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Communication Improvement for the Early Marriage through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방현주 (신라대학교 가족학과)
이기숙 (신라대학교 가족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0, no.11, 2002 , pp. 39-5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which can improve couples' communication skills that serve to enhance their relationships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mmary of major result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1 The content of communication program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focused on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n enhancement of couples' intimacy and on coping ability for marriage life. 2. The developed program served to communication improvement for couples in the early marriage. Analyzing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est before and after, the average scores of sub-areas such as listening, speaking and solving problems were all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an before the program.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b-areas appeared, either. 3. The developed program contributed to enhancement of couples' mutual understanding and their relationships.
Keywords
early marriage; communication education;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Olson, D. (1993). Family continuity and change: A family life-cycle perspective. Family relations. London: Sage
2 서동인, 정현숙(1994).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가족학회논집, 6, 1-36
3 오윤자(1994).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정현숙(2000). '부부관계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안(案).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1), 17-29
5 최상진(1993). 한국인의 심정심리학: 情과 恨에 대한 현상학적 한 이해. 한국심리학회편, 한국인의특성: 심리학적 탐색, 3-22
6 한겨례, 2000년 7월 25일
7 Clinebell, H. & Clinebell, C. (1970). The intimate marriage. NY: Harper Collins
8 Worthington, E. & Buston, B. (1986). The marriage relationship during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Family Issues, 7, 443-473   DOI
9 Worthington, E. (1989). Marriage counseling. IL: IVP
10 Belsky, J. & M. Rovine (1990). Pattern of marital chan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Pregnancy to three years postpartum.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5-19   DOI   ScienceOn
11 이영실(1989). 도시부인의 부부갈등 제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최규련(1997). 부부대화법 프로그램의 한국에서의 적용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 141-166
13 최복림(1995). 문화와 가족치료. 이대사회사업학과편. 가족치료총론. 서울: 동인
14 Belsky, J., Spanier, G., & Rovine, M. (1983). Stability and Change in Marria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567-577   DOI   ScienceOn
15 오윤자, 유영주(1994).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05-218
16 유영주, 이순형, 홍숙자(1994). 가족발달학. 서울: 교문사
17 Arcus, M. (1992). Family Life Education: Toward the 21st Century. Family Relations, 41(4), 390-393   DOI   ScienceOn
18 이창숙, 유영주(1998). 부부갈등 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1-25
19 Collins, R. & Coltrance, S. (1995). Sociology of marriage and the family. Chicago: Nelson-Hall
20 김순옥(2001). 부부의사소통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학지, 6(1), 137-157
21 최혜경, 노치영, 박의순(1994). 결혼초기 부부를 위한 부부교육프로그램의 구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1), 171-180
22 이기숙(1984). 가족주기에 따른 부부적응의 변화. 부산여대 논문집, 17, 601-617
23 송정아(1996). 중년기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1), 113-130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24 Minirth, F., Minirth, M., Newman, B., Newman, D. & Hemfelt, R., Hemfelt, S. (1991). Passages of marriage. Nashiville: Nelson
25 김수연(1998). 의사소통 척도개발과 타당도 검증-순환모델의 재구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Arcus, M., Schvaneveldt, J. & Moss, J.(이기숙 역,1977). 가족생활교육론. 부산: 부산여자대학 출판부
27 송성자(1985). 한국의 가족치료 연구-의사소통가족 치료이론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28 이현숙(1999). 인지행동적 부부의사소통 프로그램개발. 한국가족치료학회지, 7(1), 5-28
29 Burr, W.(최연실 역, 1993/1995). 새로보는 가족관계학. 서울: 하우
30 박숙자(1992). 첫 자녀 출생과 부부관계의 변화. 여성한국사회연구회편. 한국가족의 부부관계. 서울: 하우
31 김정원(1987).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적응에 관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Galvin, K. & Brommel, B. (1996). Family communication-cohesion and change-. NY: Harper Collins
33 김수연(1993). 부부의 응집 및 적응과 의사소통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김연(2001). 기혼 남녀의 성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김요완(2000). 부부의사소통 유형과 성 지식 수준의 성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이숙현(1990). 부모기로의 전환에 따른 부부관계의 변화. 가족학 논집, 2, 1-27
37 Markey, B., Micheletto, M. & Becker, A.(1988). REFOCUS. NE: Archdiocese of Omaha
38 Belsky, J. & Rovine, M. (1984). Social-network Contact, Family Support, and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2), 455-462   DOI   ScienceOn
39 Belsky, J., Lang, M. & Rovine, M. (1985). Stability and Change in Marriage across the Transition to Parenthood: A second stud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7, 855-865   DOI   ScienceOn
40 Miller(채규만 외 역, 1996). 부부가 함께 말하기와 듣기. 한국가족상담연구소. 서울: 하우
41 유은희, 정현숙(1995). 신혼부부를 위한 부부교육 프로그램. 한국가족상담교육연구소 개소 2주년 기념학술세미나 연구보고서 2권. 45-58
42 이정순, 박선영(1991). 부부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9(3), 175-189   과학기술학회마을   ScienceOn
43 고선주(1996). 부부취업가족의 부모기 전이 후 결혼적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