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
2 |
박교식 (2007). 정사각형 칠교판의 일곱 조각으로 만들 수 있는 볼록 다각형의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7(3), 221-232.
|
3 |
송상헌 (2004). 수학 영재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소재 발굴에 대한 연구. 과학교육논총, 16, 67-86. 경인교육대학교.
|
4 |
송상헌 (2008). 수학교육과정에 비추어 본 탱그램과 유사탱그램의 재조명. 수학교육학연구, 18(3), 391-405.
|
5 |
안주형, 송상헌 (2002). 탱그램과 모자이크 퍼즐의 활용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4(2), 283-296.
|
6 |
이윤우 (2014). 'Pick의 정리'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영재 학생들의 사고특성과 정당화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7 |
최종현, 송상헌 (2005). 주제 탐구형 수학 영재 교수.학습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2), 169-192.
|
8 |
Gardner, M. (1988). Time travel and other mathematical bewilderments.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
9 |
Grunbaum, B., & Shephard, G. C. (1993). Pick's theorem.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100(2), 150-161.
DOI
|
10 |
Lakatos, I. (1976). Proof and refutation: The logic of mathematical discovery.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1 |
Miyazaki, M. (2000). Levels of Proof in Lower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7(3), 249-266.
DOI
|
12 |
Van Delft, P., & Botermans, J. (1995) Creative puzzles of the world. Berkeley, CA: Key Curriculum Press.
|
13 |
Wang, F. T., & Hsiung, C. C. (1942). A theorem on the tangram.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ly, 49(9), 596-599.
DOI
|
14 |
和々草 (2007). http://www1.kamakuranet.ne.jp/usasan/에서 2015년 9월 인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