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in Apartment  

Kim, Seong-Yen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Hwang, Yeon-Sook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Chang, Ah-Ri (한양대학교 실내환경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Interior Association / v.11, no.1, 2011 , pp. 73-8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space with recently constructed apartment complexes. The designated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located in Dongtan the first New Town, with 500 to 1000 households and constructed as single buildings for community space are 14 apar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The space for day care planned for children's emotional comfort and stability measured by symbolizing image of nature. Also, allowing children to recognize their own space by decorating the walls with the works of themselves and their friends was shown to break down extraneous feelings against other spaces, and allow intimacy for spaces. 2)The space for the aged was shown to give a secure and friendly feeling by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traits of the elderly. It can replenish the depressed bodies of aged people with vigor and stimulate their emotion. 3)The space for indoor exercise utilized various visual facilities, such as graphics and images, to bring out specific areas and create affiliation in stimulating the emotion of residents.
Keywords
Community Space; Residential Space; Apartment; Emotional Characteristic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혜영, 감성 디자인을 적용한 섬유 박람회 계획에 관한 연구, 국민대 석사학위논문, 2003.
2 권영걸, 공간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2001.
3 밀레니엄 커뮤니티 센터 연구회, 밀레니엄 커뮤니티 센터,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
4 백승경 외, 생태요소를 적용한 감성 공간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24권 2호 통권 49호, 2005.
5 서수경, 뮤지엄의 감성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 박사학위논문, 2006.
6 서주환, 공동주택 커뮤니티공간 배치유형별 이용행태 분석을 통한 커뮤니티활성화 방안 연구, 한양대석사학위논문, 2008.
7 서수정 외, 공동주택단지내 부대복리시설의 공간변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11호(통권 193호), 2004.
8 오영근, 공간디자인에서의 감성적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13권 2호 통권43호, 2004.
9 이미경, 테마파크 환경 연출기법에 있어서 감성디자인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8호, 2003.
10 윤정미, 현대 주거공간디자인의 감성적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7.
11 이영화, 건축과 회화로 보는 감성공간사, 한불문화출판, 2001.
12 장인경, 감성디자인으로 접근한 쇼핑몰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5.
13 정화령, 실내디자인에 있어서 감성공학적 디자인방법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9.
14 주서령 외, 공동주택 커뮤니티 센터의 공간 프로그램개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제13권3호, 2002.
15 천지혜, 감성적 이미지 생성기법을 적용한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학위논문, 2007.
16 최두호, 주거단지 계획 이론의 변천과 계획요소의 특성연구, 한양대 박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