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7662/ksdim.2022.18.3.055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bject Relations, PAD Factors, and Satisfaction of Instagram Users  

Park, Jong Soon (서일대학교 소프트웨어공학과)
Kim, Su Kyeom (한양대학교 비즈니스인포매틱스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v.18, no.3, 2022 , pp. 55-7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object relations and PAD factors of Instagram users, apply the object relations to the emotional response (PAD) factors, and empirically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satisfaction. To this end, we proposed a research model to which the four factors of object relations theory and the three factors of emotional response (PAD) theory that emphasize the emotions of users are applied.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Suwon who had used Insta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Non-alien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easure, arousal, and domination. Secure attachment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easure and arousal, while it does have on domination. Social abi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easure, arousal, and domination. Egocentrism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rousal, but not on pleasure and domination. Pleasur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arousal and satisfaction. Arousal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domination and satisfaction. Domina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In conclusion, when emotions are shared among the users of Instagram, not alienated, it affects their satisfaction.
Keywords
Instagram; Object Relations theory; Emotional Response (PAD) Theory;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하병국.이덕규.조재희,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사용자 패턴 발견에 관한 연구 : 페이스북 사용자의 소셜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1권, 제9호, 2011, pp.165-174.
2 민성준.이용한.한유정, 2021 인터넷이용실태조사통계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pp.110.
3 이희민.송기옥, "인스타그램 푸드콘텐츠 사용자의 해시태그 이용동기와 사회적 자본, 지속사용의도에 영향관계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제21권, 제1호, 2022, pp.311-332.
4 고민환, "J 항공 인스타그램의 정보품질이 태도, e-WOM,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교화 가능성모델과 합리적행동이론을 활용하여," 호텔경영학연구, 제29권, 제2호, 2020, pp.181-197.
5 이현학, "2017년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 주목하라 리포트," 한국패션협회, 2017
6 김효정, "인스타그램 사진 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이용과 충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1호, 2017, pp.252-263.   DOI
7 추정선, "대상관계이론에 입각한 상담적 관점에 대한 연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제6권, 2004, pp.437-451.
8 권두순.이미영.함유근, "전자상거래 산업에서의 감정반응(PAD)요인이 쇼셜커머스(Social Commerce)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생산성검토, 제27권, 제3호, 2013, pp.457-489.
9 오혜영.박명진, "서비스 이용과정에서 체험한 감정반응이 서비스 품질 평가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품학회논문지, 제33권, 제2호, 2015, pp.61-68.
10 김상희.이형룡, "레스토랑의 식 공간연출이 고객감정반응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감정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2권, 제3호, 2010, pp.107-128.
11 유인경.정경일, "항공사의 유소아 관련 서비스가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 감정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1권, 제2호, 2017, pp.141-157.
12 손준상, "자아개념이 휴대폰 충동구매와 감정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16권, 제7호, 2011, pp.173-181.   DOI
13 이창훈, "대학의 인문 소양교육과 경찰의 직업능력과의 관계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1권, 제3호, 2014, pp.107-138.   DOI
14 김수정.이길형.한맑음, "모바일 리워드 앱의 포인트 소진 유형이 이용자의 선호도, 만족도 및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2권, 제1호, 2014, pp.143-156.   DOI
15 윤재현.윤우진.정인지.신관섭, "안마의자 제품간 사용 만족감 비교 및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2021권, 제11호, 2021, pp.191-192.
16 하미연.이연주.권수정.강수정.채지원, "보상된 추천 인지가 인스타그램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인스타그램 화장품 홍보성 포스트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1호, 2019, pp.75-88.
17 배재권.권두순, "소셜 게임 이용자의 자기결정성요인, 감정반응요인 및 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 로고스경영연구, 제11권, 제2호, 2013, pp.55-80.
18 김광호, "외식상품 추구혜택이 SNS에서의 구매의 도에 미치는 영향 - SNS 구전정보 신뢰성이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외식경영연구, 제22권, 제2호, 2019, pp.101-126.
19 백헌.권두순.이재범.김진화, "감정반응(PAD) 요인이 문화예술 웹사이트 서비스에서의 만족과 구전을 통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14권, 제1호, 2012, pp.105-128.
20 안도희.김유리. "협동학습과 자기주도학습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7호, 2015, pp.1-30.
21 김지수.전종우, "뮤지컬 공연 관람객의 소비가치가 뮤지컬 관람 플로우(flow) 및 재관람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3권, 제1호, 2022, pp.302-315.
22 이정은.박주희, "관광활동의 재미와 감정적 반응이 관계의 질과 행동의도간의 영향 관계," 관광연구, 제40권, 제4호, 2015, pp.127-152.
23 박예빈.이예진.조희정.김은실, "인스타그램 마이크로 인플루언서-팔로워간의 상호작용성이 스폰서십 공시 효과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진정성과 동일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소비자·광고, 제21권, 제4호, 2020, pp.603-631.
