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rends of Cave Study in Korea  

Hong, Hyun-Cheol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Kim, Won-Jin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You, Young-Jun (경주대학교 관광대학 관광경영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v., no.90, 2009 , pp. 1-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Spele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comprehensive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cave in korea.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was used for analysis. In the 1970s, research was focused primarily in the field of geomorphology(geology). But, since the 2000s, a variety of disciplines in the cave study is in progress.
Keywords
cave; study trend; speleology; environmental studie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동희, 1997, '석회동굴의 형성과정 연구,' '동굴', 제52호
2 김건철.김천년, 1999, '수직동굴 탐사Ⅰ,' '동굴', 제59호
3 김병우, 1997, '제주도의 생태적 특성과 분포,' '동굴', 제51호
4 김원진, 1998c, '환선굴의 지리적 특성,' '동굴', 제56호
5 김주환, 2004, '우로굴 주변의 지질과 지형 경관,' '동굴', 제62호
6 김추윤, 2004, '우로굴의 동굴 환경,' '동굴', 제62호
7 김추윤, 2005, '심복굴의 동굴환경,' '동굴', 제67호
8 김추윤, 2006, '송학박쥐굴의 수문 환경,' '동굴', 제70호
9 변대준, 1998, '우리나라 동굴의 형성 원인에 대한 연구,' '동굴', 제54호
10 소대화, 2005, '제주도 화산동굴의 용암석회질화,' '동굴', 제67호
11 오종우.오승훈.김원지.오승우.변태근, 2006, '우로굴 생성물 미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70호
12 유영준.이경호, 1999, '관광동굴의 환경친화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동굴', 제59호
13 윤정모b, 2006, '동굴자원의 체험학습과 보존 관리에 관한 방안,' '동굴', 제75호
14 이경호, 2000, '환경오염으로 인한 동굴생태환경의 변화와 환경오염물질 분석에 관한 연구,' '동굴', 제60호
15 이인화, 2004, '광천 토굴의 민속학적인 접근,' '동굴', 제64호
16 이인화, 2004, '동굴의 민속학적 접근,' '동굴', 제63호
17 정창희, 1999, '천곡동굴 일대의 지질 개요,' '동굴', 제58호
18 홍시환, 1997a, '고수동굴의 용식지형지물 분석,' '동굴', 제50호
19 홍시환, 1998a, '석회동굴의 형성 발전과 환경과의 상관성 연구,' '동굴', 제53호
20 홍시환, 1998b, '동굴의 이용과 환경 보전,' '동굴', 제54호
21 홍시환, 1999a, '화산동굴지역의 일반적 특성 소고,' '동굴', 제57호
22 홍시환, 2004e, '동굴의 환경보전대책에 관한 연구,' '동굴', 제62호
23 홍충렬, 1999, '천곡동굴의 개발 타당성 연구,' '동굴', 제58호
24 홍충렬.김원진,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동굴관광자원의 관리 체계에 관한 연구,' '동굴', 제64호
25 임철호, 1997, '중국 길림성 남부지역의 석회암 동굴 연구,' '동굴', 제51호
26 홍현철.권동희, 1997, '협재굴의 자연학습원으로서의 타당성 조사 연구,' '동굴', 제50호
27 유영준, 1998b, '경북지역 동굴의 관광적 특성,' '동굴', 제54호
28 이영혜, 1998b, '석회동굴의 분류 기준 연구,' '동굴', 제55호
29 홍철화.변대준, 1999, '제주도 화산동굴의 특수성 연구,' '동굴', 제57호
30 유영준, 1999, '성류굴 주변 관광상업지역의 특성,' '동굴', 제57호
31 홍시환, 1999c, '관광동굴의 환경보전관리에 관한 연구,''동굴', 제59호
32 홍시환, 2004b, '지구환경론 소고,' '동굴', 제62호
33 홍충렬, 1997, '일본관광동굴의 환경보전 현황,' '동굴', 제51호
34 홍철화, 1997, '동굴의 특성과 환경보전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동굴', 제51호
