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Chinese Married Women  

Kim, Kyeong-Shin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Lee, Seon-Mi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5, no.2, 2007 , pp. 119-1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general trends fo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Chinese Married Women(KCMW),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and analyze the effective variables influencing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were 337 KCMW over 20 years old living in China.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averag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were higher and depression were lower than the median. Therefo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of KCMW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edia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level of KCMW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attern of family and living condition. The life satisfaction of KCMW was influenced by living condition, family value orientations, ethnic identity, and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The depression of KCMW was influenced by age, self-esteem, sex-role attitude, and the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Keywords
Korean-Chinese Married Women: KCMW;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신(2002). 노년기 여성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된 변인. 한국노년학연구, 11, 63-86
2 림금숙(2003). 중한녀성취엽구조비교. 녀성연구, 3, 188-212
3 박민자(2000). 중국 조선족 혼인가정 현상태에 대한 재사고. 중국조선족 현상태 분석 및 전망연구.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4 박성연, 김미경, 도현심(2000). 연변 조선족 어머니의 문화접변 및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적응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8(12), 159-175
5 오상순(2000). 개혁개방과 중국 조선족여성들의 의식변화. 민족과 문화, 9권, 81-117
6 이애리아, 백태현(2001).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생활과 문화,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사회.문화생활과 민족정체성에 관한 연구: 카지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키즈스탄을 중심으로. 2000년도 한국재외동포재단 연구지원 과제연구보고서
7 정진희, 이정우(2005) 판매직 주부의 공평성인지도.역할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3(2), 81-103   과학기술학회마을
8 조복희, 이재연, 윤종희(1993). 연변지역 조선족의 가족생활 및 육아방식의 실태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1(1), 35-44
9 Dehle, C., & Weiss, R. L.(1998). Sex differences in prospective associations between marital quality and depressed m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0(4), 1002-1011   DOI   ScienceOn
10 김호웅(1995). 중국조선족 가족실태 연구. 가족학논집, 7권, 333-353
11 노은여, 권정혜(1997). 결혼생활만족도와 자아존감이 기혼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II - 자아존중감의 변동성과 남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41-54
12 박경휘(1999). 중국 조선족 개황. 서울: 재외동포재단
13 옥선화, 백희영(1999). 재미동포 가족의 자녀교육 및 가족생활 실태조사-로스엔젤레스 지역 거주자를 중심으로-. 재외동포재단 연구보고서
14 하은혜, 오경자, 김은정(1999). 기혼 여성의 우울증상에 따른 양육 스트레스 및 부부관계 적응.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79-93
15 Wilson, A. R., & Krane, R. W.(1980). Changes in self­esteem and its effects on symptoms of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 Research, 4, 419-421   DOI
16 박민자(1997). 부부관계의 평등성.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사회문화연구소
17 윤경자(1997). 성역할태도가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21-236
18 채미화(1995). 당대 중국 조선족 녀성들의 민족 문화의식. 재중한민족여성의 한국문화의식 학술자료집, 47-59
19 Schmaling, K. B., & Jacobson, N. S.(1990). Marital interaction and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9, 229-236   DOI
20 박혜란(1994). 구술사를 통해 본 중국 조선족여성의 삶. 여성학논집, 11집, 11-46
21 채미화(2003). 중한녀성문화심태비교연구-혼인과 성관념을 중심으로-. 녀성연구, 3, 55-83
22 최숙진(1993). 현실생활에서의 흑룡강 조선족여성, 제1차 동북아여성학술대회자료집, 81-96
23 이복순(1999). 가정내에서의 조선족 여성생활의 현황과 전망. 중국, 조선, 한국의 동포여성들의 삶 학술회의 자료집, 15-31
24 강순화(2003). 중국사회 가족의 변화. 녀성연구, 3, 154-170
25 리동근(2000). 90년대 조선문화정신의학개론, 중국조선족 현상태 분석 및 전망연구.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26 옥선화(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 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봉연(1993). 길림성 민족구역자치지구에서의 조선족녀성의 지위를 론함, 제1차 동북아 여성학술대회 자료집, 31-44
28 심혜선, 이정우(2001). 도시주부의 부부간 의사소통효율성, 가정관리전략 및 가정생활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5), 129-145
29 Radloff, L.(1977).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DOI
30 양명숙, 하경란(1997). 모(시.친정)와의 동거여부가 취업주부의 생활만족도에 마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301-313
31 정현숙, 서동인(1994).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도시가족의 부부 관계.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학술세미나 연구보고서 1. 2-38
32 고정자, 김갑숙(1997). 취업주부와 비취업주부의 삶의 질에 대한 인과모형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5(1), 429-441
33 Bradburn, N. M.(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dline Press
34 Rosenberg, M.(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35 김성걸(2000). 중국조선족현황분석의 방법론에 관하여. 중국 조선족 현상태분석 및 전망연구. 연길: 연변대학출판사
36 신화용, 조병은(1999).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상호작용 특성과 결혼만족도. 한국노년학, 19(1), 31-44
37 조금숙, 조증열(200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감: 성역할태도, 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9(3), 27-41
38 강순화(2002). 중국 조선족 가족의 변화와 문제점. 한국여성 연구원 여성학 특강자료
39 조옥희(2004). 중년기 기혼 취업여성의 역할갈등, 대처행동 및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Longmore, M. A, & Demaris, A.(1997). Perceived inequity and depress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esteem.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3, 172-184
41 김명자(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박정희, 유영주(1999). 주부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족관계 변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1), 91-119
43 이복순(1994). 중국조선족여성이 가정적 지위변화에 대한 고찰. 한민족여성학술대회 자료집, 30-39
44 Aneshensel, C. S.(1986). Marital and employment role­strain,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among adult women. In S. Hobfall(ed.). Stress, Social Support, and Women. Washington, DC: Hemisphere
45 김혜원(1997).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심리적 안녕감, 사회구 조적 변인, 성역할태도, 역할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2), 111-127
46 허명철, 박금해, 김향화, 리정(2003). 연변조선족 교육의 실태 조사와 대안연구. 료녕성: 료녕민족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