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Housewives′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it′s Determinants in Urban Area  

곽인숙 (우석대학교 의상ㆍ주택학부)
이경희 (중앙대학교 주거학과)
홍성희 (계명대학교 소비자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1, no.12, 2003 , pp. 169-18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the level of housewives' pro- environmental behavior, and (2)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elected variabl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941 sample were selected from housewives living in urban area. For the analysis of data, frequencies, means, one-way ANOVA, DMR test,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1. The level of housewives'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lower than that of pro-environmental attitude. 2. The level of housewives' pro-environmental behavior was mainly affected by their environment-related variables, for example, pro-environmental attitude, and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Most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family-related variables did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Keywords
pro-environmental behavior; pro-environmental attitude; experie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경희(2003). 도시가구의 환경친화적인 태도와 물소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93-111
2 이상협(2003). 환경친화적 가정자원관리행동과 환경의식, 환경지식, 환경교육.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1), 91-102
3 최남숙(1994). 서울시 주부들의 환경교육과 환경보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4 Johnson, M. K. & Parrot, K. R.(1995).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ecycling behavior in apartment communities, Housing and Society, 22(3), 41-52   DOI
5 노남숙(1994). 주부의 환경관리지식 인지도와 환경관리행동에 관한 연구: 의, 식, 주, 경영, 구매, 가족관리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6 심미영(1999).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책임적 소비자태도와 행동의 일치성 및 영향요인. 대구효성 가톨릭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7 곽인숙, 송요숙, 김태련, 김경애(1998). 환경의식과 가정쓰레기의 처리행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2), 1-18
8 이연호, 박미석(1997).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주부의 생활폐기물 재활용행동에 관한 인과적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3(1), 443-459
9 Henion, K. E.(1972). The effectof ecologically relevant information on detergent sal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9, 10-14   DOI   ScienceOn
10 Schahn J. & Holzer, E.(1990). Studies of individual envirinmental concern: The role of knowledge, gender and background variables, Environment and Behavior, 12, 157-166   DOI   ScienceOn
11 강희선(1993).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문제에 대한 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노영화, 강성진(1992). 환경보전을 위한 가정소비생활 개선 방안 연구. 한국 소비자보호원
13 박운아, 이기춘(1995). 환경의식적 소비자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199-212
14 Vining, J. & Ebrea, A.(1999). What make a recycle?: a comparison of recycler and non-recycler, Environment and Behavior, 22(1), 55-73   DOI   ScienceOn
15 박영옥(1998). 여고생의 환경문제에 대한 소비자의식과 행동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6 노영래, 김시윌(2002). 소비자의 환경의식.재활용의식과 재활용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 163-178
17 한경미(1999). 주부의 가정자원 재활용의식과 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7(4), 119-132
18 Weigel, R. H. and Weigel(1978). Environmental concern: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Environment and Behavior, 10(1)
19 엄하정(1993). 환경오염 감소와 관련된 주부의 관리 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169-181
20 유두련, 심미영(1998). 환경문제에 대한 사회책임적 소비자태도와 행동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3), 123-140
21 차정은(2000).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의식 및 행동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22 이승신, 이혜임, 류미현(1993). 환경보존을 위한 소비자 능력. 소비자학 연구, 4(2), 73-96
23 박수경(2003). 청소년의 환경교육경험과 또래집단이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김시월(2003). 청소년 소비자의 환경친화적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6), 105-117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25 유두련(2002). 재활용행동 집단별 소비자특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5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