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umastic Environment of Ondal Cave  

Hong, Choong-Real (경민대학)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v., no.86, 2008 , pp. 31-36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병우, 1990, 동굴의 생물상, 고수동굴의 환경 및 안전진단 조사연구보고서, 28-33, (주)원천
2 김병우, 1996, 천곡굴의 생태계 조사보고, 동굴, 45, 29-40
3 남궁준, 1986, 한국의 주요 동굴동물의 모식산지의 보전문제, 동굴, 13, 49-67
4 남궁준, 1987, 강원도의 자연동굴과 동물상, 강원도의 희귀자원 조사보고서, 4, 1-156
5 임문순, 1975, 단양 고수동굴과 여천굴의 환경요인과 그 동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 17-22
6 임문순, 1976, The Abstract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Faunae of Several Caves in Korea, 한국동굴학회지, 2, 9-10
7 조원철, 1989, 지하수의 오염사례, 환경보전, 11(6)
8 한국의 동굴, 1987, 동굴생물, 아카데미서적, 264-281
9 홍시환. 김병우. 유재신, 1990, 고수동굴의 동굴실태 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 42-72
10 홍현철. 김병우, 1992, 옥동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9, 21-38
11 Murakami, Y. and K. Y. PAIK., 1968, Result of the speleological survey in South Korea, 1966, Cave-dwelling myriapods from the southern part of Korea, Bull. Natn. Sci. Mus. Tokyo, 11(4), 364-384
12 신성의, 199, 환경과학. 공학 대사전, 동화기술
13 제주도, 1989, 빌레못동굴 학술조사보고서, 제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4 홍시환. 최무웅. 이금수. 김병우, 1990, 천동동굴의 동굴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 1-41
15 김병우, 1991, 협재동굴지대 학술조사보고서, 동물상, 194-208, (주)한림
16 조규송. 남궁준, 1987, 대이리 동굴군 학술조사보고서, 식물상, 동굴생물, 30-151, 강원대학교자원개발연구소
17 김병우, 1993, 고수동굴 학술조사보고서, 동굴의 생물상, 135-150, (주)유신
18 김병우, 1993, 만장굴 학술조사보고서, 동굴생물의 분포, 196-203, 북제주군
19 김병우, 1994, 고씨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 학술조사보고서, 47-60, 영월군
20 Oh, Jongwoo, 1989, Loessial soils and sediments of the southwestern Wisconsin karst, Jouranl of Regional Development, 15, 29-43
21 이금수, 1990, 동굴의 환경보전 대책에 관한 연구, 동굴, 22, 57-66
22 Oh, Jongwoo and Sihwan Hong, 1994, A study on karst phenomena in North Korea, Donggul, 37(38), 13-32
23 김병우, 1995, 화암동굴의 동굴생물에 관한 연구, 동굴, 42, 27-40
24 김영기, 1995, 수리지질학사전, 엔지니어즈
25 정 용. 옥치상, 1970, 인간과 환경, 지구문화사
26 남궁준, 1981, 원시적 유존동물인 갈르와 벌레, 자연보존, 33, 18-22
27 한국동굴협회. 문화재관리국, 1970, 한국의 동굴
28 임기영. 조은희, 1985, 동굴환경요인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동굴, 12, 23-36
29 오영근, 1985, 동굴성 박쥐류의 생태, 자연보존, 52, 8-11
30 Oh, Jongwoo and Hyunchul Hong, 1994, Social geographic environment of the Ondal Cave area in Danyang, Donggul, 36(37
31 이영남. 김상섭, 1978, 우리나라의 동굴생물, 한국동물학회지, 3, 10-11
32 정창희. 김병우. 김추윤, 1994, 온달굴지대의 자연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지, 37, 38-67
33 남궁준, 1981, 제주도 용암동굴의 동물상과 그 환경, 동굴, 7, 17-27
34 오종우, 2000, 카르스트 지형, 자연환경과 인간, 한울
35 백갑용, 1971, 특수환경의 곤충, 원색과학대사전 (5) 동물, 217-222, 학원사
36 문화재관리국, 1970, 한국의 동굴
37 이병훈, 1985, 동굴생태계와 동굴생물의 진화, 자연보존, 52, 4-7
38 조규송. 이우철. 남궁준, 1989, 백룡굴 학술조사보고서, 식물상, 동물상, 34-151, 평창군
39 鈖木靜夫, 1993, 水の環境科學, 內田老鶴圃出版社
40 Oh, Jongwoo and Bluce Gladfelter, 1989, Reconstruction of the paleo-meander loops on the middle Mississippi River floodplain, Chirihakchong, 17, 109-115
41 Jongwoo, 1990, A alpine karst in Korea, Brown Bag Lecture in Geography Department, University of Wisconsin-Milwaukee
42 단양군, 1993, 온달동굴 개발타당성 및 개발계획 학술보고서
43 박태규. 선경호, 1993, 수질오염, 동화기술
44 홍현철. 김병우, 1990, 노동굴의 환경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4, 73-106
45 김병우, 1991, 천곡동굴의 동식물 소고, 동굴, 28, 85-91
46 홍시환. 김병우. 박무범, 1991, 천동굴의 환경보전 및 안전진단조사보고서, 한국동굴학회지, 25, 93-118
47 홍시환 외, 1991, 협재동굴지대 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