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윤상필.권헌영, "국내외 데이터법.정책 분석 및 시사점: 미국, 영국, EU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보화정책, 제28권, 제2호, 2021, pp.98-113
DOI
|
2 |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 정책 추진 경과, https://www.mois.go.kr/frt/sub/a06/b02/openData/screen.do
|
3 |
정병호.주형근, "산업별 O2O 결합 서비스의 비즈니스 투자 및 운영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보산업학회지, 제18권, 제2호, 2022, pp.93-110.
|
4 |
정병호, "정부조직의 신규 ICT 투자와 정책 일관성에 따른 ICT 운영 성과,"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2019, pp.87-99.
DOI
|
5 |
윤건.김윤희, "공공데이터 융합의 영향요인과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데이터기반행정의 맥락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제23권, 제3호, 2020, p.1-22.
DOI
|
6 |
윤건, "정부 데이터 역량이 데이터기반행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인식조사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제18권, 제4호, 2022, p.227-250.
DOI
|
7 |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01210&lsiSeq=218743#0000, 2020.12.10.
|
8 |
송석현.이재용, "공공데이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주요 국가별 정책에 관한 비교 분석,"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제41권, 제1호, 2018, p.128-139.
|
9 |
전자정부법,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20712&lsiSeq=239279#0000,2022.07.12.
|
10 |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01210&lsiSeq=219563#0000, 2020.12.10.
|
11 |
최승범, "지방자치단체 빅데이터의 활용 트렌드와 활성화 조건에 대한 연구,"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6권, 제1호, 2016, pp.177-205.
|
12 |
임광혁, "지방자치단체의 경제, 사회, 문화 통합 DB 구축 방안," 제16권, 제6호, 2021, pp.441-449.
|
13 |
이재용, "데이터기반행정 정착을 위한 요인 및 방안 연구 -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19권,제1호, 2022, pp.23-47.
|
14 |
김동준.김현지.송채은.양지우.김학래, "공공데이터포털에 공개된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데이터활용 방안," 제22권, 제3호, 2021, pp.445-452.
|
15 |
윤건, 데이터기반행정 강화 방안 연구 : 공공데이터 융합(integration)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19.
|
16 |
Hair, Joseph F., Multivariate data analysis, 2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