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Migration Preparation and Adaptation to Rural Area of Returning Farmers after Retirement  

Park, Gong-Ju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Kim, Yang-Hee (Dept. of Family Welfare, Chung-Ang Univ.)
Park, Jeong-Yun (Dept. of Family Welfare, Chung-Ang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5, no.1, 2007 , pp. 9-2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tired elderly who had moved to rural areas. The pro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oint at which there must be a difference in the patterns of a return to farming and determine the actual condition of their preparations for migration. This study had surveyed 408 seniors who wereare over 50 years old and had moved to rural areas after their retirement and analyzed the data by the SPSS PC 11.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evancy of U-turn, J-turn, and I-turn types that were affected by social demography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ir education levels and family patterns. Secon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ocess of preparation by the types of a return to the farming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otivation and preparation fund. Nevertheles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influence of their spouses. Thir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by the patterns of a return to the farm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efforts of the social supportand elevation of the friendship among the neighbors. The recognition of rural life problems were more acquainted towards the area of farming life. Among the 6 problem areas, leisure, health care, and economic problems were highly considered.
Keywords
seniors who have migrated to farms after their retirement; return type; satisfaction of their new lif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고승덕(1996).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구본석(1999). 귀농자의 영농정착 만족도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중돈, 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4 금재홍(1998). 귀농이 농촌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농업과학연구. 25(1)
5 김성훈(2006). 장수시대의 도래와 인생의 이모작 설계.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II. 도농교류 심포지엄 자료집. 농촌진흥청 농촌자원개발연구소. 3-23
6 김인자(1982). 적응심리; 변화하는 세계에서의 개인 성장. 서울: 정민사
7 김형용(1998). 귀농자의 실태와 정착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축산경영학회지, 14(1), 205-223
8 농림부(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 연구. 2005년 농림부 정책과제보고서. 농림부
9 배민식(1999). 최근의 귀농동향과 지원책 모색. 농민과 사회. 15, 한국농어촌사회연구소
10 사단법인 전국농업기술자협회(2001),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 건강하고 보람있게. 제2차 도농녹색교류심포지엄 자료집
11 서규선, 변재면(2000). U턴 귀농자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농촌지도학회지, 7(1), 137-153
12 서미경, 김정석(1995).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요인분석. 보건사회연구. 15(2), 97-116
13 송병국, 정지웅(1987). 농촌성인의 생활만족도와 그 관련변인. 한국농업교육학회지. 19(1), 85-95
14 이동하(1998). 귀농자의 농촌적응과 관련변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이영은(1990). 노인의 성격유형과 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장인협, 최성재(1987).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7 허미화역(1997). Merriam, Sharan B. 질적 사례연구법. 서울: 양서원
18 Bock, E. W., & Webber, I. L.(1972). Suicide among the elderly: Isolating widowhood and mitigating alterativ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4, 24-31   DOI   ScienceOn
19 Carlson, J. E., Junk, V. W., Fox, L. K., Rudzitis, G., & Cann, S. E.(1998).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migration to Idaho: an adaptation of the amenity retirement migration model. The Gerontology. 38(1), 18-24   DOI   ScienceOn
20 Costello.(1977). Urbanigation in middle east,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0
21 Mullins, J. C., & Dugan, E.(1990).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family and friendship relations on residents' loneliness in congregate housing. The Gerontology. 30(3), 377-383   DOI   ScienceOn
22 조록환(1998). 귀농가구의 생활실태 분석, 농촌생활과학. 19(1), 38-41
23 김동근(1998). 농업정책방향과 귀농대책. 전국귀농운동본부
24 박광희, 한혜정(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11, 43-61
25 조동석(1998). 지역 귀농인들의 영농실태와 그 개선대책 연구: 칠곡군의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05).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27 Graves, N. B., & Graves.(1974). Adaptive strategies in urban migration.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Vol. 3. 121-126
