강에 가족 및 직업 특 성이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3(2), 51-73.
12 Mattingly, M. J., & Sayer, L. C.(2006). Under pressure: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ree time and feeling rushed,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8(1), 205-221.   DOI   ScienceOn
13 Sahlins, M.(1972). Stone Age Economics, Newyork: Aldine de Gruyter.
14 김정석(2005). 한국중년남녀의 무급노동내용과 시간량. 한국 인구학, 28(1), 173-201.   과학기술학회마을
15 통계청.(2004). 2004 생활시간조사보고서. 제1권 생활시간량 편. 통계청.
16 Hochschild.(1996). Time bind, New York: Henry Holt.
17 김왕배(2007). 노동중독: 직무태도와 조직특성의 관점에서 본 사회심리적 접근. 한국사회학, 41(2), 90-117.
18 문숙재, 윤소영, 윤지영(2005). 가족여가의 의미와 동기에 따른 여가만족도 분석: 가정지향적 여가활동을 중심으 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31-39.   과학기술학회마을
19 한경혜, 이정화, Ryff, Marks, 옥선화(2002). 중년기 사회적 역할과 정신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20 한신갑, 박근영(2007). 구별짓기의 한국적 문법: 여가활동을 통해 본 2005년 한국사회의 문화지형. 한국사회학, 41(2), 211-239.
21 박수미, 선보영, 김진욱(2005). 한국여성의 생활세계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22 한경혜(2001) 성공적 중년기 발달요인 탐색: 정신건강 일.가족 라이프코스의 한미간 비교연구. 미간행 보고서.
23 손문금(2005).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한국인구학 28(1), 277-311.   과학기술학회마을
24 이기영, 송혜림, 이승미, 문지선, 송지원(1996). 도시 남성근 로자의 생활시간구조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97-111.
25 이형실(2000).기혼 여성과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배우자 지 원 및 심리적 복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 .47-55.
26 Bianchi, S. J. Robinson, P., & Milkie, M.(2006). Changing rhythms of American family.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27 문숙재(1996). 생활시간연구. 서울: 신정.
28 박영도, 은기수, 오만석, 김복수, 박수미, 이윤석, 김정석 (2005). 한국인의 생활시간과 일상생활: 일상생활의 쟁점.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9 한경혜, 이정화, Ryff, Marks, 옥선화, 차승은(2003).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행동: 성별, 연령 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1(1), 213-230.
30 Schneider, B., & Waite, L.(2005). Timely and timelessness: Working parents and their children. In Binachi, S. M. Casper, L. M. & King, R.B(eds.) Work, Family, Health, and Well-being (Pp.67-79).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1 신기영, 옥선화(2000). 중년기 취업 여성의 가족 역할과 직업 역할의 보상/ 비용에 따른 심리적 복지. 대한가정학회 지, 38(8), 29-41.
32 Becker, G.(1965). "A theory of the allocation of time". The Economic Journal LXXV (September), 493-517.   DOI   ScienceOn
33 이기영, 이승미(1994). 가정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근로자 부부 의 생활시간구조, 대한가정학회지 32(3), 11-26.
34 강수택(1998). 근대적 일상생활의 구조와 변화. 한국사회학, 32(3), 503-529.
35 Bittman, M., & Wajcman, J.(2000). The rush hour: The character of leisure time and gender equity, Social Forces, 79, 165-189.   DOI
36 Hessing, M.(1994). More than clockwork: Women's time management in their combined workloads. Sociological Perspectives, 37, 611-633   DOI   ScienceOn
37 유소이, 최윤지.(2002). 성인남녀의 생활시간 실태 및 결정요 인 분석: 유급노동시간, 가사노동시간, 육아시간 및 여가시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3), 53-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