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건강가정육성기본법(안)의 입법 방향과 내용  

Jeong, Min-Ja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1, no.9, 2003 , pp. 163-177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성천, 윤혜미(2000). 가정복지증진을 위한 정책대안연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2 김승권(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을 위한 공청회자료집.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 조희금(2000). 가정복지사의 역할과 과제. 대구대학교 2000년 학술세미나 자료집 '21세기 가정복지의 전망과 과제' 대구대학교 소비자가족학과
4 한국상담학회(2003). 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집단연수회 자료집. 한국상담학회
5 한국가족관계학회편(1998). 가족생활교육흔 도서출판하우
6 가정복지사 www.homewell.co.kr
7 보건복지부 www.mohw.go.kr
8 송정아, 전영자, 김득성(1998). 가정생활교육론 교문사
9 최성재(1995). 복지국가와 가족. '복지국가와 가족정책' 한국가족학회편. 도서출판 하우
10 송혜림(1999). 가정복지의 개념에 대한 가정학적 관점의 정립.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24차 총회 및 학술대회. ‘21세기 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
11 장경섭(2000). 가정단위 복지서비스 체계구축. 보건복지부 연구과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12 서울시 사회복지사협회 www.sasw.kr
13 박혜인, 송혜렴, 유정순, 윤경자 이승미, 이완정(1999). 가정복지사의 주민자치센터의 참여방안-가정복지센터의 운영방안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의 행정자치부 제출문건-미간행
14 Susan White Downs etc. (2000). Child Welfare and Family Services. Allyn and Bacon
15 한국여성개발원(2002). 외국의 가족정책 현황과 과제
16 유영주(1997). 결혼과 가족. 경희대학교출판부
17 최연실(1999). 가정복지정책과 서비스전달체계의 현황과 쟁점.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24차 총회 및 학술대회. ‘21세기 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 정민자(2003). 건강가정육성기본법의 체계, 내용, 쟁점 '건강가정육성기본법제정을 위한 워크샵' 대한가정학회. 건강가정육성기본법추진위원회
19 문화관광부 www.mct.go.kr
20 최경석 외(2001). 한국가족복지의 이해. 인간과 복지
21 청소년상담사 www.youthoounselor.or.kr
22 사회복지사 www.welfare.net
23 이승미(1999). 가정복지사의 역할과 가정복지서비스 실천방안. 한국가정관리학회 제 24차 총회 및 학술대회 ‘21세기가정복지의 지향과 사회적실천’ 한국가정관리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