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aves by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Choi, Byong-Cheon (건국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v., no.84, 2008 , pp. 46-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an early stage, a study on speleologyand cave environment was very active even though the number of papers was limited. From the mid 1980s to 2000, the academic activities on caves were the most active with a variety of subjects. Since the 1990s, people started to focus on the environmental change in caves and preservation rather than development. Recently, many studies have dealt with humanistic environment, seeing caves as a tourism resource. Theref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ave and surrounding tourist destinations has been actively studied.
Keywords
Korean Speleological Society; cav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Isao SAWA 외, 2006, "한국, 일본, 러시아 용암동굴 형성층의 형광X선 분석과 편광현미경적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74, 23-31
2 강승삼, 1996, "제주도의 동굴자원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5, 41-48
3 권동희, 1996, "화성암과 제주도의 용암동굴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45, 49-63
4 권중국 외, 1991, "제주도의 화산과 동굴," 한국동굴학회지, 25, 30-68
5 김건철, 1994, "동굴 탐사기술(1)진행법," 한국동굴학회지, 40, 30-49
6 김경훈 외, 1996, "백두산과 제주화산도에 있는 용암동굴의 X선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46, 9-31
7 김민구 외, 2007, "ATmega128를 이용한 온.습도 자동제어 모형 제작," 한국동굴학회지, 77, 59-66
8 大佐古孝, 1978, "용암동굴의 횡단면도와 종단면도의 필요성에 관하여," 한국동굴학회지, 3, 46
9 박병우, 1980, "종유동의 형태분류와 지배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 16-19
10 변태근 외, 2005, "동굴탐사와 안전관리," 한국동굴학회지, 67, 65-71
11 소대화, 2007, "중국 호남성 무릉원의 천문동과 황룡굴," 한국동굴학회지, 77, 43-52
12 오종우 외, 1994, "단양 온달굴 지대의 인문사회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지, 37, 68-80
13 오종우, 1994,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한 KARST 연구의 가능성," 한국동굴학회지, 40, 13-29
14 윤정모, 2005, "백두산과 길림지역의 동굴 현황," 한국동굴학회지, 67, 81-89
15 이영혜, 1998, "석회동굴의 분류기준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5, 45-50
16 전용우 외, 2006, "밀폐공간에서의 소리파동과 신호처리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70, 63-74
17 학 회, 1986, "1.총론 7)제주도의 동굴문화," 한국동굴학회지, 14, 45-47
18 학 회, 1986, "1.총론 2)제주도 동굴의 지역적 분포," 한국동굴학회지, 14, 20-27
19 학 회, 1988, "1.한국의 천연기념물 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8, 13-105
20 학 회, 1989, "1.특수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9, 4-50
21 허 웅, 1985, "경북 평천 두루미굴 조사 보고서," 한국동굴학회지, 12, 37-42
22 홍시환,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상) 4.한국동굴의 유형구분," 한국동굴학회지, 17, 34-46
23 홍시환, 1991, "제주도의 동굴개관," 한국동굴학회지, 26, 15-28
24 홍시환, 1992, "동굴과 인류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0, 11-21
25 홍시환, 2004, "제주도의 화산동굴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62, 19-23
26 학 회,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중)," 한국동굴학회지, 18, 1-136
27 홍철화 외, 1999, "제주도 화산동굴의 특수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7, 19-29
28 홍철화, 1995, "우리나라 동굴문화재의 관리 방안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2, 7-14
29 홍현철, 1991, "월둔굴의 학술적 가치," 한국동굴학회지, 27, 35-55
30 학 회, 1986, "1.총론 1)제주도의 지질과 화산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4, 17-20
31 학 회, 1989, "2.자연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9, 52-88
32 홍시환, 1986, "고씨동굴 지역의 현황 조사," 한국동굴학회지, 13, 23-48
33 홍충렬, 1995, "화암동굴 지역의 지리환경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2, 41-50
34 홍시환, 1996, "우리나라 순환수대 성인의 동굴 미지형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5, 13-28
35 立原弘, 1978, "동굴 측량," 한국동굴학회지, 3, 26-28
36 홍시환, 1989, "동굴학이 지구과학으로서의 학술적타당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0, 9-28
37 홍시환, 1995, "동굴학과 지구과학의 상관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4, 3-16
38 홍시환, 1975, "우리나라 동굴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 3-11
39 홍충렬, 1998, "미국의 동굴 II," 한국동굴학회지, 53, 51-56
40 김추윤, 2005, "심복굴의 동굴 환경," 한국동굴학회지, 67, 35-42
41 홍시환, 1987, "우리나라 주요 관광동굴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5, 9-41
42 변대준, 1993, "동정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6, 54-71
43 임철호, 1992, "백석동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2, 90-96
44 학 회, 1986, "1.총론 3)제주도 동굴의 생성과정," 한국동굴학회지, 14, 27-29