35 김병우.박상영, 2005, '신단양 고수동굴의 환경과 서식생물에 관한 연구,' '동굴', 제67호
36 김병우.오영주.김수미, 1998, '단양 석회암지역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동굴', 제56호
37 김성길, 1997, '주변의 인문.관광환경에 따른 개방동굴의 관광적 가치,' '동굴', 제49호
38 김원진, 1998a, '삼척 월둔굴의 지형지물 분석,' '동굴', 제53호
39 지종덕, 2004, '동굴관리의 문제점과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동굴', 제63호
40 홍충렬.김원진, 2005, '관광동굴 주변 관광자원의 유형별 분포,' '동굴', 제67호
41 홍시환, 1998d, '환경보전 면에서 본 성류굴,' '동굴', 제56호
42 이영혜, 1997, '제주도 화산동굴의 형성과정과 특수성 연구,' '동굴', 제50호
43 이영혜, 1998a, '고수동굴의 지리환경,' '동굴', 제54호
44 김정희, 2005, '요녕성 본계지역 자연동굴 탐사기,' '동굴', 제67호
45 원병관, 1997b, '동굴의 환경보존과 관광자원 개발,' '동굴', 제52호
46 홍시환 외, 1997, '삼척 월둔굴의 개발 구상,' '동굴', 제50호
47 홍충렬, 1998, '우리나라 관광석회동굴의 환경보전연구,' '동굴', 제55호
48 홍철화, 1998, '동굴과 인류의 상관성 및 보전 문제,' '동굴', 제55호
49 변태근.신대봉, 2005, '동굴탐사와 안전관리,' '동굴', 제67호
50 홍시환.배두안, 1998, '제주도 빌레못동굴의 지형지물 연구,' '동굴', 제53호
51 홍시환, 2004a, '제주도의 화산동굴 소고,' '동굴', 제62호
52 홍시환, 2004c, '종유굴의 형성과정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동굴', 제62호
53 소대화.변길호.한상엽, 2004, '동굴 관리를 위한 친환경 쏠라-셀 전원장치와 면광원 전자발광테이프 동굴 조명,' '동굴', 제64호
54 김원진, 2006, '관광동굴이 포함된 철도관광상품의 시공간적 특성,' '동굴', 제75호
55 변대준, 1997, '공개동굴의 문제점과 환경보전 진단의 필요성,' '동굴', 제52호
56 소대화, 2006, '동굴내부중력장의 역성장 고드름 생성기구,' '동굴', 제70호
57 원병관, 1997a, '천곡동굴의 관광자원과 생태계 보존,' '동굴', 제52호
58 김주환, 2005, '점말동굴 지역의 지형과 지질,' '동굴', 제67호
59 강승삼, 1997, '카르스트 지형과 석회동굴 소고,' '동굴', 제51호
60 김병우.이승호.박무범, 1998, '월둔동굴지역의 지표 생태환경연구,' '동굴', 제54호.
61 변대준, 1999, '강원도 월둔굴 지역의 개발 환경,' '동굴', 제58호
62 지종덕, 2004, '동굴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64호
63 홍시환, 1998c, '우리나라 화산동굴의 지형구조 분석 - 만장굴을 중심으로,' '동굴', 제55호
64 오종우.오승훈.신대봉, 2006, '양단굴 생성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75호
65 홍시환, 2004f, '동굴학의 지구과학으로서의 학술적 타당성 연구,' '동굴', 제62호
66 홍시환, 2004g, '우리나라 동굴의 성인에 관한 연구,' '동굴', 제62호
67 김건철, 1999, '동굴 운행에서의 나침반 사용과 방향,' '동굴', 제59호
68 김경훈, 1997, '제주도 만장굴의 환경보전과 수질분석,' '동굴', 제51호
69 김원진, 1998b, '성류굴의 지형구조와 2차 생성물 연구,' '동굴', 제55호
70 김병우.오영주, 2000, '자병산 일대의 호석회 및 혐석회식물의 분류,' '동굴', 제60호
71 유영준, 1998a, '울진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 '동굴', 제53호
72 윤정모a, 2006, '동굴자원의 체험학습 활성화 방안,' '동굴', 제70호
73 홍시환, 1999b, '광천선굴의 개발환경과 지형지물,' '동굴', 제58호
74 유영준, 1997, '동굴의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동굴', 제49호
75 윤정모, 2005, '백두산과 길림지역의 동굴 현황,' '동굴', 제67호
76 홍시환, 1997b, '제주도의 화산동굴과 동굴지형지물 소고,' '동굴', 제51호
77 김희남.김동욱, 2006, '폐광물을 이용한 자기연마재 개발,' '동굴', 제70호
78 홍시환, 1997c, '문화재동굴의 생태환경보전조사의 요령,' '동굴', 제52호
79 김추윤, 2000, '온달 동굴수에 관한 연구,' '동굴', 제60호
80 홍시환, 2004d, '우리나라 자연동굴의 지리적 분포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굴', 제62호
81 홍시환.유영준.홍충렬, 1997, '동굴의 국내 연구 동향,' '동굴', 제49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