28 남정덕(2000). 귀농형 실버타운의 보급에 관한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Melville, M. B.(1978). Mexico women adapt to migration.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 12
30 윤순덕(2004). 농촌노인의 생산적 활동과 심리적 복지.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1 김태현(1994). 노년학. 서울: 교문사
32 원영희(1995). 동.별거형태가 한국노인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5(2), 97-116
33 한국노년학회(2000). 노년학의 이해. 서울: 대영출판사
34 Sjoberg, G.(1969). Cities in Developing and in Industrial Societies: A Cross Cultural Analysis. in Philip M. causer & Leo. F. Schnore(eds.). The Study of Urbanization.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Inc
35 Fielding. G. J.(1974). Geography as social sc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Publications
36 농촌진흥청(2004). 일본의 농산어촌 고령자대책. 농촌진흥청번역서. 203-204
37 박영일(1998). 성공적인 귀농을 위한 연구: 귀농사례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Sterns, H. L., & Sterns, A. A.(1995). Health and the employment capability of order Americans. In BASS, S. A.(Ed.). Order and Active: How Americans over 55 Age Contributing to Society. New Haven. C. T : Yale University Press. p. 11
39 박충선(1990). 한국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분석적 연구. 여성연구. 8(3), 115-153
40 신윤철, 김동섭, 배성의, 윤준상(1998). 귀농자의 귀농동기 및 배경특성 분석. 공주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산업개발연구. 59-70
41 박경란, 제미경, 오찬옥(1995). 대도시 단독가구 여자노인의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연구: 가족.소지.주거생활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101-114
42 이형실(1999). 농촌 부부가구노인의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회지 19(3), 109-120
43 한경혜, 윤순덕(2001),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1(2), 163-17
44 김미진(1999).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노동부(1998). 정부의 실업대책과 귀농희망자 영농훈련대책
46 농촌진흥청(2006). 제2의 인생을 농촌에서II. 도농교류 심포지엄자료집
47 Lee, On-Jook., & Kim, Kyong-Dong.(1980). Migration and Adaptation to the City: Comparative Prefile of Returners and Stayers in Korea. Bulletine of the Population and Development Studies Center. Vol 8
48 김재돈, 남철현(1997),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협회지. 23(2), 173-192
49 이병철(1999). 귀농: 우리는 왜 귀농해야 하는가?, 서울: 두레
50 정한모(2002). 귀농인의 농촌생활과 영농정착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이정관(1998). 귀농자의 영농정착과 관련된 특성분석. 공주대학교 산업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박재규(1985). 도시 빈민지역 이주자들의 이주 및 적용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보건복지부(2001). 국민건강영양조사
54 한승옥(1985). 지식인의 귀농의미 재고. 고려대학교 어문논집. 124(1), 833-844
55 김일수(1999). 도시민 귀농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최고관리자과정논문집, 15, 149-158
56 이영대(1981). 성공적인 영농종사자의 영농정착과정.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농촌진흥청(2004).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지역별 고령화 특성 및 변화분석.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자원개발연구소
58 김익기, 김동배, 모선희, 박경숙, 원영희, 이연숙, 조성남 (1999). 한국 노인의 삶.진단과 전망. 서울: 미래인력연구센터
59 동아일보, 2005
60 신은영(1993). 농촌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1 만상기(1998). 귀농의 현황과 과제. 농촌회생과 자립적 농업을 위한 귀농정책세미나 자료. 전국귀농운동본부
62 Roseman, C. C.(1981). Population redistribution in the Midwest. NCRC, Iowa State Univ
63 Warnes, A.M., & Law, C. M.(1982). The destination decision in retirement migration. in: Warnes. A. M.(ed.), Geographical Perspectives on the Elderly. Chichester: Wiley. 53-81
64 강대구, 김경남, 김민수, 이웅, 변규식(2006). 최근 귀농실태와 지원대책방안연구. 농림부
65 박창규(1983). 뿌리내리는 귀농사업. 서울: 샛길, 39-42
66 통계청(2002). 2000년도 인구주택총조사보고서. -고령자-. 통계청
67 농촌진흥청(1998). 귀농농가의 경영모형 길잡이. 농촌진흥청
68 임혜영(1999). 귀농자의 적응과 복지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광주대학교 경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김주현(1999). 귀농인의 농업기술정보획득과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농업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70 농림부(2000). 귀농자들의 농촌정착지원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농림부
71 Lee, On-Jook.(1980). Urban-to-rural return migration in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72 천규식(1997). 귀농(歸農), 왜 어떻게 해야 하나. 경향잡지: 1997년 7월호. 33-40
73 김경미, 정지웅(1990). 농촌성인의 사회적 적응과 관련변인.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3(3), 75-94
74 박상철편(2002). 효벅의 백세인.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75 서병숙, 이현(1995). 사회적 지원망과 노인의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3(3), 43-57
76 Moore, J. M.(1971). Mexican Americans and cities: A study in migration and the Case of Informal Resources, International Migration Review. Vol.5, 293-294
77 최원규, 백승우(2001). IMF 이후 귀농자의 실태와 정착방안. 서울: 나눔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