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Ident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 Focusing on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Park, Mi-Jeong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Shingal Middle School)
Chae, Jung-Hyun (Depart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5, no.4, 2007 , pp. 1-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dentity of home economics(HE) education by assessing perceptions of HE teacher, students, and general adults regarding the images and characteristics of HE education.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234 HE teachers, 505 students, and 264 general adult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rough both online and offline. The im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 education were the factors of the identity that were also the byproducts of HE education operation of the past and present, and had the characteristics in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ime. The current image of HE education was shown to positive recognition as the curriculum helpful to the actual living and future living for the HE teacher, students, and the general adults. For the HE teacher, it had strong emotionally warm image similar to the image of 'home', and it was connected to the curriculum image to be acknowledged as good problem solving teachers in terms of competence and conservative image. However, on the images of the HE curriculum and HE teacher, the HE teachers had the most positive recognition, and on the image of the HE curriculum, the students had the most negative recognition while the image of the HE teacher, the general adults had the most negative recognition. The general adults among the three groups recognized the HE curriculum as the most technical oriented curriculum while the students recognized as interesting curriculum, curriculum contributing on society. In the meantime,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HE education, the HE teachers recognized that it had weak female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strong living function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and the practical curriculum characteristics would be important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identity of the HE education formulated might be considered as the practical curriculum that was helpful to problem solving in actual living of the family and family members with the connection to the concept of 'home'. However, depending on the definition on implication of practice and issue of actual living, the characteristics and appearance of the HE education had been changed and might interpret as changing according to the above.for the fertility policy and the methods for the estimation of the child cost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Keywords
Home Economics Education; identity; image; characteristic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home economics teache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창환 (2005).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 교육철학, 제 33보, 7-22
2 문수재 (1980). 인간 생태학과 가정학. 대한가정학회지, 18(4), 123-127
3 박선영 (1999). 정보사회에서의 교육과 한국 문화의 정체성. 교육철학, 제 21보, 35-59
4 송인자 (2003). 개화기 수신서에서의 성 정체성. 교육학연구, 41(2), 49-74
5 심영희 (1998). 가정폭력 피해 여성의 정체성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심층 면접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총, 17, 한양대학교 사회과학대학. 389-440
6 윤지현 (1997). '가정생활' 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143-160
7 이수희 (1999). 중등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재개념주의 관점에 기초한 통합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중심으로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이연숙(1995) . 가정과 교사의 중 . 고등학교 가정관리 교육내용에 대한 수업 요구도와 관련 변수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7(1), 81-95
9 이은정 (2002) . 주부의 자아정체성의 위기와 극복과정-대구 . 경북 지역의 30대 중산층 주부를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종이 (1997). 가정과교사의 가정과교육의 일반적 성격에 관한 인식과 관련 변인.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31-45
11 이춘식 (2005) 실과(기술 . 가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기술 . 가정과 교육과정 분리에 대비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편 방향. 제2차 교육과정 포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5년 8월 4일
12 이춘식, 최유현, 유태명 (2001) 실과(기술 . 가정) 교육목표 및 내용체계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C2001-2
13 정해숙 (2003). 중등 가정과 교육의 성격에 관한 성인지적 접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2), 56-66
14 최정혜 (2001). 중등 가정과 교육의 발전방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등교육연구, 13집 ,135-158
15 한의수 (1983).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Kotler. P.(1988). Marketing Management, 윤훈현 역. 서울 : 범한서적
17 채정현 (1996). 가정과 교육과정 모형에 대한선호도.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8(1), 33-49
