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Family Value Orientations of Korean Women Abroad in America, China, and Russia$\codt$Central Asia  

Kim Kyeong Shin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
Lee Seon Mi (The Academy of Social Science Studies, Chonnam National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3, no.4, 2005 , pp. 173-18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general trends of the family value orientations FVO of overseas Korean women,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related variabl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FVO and the related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413 Korean women over 20 years living abroad in America (363 women), China (555), and Russia Central Asia (495 women).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on FVO.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Korean-American women's FVO were modernistic, Korean chinese women's were traditional, and Korean women in Russia Central Asia showed neither traditional nor modem FVO. 2. The overseas Korean women's values were different from the value's dimension. 'Filial piety' showed very traditional value orientations, but 'preference of son , and 'mate selection 'showed modem FVO. The dimensions of FVO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iving region. 3. The FVO valu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period of education. Korean-American women's FVO were positively related to age, health condition, and the cognition of being Korean. Korean-Chinese women's FVO were related to age, living condition,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Russia Central Asia women's FVO were correlated with age, period of education, living condition, health condition, the cognition of being Korean, marital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respect, and depression.
Keywords
재미한인여성;중국 조선족 여성;러시아 중앙아시아 고려 인 여성;가족가치관;지역차이;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경신(1998a). 부모와 청소년 자녀의 가족가치관과 세대간 유사성.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2), 43-65
2 김경신(1998b).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 연구 -노 년, 중년,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3 김경학(1999). 중앙아시아 한인의 사회구조와 문화 (카자흐스탄 농촌 마을을 중심으로)-. 중앙아 시아 한인연구(pp.75-130) . 광주: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4 김호웅(1995). 중국조선족 가족실태 연구. 가족학논집, 7, 333-353
5 박명규(1996). 중앙아시아 한인의 집합적 정체성과 변화. 사회와 역사, 48, 11-54
6 박혜란(1994). 구술사를 통해 본 중국 조선족 여성의 삶. 여성학논집, 11, 11-46
7 신혜섭(1995). 재미 한인가족의 적응과 생활. 가족학논집, 17, 355-366
8 조복희, 이재연, 윤종희(1993). 연변지역 조선족의 가족생활 및 육아방식의 실태조사. 대한가정학회지, 31(1), 35-44   과학기술학회마을
9 Moon, A. (1998). Attitude toward ethnic identity, marriage, and familial life among of Korean descent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Korea. In Y. I. Song & A. Moon(eds.), Korean American Women: From Tradition to Modern Feminism (pp.65-72). Westport, CT: Praeger Publisher
10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New Jersey: Pinceton University Press
11 김광정, 김신(2002). 시카고 한인사회: 역사와 현 생활상. 미주 한인이민 100년사(pp.359-382). LA: 한미동포재단. 미주한인이민 100주년 남가주 기념사업회
12 신경림(1995). 재미한민족 여성의 갈등과 삶 -중년 이민 1세 여성건강을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12, 205-242
13 정근식(1995).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일상생활과 문화. 한국사회학회 95년 후기사회학 대회 자료집. 215-233
14 이복순(1999). 가정내에서의 조선족 여성생활의 현 황과 전망. 중국. 조선, 한국의 동포여성들의 삶 학술회의 자료집, 15-31
15 유의정, 안승환(2002). 볼고그라드 한인사회와 한국의 지원방안. 독립국가연합(CIS) 고려인 사회연 구 (pp.129-148). 서울: 재외동포재단
16 중화인민공화국 국가통계국(2004). 2000년 제5년차 인구보편조사 자료
17 문애리(2002). 재미한인여성과 노인. 미주 한인이민 100년사(pp.235-256). LA: 한미동포재단, 미주 한인이민 100주년 남가주 기념사업회
18 김경신(2002). 노년기 여성의 가족가치관 및 관련된 변인. 한국노년학연구, 11, 63-86
19 민병갑(1999). 한인이민부모의 유교적 자녀교육방법과 한인이민가족의 세대갈등. 한인이민가족의 세대갈등 워크숍 발표논문집. 25-42
20 강순화(2002). 중국 조선족 가족의 변화와 문제점. 한국여성연구원 여성학 특강 자료
21 이광규(1991). 중앙아시아 재소한인 가족에 대한 연구. 가족학논집, 3, 1-19
22 오상순(2000). 개혁개방과 중국 조선족 녀성들의 의식 변화. 민족과 문화, 9, 81-117
23 황영삼(2003). 모스크바 고려인 3, 4세의 의식과 생활문화. 독립국가연합(CIS) 고려인 사회연구 (pp.15-42). 서울: 재외동포재단
24 이정옥(1996). 중앙아시아 한인 가족구조의 변화 - 해체.재결합.분절의 역동성. 사회와 역사, 48, 133-164
25 미국 상무성(2004). 2000년 센서스 자료. http://www.censusgov/
26 김연진(1999). 미국내 한국 이민과 소수 민족적 정 체성의 형성, 미국학논집, 31(1), 259-302
27 김연진(1999). 미국내 한국 이민과 소수 민족적 정 체성의 형성. 미국학논집, 31(1), 259-302
28 옥선화(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 가치에 관한 연구. 서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외교통상부(2003). 재외동포현황
30 Yu, E. Y. (1987). 'Korean-American Women: Demographic Profiles and Fmily Roles,' In Eui-young Yu and Earl H. Phillips(eds.), Korean Women in Transition: At Home and Abroad(pp.183-197), Los Angeles: California State University
31 박민자(2000). 중국 조선족 혼인가정 현상태에 대한 재사고. 중국조선족 현상태 분석 및 전망연구 (pp.179-194). 연변: 연변대학출판사
32 Radloff, L.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DOI
33 옥선화, 백희영(1999). 재미동포 가족의 자녀교육 및 가족생활 실태조사-로스엔젤레스지역 거주자 를 중심으로, 재외동포재단 연구보고서
34 문애리(1995). 재미교포 여성의 한국문화관과 통일 의식. 여성학논집, 12, 147-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