45 홍현철, 1992, "백룡동굴 주변의 인문 및 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2, 42-64
46 홍시환, 1999, "광천선굴의 개발환경과 지형지물," 한국동굴학회지, 58, 13-24
47 심혜숙 외, 1994, "중국 대륙 동굴의 지리적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40, 10-12
48 홍시환, 1985, "용정동굴의 현황보고," 한국동굴학회지, 12, 43-47
49 홍시환,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상) 5.한국동굴의 구조적 특성," 한국동굴학회지, 17, 47-57
50 이영혜, 1998, "고수동굴지역의 지리환경," 한국동굴학회지, 54, 21-28
51 홍시환 외, 1989, "제주도 화산동굴의 광물소고," 한국동굴학회지, 21, 1-7
52 정창희 외, 1994, "온달굴 지대의 자연지리 환경," 한국동굴학회지, 37, 38-67
53 소대화 외, 2006, "화룡시 근교의 충천계곡 자연동굴 탐사기," 한국동굴학회지, 72, 1-8
54 이영남 외, 1978, "우리나라의 동굴생활," 한국동굴학회지, 3, 10-11
55 이정애 외, 1996, "동굴과 문화의 상관성에 관한 고찰," 한국동굴학회지, 47, 59-69
56 홍현철 외, 1992, "동정굴의 학술적 가치와 특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9, 39-67
57 오종우 외, 2006, "John H. Ganter의 동굴을 지도화하는 체계적인 안내서," 한국동굴학회지, 72, 65-74
58 학 회, 1988, "2.한국의 지방기념물 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8, 106-136
59 홍시환, 1976, "우리나라 동굴의 성인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 2-6
60 김건철, 1995, "동굴탐사의 기술 II(만영)," 한국동굴학회지, 43, 21-31
61 홍시환, 2004, "우리나라 동굴의 성인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2, 91-96
62 홍현철 외, 1992, "옥동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29, 21-38
63 김원진, 2007, "CMIS의 필요성," 한국동굴학회지, 77, 73-75
64 나훈승, 1985, "석회동굴의 성인설에 관한 학설연구," 한국동굴학회지, 11, 25-31
65 박면용 외, 1978, "동굴학에 관한 문헌," 한국동굴학회지, 3, 24-25
66 변대준, 1998, "우리나라 동굴의 형성원인에 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4, 29-34
67 홍현철 외, 1993, "온달굴 형태와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4, 23-29
68 학 회, 1986, "제주도의 화산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4, 17-99
69 임철호, 1997, "중국 길림성 남부지역의 석회암동굴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51, 35-38
70 지종덕, 2004, "동굴학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4, 1-11
71 학회, 1990, "세계최장의 화산동굴 빌레못굴 국제공인 배경," 한국동굴학회지, 23, 97-108
72 홍현철 외, 1994, "고씨동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 한국동굴학회지, 38, 39-45
73 홍시환,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상) 1.서론," 한국동굴학회지, 17, 11-22
74 박병우, 1981, "제주도 용암동굴의 성인과 특성," 한국동굴학회지, 7, 15-16
75 변대준, 1995, "영월 옥동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42, 69-82
76 홍현철, 1992, "성류굴의 특성과 지물분포에 관한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0, 22-42
77 유재신, 1991, "지질온도계로써 황철석과 자류철석내의 Ni와 Co의 분배계수," 한국동굴학회지, 25, 69-80
78 학 회, 1986, "2.제주도의 주요동굴," 한국동굴학회지, 14, 47-98
79 김익종, 2004, "미국 엔델로프 동굴에 관한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62, 97-101
80 김건철, 1995, "동굴탐사의 기술 III (영양과 탐사)," 한국동굴학회지, 44, 64-78
81 澤勳 외, 1989, "F.P법에 의한 만장굴 용암쌍석주의 형광X선 분석," 한국동굴학회지, 20, 29-62
82 홍시환, 1992, "세계의 동굴개관," 한국동굴학회지, 29, 13-20
83 홍시환, 2004, "동굴학의 지구과학으로서의 학술적 타당성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2, 81-89
84 김건철, 1999, "동굴 운행에서의 나침반 사용과 방향 탐색," 한국동굴학회지, 59, 37-55
85 김원진, 1998, "환선굴의 지리적 특성," 한국동굴학회지, 56, 39-47
86 小川孝德 외, 1978, "용암동굴의 생성과정의 지학적 연구," 한국동굴학회, 3, 29-32
87 홍충렬, 1993, "월둔굴 지역의 지리환경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6, 43-53
88 변대준, 1992, "영월 옥동굴 지역의 지리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2, 65-81
89 홍시환 외, 1988,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상) 3.한국동굴의 지역적 분포," 한국동굴학회지, 17, 27-33
90 홍시환, 1980, "우리나라 동굴의 일반적 특성," 한국동굴학회지, 6, 10-15
91 홍시환, 1995, "동굴규모 측정에 관한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42, 51-54
92 홍시환, 1999, "화산동굴지역의 일반적 특성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57, 5-18
93 홍시환 외, 1996, "한국 동굴의 구조적 특성," 한국동굴학회지, 46, 33-47
94 강승삼, 1997, "카르스트지형과 석회동굴 소고," 한국동굴학회지, 51, 27-30
95 강승삼, 1978, "제주도 용암동굴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 33-40
96 김주환 외, 2006, "SPA 개념 정립을 위한 이론적 접근," 한국동굴학회지, 74, 79-96
97 澤勳, 1987, "제주화산도의 암석성분에 관한 통계학적인 수치해석," 한국동굴학회지, 15, 42-90
98 학 회, 1989, "한국의 자연동굴 총람(하)," 한국동굴학회지, 19, 1-88
99 변대준, 1993, "환선굴 주변지역의 인문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35, 61-66
100 김항묵, 1985, "합천 배티동굴 고찰 보고서," 한국동굴학회지, 12, 14-22
101 홍시환 외, 1992, "중국의 주요 관광동굴 조사 보고," 한국동굴학회지, 31, 98-103
102 홍시환 외, 1997, "동굴의 국내 연구 동향," 한국동굴학회지, 49, 9-30
103 홍시환, 2004, "우리나라 자연동굴의 지리적 분포와 그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동굴학회지, 62, 4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