18 김항아 (1994). 우리나라 가정학의 당연 문제점과 그 역사적 . 철학적 배경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유태명 (1992). 교육과정의 국제적 비교-가정과 교육방향의 재조명을 위한 가정학 철학정립의 중대성-, 92년도 학술대회집, 한국가정과교육학회. 43-59
20 이연숙(2005) .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가정교과의 대안적 모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5년 하계 학술대회 자료집. 77-93
21 윤형숙 (1998). 생애사를 통해 본 여성 정체성. 여성연구, 6, 목포대학교 여성문제 연구소. 69-92
22 이기열 (1987). 가정학의 전문성과 영역. 대한가정학회지, 25, 155-160
23 정재삼, 금혜진 (2003).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쟁-학문적 정체성, 간학문성, 소프트 및 하드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과학연구, 34(2), 167 - 192
24 이학주 (2000). 의미변별법으로 측정한 교사의 자아상. 한국교사교육, 17(10), 183-205
25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26 이경희 (1998). 21세 기 가정과교육의 발전방향. 교육연구 8(1), 강원대학교 교육연구소. 57-70
27 Brown. M. M.(l980). What is Home Economics Education? Washington D.C. :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8 곽노선 (2001). 기술. 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 학교장, 교육 전문직의 인식과 요구 및 관련 변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신동순, 김상희, 오화자, 정효숙, 정혜경 (1997). 중학교 남녀 학생별 가정교과에 대한 인식 및 학습 효과.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1), 71-82
30 유지연 (1997). 실천적 문제 중심의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식생활 내용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기순임, 채정현 (1998).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교육에 대한 견해와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5), 187-201
32 정준영 (1998). 정체성 논의에 대한 Norbert Elias 의 문명화과정론의 사회학적 함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서희 (2003). 가정과 교육을 위한 패러다임 탐색-인간생태학과 실천적비판과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채정현 (1998). 가정과교육과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1), 198-207
35 박일록(1998). 중학교 남,녀 학생이 인식한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0(2), 29-42
36 이혜정 (2002). 사회적 존재로 되어감의 과정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인류학연구, 5(2), 15 7 - 192
37 김영나 (2003). 여자중학생의 당면 문제에 대한 가정교과 실천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김성교, 채정현 (2003). 중학생의 가정과교사 특성 지각과 가정과수업을 통한 인성적 도덕성. 대한가정학회지, 41(10), 57-73
39 김정명 (1997). 체육학의 정체성과 그 방법론에 관한 초방법론적인 고찰. 한국체육학회지, 36(4), 1-19
40 윤종건 (2002).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19(1), 175 - 189
41 유석진 (1999). 정보통신혁명과 정체성 한국과 국제정치, 15(1), 131-155
42 East. M.(1980). Home Economics - Past, Present, and Future. Boston: Allyn and Bacon, INC
43 박아청 (2003). 정체감 연구의 전망과 과제. 서울 : 학지사
44 황익주 (2000). 유럽 통합의 진전과 아일랜드 민족 정제성의 변화: 인류학적 사례 연구. 국제. 지역 연구, 9(3), 123-143
45 박아청 (1998). 아이덴티티 論. 서울 : 교육과학사
46 이기훈 (1989). 중등학교에서의 교육방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1989 학술대회자료집. 16-32
47 김지혜 (2003). 고령화 사회의 '노년담론' 과 '노인의 정체성' 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8 이종이 (1995) .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이영세 (1995). 가정학이 추구하는 가정의 안녕과 복지의 개념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0 홍은화 (1995). 한국인의 정체성 연구 . 민족정체성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장명욱(1981). 가정학원론. 서울 : 교문사
52 김경미 (1993). 우리나라 가정학 본질 규명에 관련된 근본 개념들에 관한 분석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김승현, 정옥분 (1997). 제 6차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와 학습 만족도 및 주관적 학습 효과 연구.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9(2), 47-67
54 Thomas. R. G.(1986). Alternative Views of Home Economics : Implications for K-12 Home Economics Curriculum.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4(2).162-188
55 왕석순 (2003) 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의 목표 규명을 위한 문헌고찰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5(2), 79-99
56 조용진 (2000). 가정교과의 자유교육적 성격. 중앙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57 송은경 (1990).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 내용의 요구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8 이인희 (1987) . 가정과 교수법. 서울 : 수학사
59 김용익, 정진현, 이춘식, 최명숙 (2001) . 지식기반 사회에서 초등학교 교원들에게 요구되는 기술적 교양에 기초한 초등 기술교육론 교재개발 연구. 연구보고 RR 2000-VI-2,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60 박일록 (1997). 중학교 가정과 교육내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9(2), 69-85
61 탁석산 (2000). 한국의 정체성. 서울 : 책세상문고
62 이순영 (1999) . 30대 이혼여성의 정체성 변화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정덕희 (1993). 구한말 개화기부터 8. 15광복까지 의 가정과 교육의 변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4 고지영 (2003). 중국 조선족 정체성 변화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65 김윤정 (2002). 제 7차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유태명 (2003) 가정과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가정과의 성격, 내용구조,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갖추어야할 소양에 대한 기초연구(I): 델파이 조사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10),149-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