24 백진주.변제민.권두순, "인스타그램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감정반응 요인이 구매의도와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2021, pp.47-72.   DOI
25 오세정,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인식 유형 연구," 주관성연구, 제39권, 2018, pp.73-97.
26 이현지.최미영.황정현.임세영.김무늬.문태영, "임상실습을 경험한 학생들의 지각된 위험이 감정적 반응, 만족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분석학회지, 제17권, 제4호, 2015, pp.2179-2193.
27 2022 인터넷 이용자 조사, 나스미디어, 2022, pp.57.
28 임동완.김혜균.배정태. "H&B 스토어 화장품 브랜드 인스타그램 활용도 분석," 브랜드디자인학연구, 제18권, 제4호, 2020, pp.135-144.   DOI
29 조은희.한진수, "동영상UCC(User Created Content) 관광정보 품질이, 이용자 만족, 방문의도,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7권, 제2호, 2018, pp.163-179.
30 고창배.윤종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터넷 전자상거래연구, 제14권, 제4호, 2014, pp.65-80.
31 김민정.한성위.고정민, "전시유형이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전시관람경험에 미치는 영향 - 나르시시즘의 매개효과, 광고홍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제20권, 제6호, 2019, pp.67-88.
32 조성호, "외식 인스타그램 서비스 특성이 감정반응과 사회적 네트워크 및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제20권, 제5호, 2021, pp.371-388.
33 이남영, "대상관계이론을 통한 효명세자 궁중정재 창작 관계성 연구," 한국무용연구, 제28권, 제2호, 2010, pp.35-55.   DOI
34 이진균.김민경, "소비자 가치와 온라인 구매동기가 인스타그램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21권, 제1호, 2020, pp.153-185.
35 노신혜.김문식, "정보사회에서 온라인 문화콘텐츠 이용자의 자기계발동기가 스포츠용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이용자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제41권, 제6호, 2019, pp.929-962.
36 유인숙.유영달, "대상관계이론에 따른 예비부모 교육프로그램이 자존감 및 부모자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1권, 제3호, 2006, pp.253-281.
37 전진하, "소외현상 극복을 위한 공공영영 분석기법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8 김유진, "영아의 안정애착 유발요인 연구," 아동복지연구, 제2권, 제2호, 2004, pp.1-15.
39 이은주, "의사소통과 사회적능력과의 관계 변화 분석: 아동 및 청소년의 학교급별 비교,"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제27권, 제1호, 2022, pp.70-85.   DOI
40 김은영, "시설청소년의 유기불안 감소를 위한 대상관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제5권, 제1호, 2008, pp.47-68.
41 김혜빈, "인스타그램 이용자 성격이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끼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2016, pp.450-461.   DOI
42 임성빈, "이태리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이 감정반응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5권, 제6호, 2012, pp.93-115.
43 김인숙,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대상관계적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의 보호관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2014, pp.199-210.   DOI
44 Gardner, Paula Meryl (1985), "Mood States and Consumer Behavior: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2, No.3, pp.281-300. DOI: https://doi.org/10.1086/20851   DOI
45 이정실, "서비스접점에서 고객평가요인이 감정적반응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부산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논문지, 제22권, 제2호, 2007, pp.17-36.
46 김선화.이영선, "백화점 의류매장의 지각된 서비스 환경이 고객의 내적반응과 외적행동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제13권, 제3호, 2002, pp.263-288.
47 Mehrabian. A..J. A. Russell, "An approach to environmental psychology," Cambridge, MA: MIT Press, 1974.
48 Izard. C. E, The Psychology of Emotions, New York: Plenum Press, 1991.
49 손신, "청소년의 학교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 종교재단과 비종교재단학교의 청소년 집단 비교를 중심으로," ACTS 신학저널, 제38권, 2018, pp.391-422.   DOI
50 배수진.권오병. "혼합현실 어트랙션에서의 참여자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9권, 제2호, 2019, pp.529-532.
51 감대응.전도현, "뷔페 레스토랑의 서비스품질이 고객가치, 긍정적 감정반응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제17권, 제2호, 2021, pp.25-40.   DOI
52 Fornell, C. &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 pp.39-50
53 정영택, "베이커리 카페의 지각된 환경단서가 고객감정반응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PAD척도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24권, 제5호, 2021, pp.153-175.
54 윤진.김인경.김길청, "청소년 비행과 자아중심성발달과의 관계," 한국형사정책학회논문지, 제4권, 1989, pp.67-96.
55 정남호.엄태휘.구철모, "인스타그램에서 사회적관계 형성을 위한 사진 공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식경영학회 학술대회논문집, 제17권, 제4호, 2016, pp.129-145.
56 조성윤.노환호.이병관.임혜빈,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조건부 자아존중감이 우울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인스타그램 내 상향 비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제23권, 제3호, 2020, pp.91-102.   DOI
57 김진숙, "대상관계이론의 상담적 적용에 대한 고찰," 상담학연구, 제2권, 제2호, 2001, pp.327-343.
58 김민정.이응택.이은경, "고등학생의 대상관계와 학교적응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6권, 제3호, 2015, pp.415-431.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