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Studying Everyday Life of Families with Qualitative Methodology  

Yang, Sung-Eun (Division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4, no.8, 2006 , pp. 171-17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e article are to explore historical contexts where everyday life is identified as the essence of family studies, and to suggest qualitative methodology which is effective to understand meanings of family everyday life. Everyday life is the integrity of the time when family members progress in a family life cycle, the space where they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the way how they achieve their developmental tasks. Qualitative methodology, coming from interpretive science paradigm, focuses on those processes, interactions, and meanings of family members in natural settings. Example researches are introduced to show what specific topic can be studied and how they be interpreted for exploring family everyday life. The future of studying everyday life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research topic and the methods.
Keywords
everyday lif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영희 (2001). 자녀를 둔 어머니의 출산과정 경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7(3), 271-283
2 김정자, 심혜숙, 김경연, 김선희, 정영숙, 최원철, 최순, 문소 정 (1998). 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2) : 한국 기혼여성의 삶의 질 실태 및 영향요인. 대한가정학회지, 36(12), 87-104
3 김정자, 심혜숙, 김경연, 김선희, 정영숙, 최원철, 최순, 문소 정 (2000). 한국 기혼여성의 일상적 삶의 질 향상에 관 한 연구(3) :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 99-122
4 박영숙, 최혜선, 윤인경, 이승신, 이주리(2004). 세계화 시대와 가정학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2(2), 47-67
5 이영환, 한종혜, 박성옥(1998). 아동의 자기-지각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과 미국아동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2), 73-86
6 천혜정(2004). 가족학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경향 및 방법론의 문제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161-173
7 최정실(1993). 교육철학에세이. 서울: 서광사
8 Gardiner, M. C. (2004). Everyday utopianism: Lefebvre and his critics. Cultural studies, 18(2/3), 228-254   DOI   ScienceOn
9 Gubrium, J. E., & Holstein, J. A. (1993), Phenomenology, ethnomethodology, and family discourse. In P. C. Boss, W. J. Doherty, R. Lakossa, W. R. Schumm, & S. K. Steinmetz (Eds.), Sourcebook of family theories and methods: A contextual approach (pp. 167-177). New York, NY: Plenum Press
10 Hobfoll, S. E., & Spielberger, C. D. (1992), Family stress: Integrating theory and measure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6(2), 99-112   DOI
11 Rosenblatt, P. C. (2006, in press). Two in a bed: The social system of couple bed sharing, New York, NY: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2 김복수 (2004) 일상생활의 시공간적 재구성. 한국정신문화연 구원
13 강신택 (1995). 사회과학연구의 이해(개정판). 서울: 박영사
14 장원순(2004). 사회문화교육방법으로서의 '일상생활' 분석. 사회과 교육, 43(4), 167-187
15 심희옥(1998).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우울성향: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6), 133-144
16 Blijlevens, H., Hocking, C., & Padd, A. (2006). Thought and action: Combining Narrative and video as research methods to explore peoples' everyday experiences. 7th International Interdisciplinary Conference Advances in Qualitative Methods (2006, July, Australia), 30-31
17 정현숙, 유계숙(2001). 가족관계. 서울: 학지사
18 Boss, P. G., Doherty, W. J., LaRossa, R., Schumm, W. R., & Steinmetz, S. K. (Eds.), (1993), Sourcebook of family theories and methods: A contextual approach. New York, NY: Plenum Press
19 정순자(2005). 가족 스트레스의 관리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2(4), 23-42
20 유계숙, 최연실, 성미애(1999). 가족학 이론(편역). 서울: 문음사
21 김종길 (2002). 거대이론의 위기와 일상성의 재발견 현상학적 행위이론의 비판적 재검토. 사회과학연구, 7, 67-92
22 이경주(1998).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일상적 스트레스와 부적응 관계 분석을 위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9-39
23 Mead, G. H. (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24 Sandywell, B. (2004). The myth of everyday life: Toward a heterology of the ordinary. Cultural Studies, 18(2/3), 160-180   DOI   ScienceOn
25 서수경(2001). 가족학 연구를 위한 이론적 대안으로서의 비판이론 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2), 1-21
26 성미애, 옥선화(2002). 가족 연구에서의 유형화 연구 고찰. 대한가정학회지, 40(2), 1-13
27 손정연, 한경혜(2006). 결혼의 질, 이혼 장애 요인,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이혼 후 적응: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83-102   과학기술학회마을
28 이미리(2002). 청소년 초기 일상생활활동 경험의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 대한가정학회지, 40(1), 69-84
29 Douglas, J. D. (1980), Introduction to the sociologies of everyday life. In J. D. Douglas, P. A. Adler, P. Adler, A. Fontana, C. R. Freeman, & J. A. Kotarba (Eds.), Introduction to the sociologies of everyday life (pp. 119). Boston, MA: Allyn & Bacon
30 Parsons, T. (1951). The social system. New York, NY: Free Press
31 Schutz, A. (1967). A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32 Stern, P. N.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Image, 12, 20-23   DOI
33 김병성 (1996). 교육연구방법. 서올: 학지사
34 Denzin, N. K., & Lincoln, Y. S. (2000).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Thousand Oak, CA.: Sage
35 양성은(2005). 고 3 수험생 어머니의 입시준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49-61   과학기술학회마을
36 이기숙(1998). 가족구술사 연구법에 관한 소고.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109-126
37 이기숙, 박소영(2000).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자각의 관련성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9), 93-106
38 김상우 (2003). 죽음으로 인한 일상적 삶의 위기와 파괴. 사회조사연구, 18, 133-157
39 Klein, D. M. & White, J. M. (1996). Family theories. Thousand Oak, CA.: Sage
40 Lefebvre, H. (1991). Critique of everyday life volume one: Introduction, trans. J. Moore. London: Verso
41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2nd ed.). Thousand Oak, CA: Sage
42 Lam, P., & Breaulieu, M. (2004). Experiences of families in the neurological ICU: 'A bedside phenomenon.'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36(3), 142-155
43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