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9.689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Income Maintenance Influencing Elderly Poverty : Focusing on Comparing Working Status Groups  

Kwon, Hyeok Chang (경상국립대학교 사회복지학부)
Chang, Sung-Hyun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poverty in the elderly under the income maintenance, focusing on labor. Accordingly, a Panel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7th to 16th data of the Korean Welfare Pane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ven if demographic, economic, and health variables affecting elderly poverty are controlled, National Pension and Special Occupational Pension among the income maintenance are negatively related to elderly pover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amount of Basic Pension and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were positively related to poverty for the elderly. Second, it was found that if the elderly receiving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work,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poverty. This raises the need to restructuring the Basic Pension, and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mbine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with the elderly job policy. Finally, in order to alleviate overall elderly poverty, it is suggested to rebuild the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system, including Basic Pension and Retirement Pension.
Keywords
Elderly Poverty; Old-age Income Maintenance; Work; Panel Logit Analysis; Poverty Allevi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연명, 한신실, "빈곤완화 효과를 통해서 본 기초연금의 정책목표 설정," 한국사회정책, 제24권, 제4호, pp.89-112, 2017.   DOI
2 황명진, "독거노인빈곤 결정요인 연구: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분석연구,"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51-358, 2016.
3 R. V. Burkhauser and T. M. Smeeding, Social Security Reform: A Budget Neutral Approach to Reducing Older, Women's Disproportional Risk of Poverty, 1994.
4 최옥금,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패널자료를 활용한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1호, pp.5-25, 2007.   DOI
5 함재봉, 손경희, "지방자치단체의 노인빈곤과 노인복지정책: 경상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22권, 제3호, pp.135-151, 2020.
6 이태진, 이원진, 오욱찬, 김성아, 여유진, 구인회, 김미곤,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효과 분석-시행20년의 변화와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20.
7 채구묵, "빈곤진입 영향요인 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2권, 제2호, pp.293-317, 2015.   DOI
8 신혜리, 남승희, 이다미, "노인가구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의 빈곤감소효과 및 두 이전소득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40권, 제1호, pp.117-138, 2014.   DOI
9 홍경준, "빈곤에 대한 동태적 분석: 빈곤주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24권, pp.187-210, 2004.
10 이상진, 김윤정. "노인의 빈곤지위와 신체적 건강, 정신적 건강 및 사회적 건강과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8권, 제12호, pp.771-779, 2018.
11 김상호, "기초연금, 국민연금 및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재구조화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37권, 제4호, pp.41-64, 2021.
12 국민연금공단, 2020년 제33호 국민연금통계연보, 국민연금연구원, 2020.
13 유경근, 곽종형, "대도시 노인빈곤층 결정요인 분석," 사회복지경영연구, 제1권, 제1호, pp.91-107, 2014.
14 이주미, 김태완, "우리나라 노인가구의 소득 및 자산빈곤 실태와 정책방안."보건복지포럼, 제6호, pp.64-73, 2014.
15 최희경, "빈곤 여성 노인의 생애와 빈곤 형성 분석. 노인복지연구,"제27권, pp.147-174, 2005.
16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보건복지부, "노인층(65세 이상) 연금수급률 47%, 연간수급액 710만원으로 나타나," 보도자료(211229), 2021.
17 김안나, "기초연금의 노인가구 유형별 빈곤감소 효과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2권, 제1호, pp.267-274, 2021.   DOI
18 권혁창, 박주완. "국민연금 수급과 고령자 노동 간의 관계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3권, 제4호, pp.1-21, 2017.
19 백은령, 노승현. "장애노인 생활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재활복지, 제16권, 제3호, pp.81-108, 2012.
20 유병남, 정영득, "사학연금 수급자의 기초연금 선택적용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eachers' Pension, 제5권, pp.137-190, 2020.   DOI
21 우해봉, 한정림, "국민연금 재정 안정화 개혁의 소득계층별 노후소득보장 효과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31권, 제4호, pp.161-185, 2015.
22 권문일, "국민연금제도의 빈곤 완화 기대효과," 사회복지정책, 제18권, pp.291-315, 2004.
23 김대철, "국민연금제도의 노후빈곤 완화 효과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3권, 제3호, pp.251-275, 2007.
24 오신휘, 정창률, "국민연금 개혁에 따른 공적연금의 노후소득수준 변화에 관한 연구: 중기적 관점에서,"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1호, pp.1-22, 2012.   DOI
25 강성호, 최옥금, "기초노령연금의 탈빈곤 효과 및 계층별 소득보장 효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제17권, 제2호, pp.43-71, 2010.   DOI
26 석재은, 신동균, 이기주, "기초연금 도입의 정책효과와 젠더불평등 개선," 페미니즘 연구, 제15권, 제2호, pp.205-236, 2015.
27 김혜연, "기초연금 도입이 성별 빈곤 및 소득불평등 에 미치는 효과," 비판사회정책, 제54권, 제1호, pp.120-159, 2017.
28 석상훈, "기초노령연금의 노인빈곤감소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제50권, pp.335-352, 2010.
29 여유진, 김미곤, 김문길, 정재훈, 홍경준, 송치호,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재산의 소득환 산제 개선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30 백화종, 강성호, "연금제도 성숙시점에서의 노인빈곤율 추정과 국민연금의 빈곤 개선효과," 사회보장연구, 제27권, 제4호, pp.247-272, 2011.
31 임완섭, "기초연금의 빈곤 감소효과 분석," 보건복지포럼, 제6호, 2016.
32 남상호, "기초연금 지급액 확대가 소득불평등과 빈곤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재정정책논집, 제20권, 제1호, pp.143-177, 2018.
33 이채정, 탁현우, "기초연금 도입이 노인가구의 빈곤격차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2권, 제2호, pp.25-52, 2018.
34 허수정, 박희란, "기초연금 제도 변화에 따른 빈곤감소 및 소득불평등 정도 완화에 대한 효과성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9권, 제3호, pp.179-200, 2018.
35 박명호, 박대근, "기초연금제도가 소득분배 및 빈곤에 미치는 효과: 마이크로시뮬레이션 모형을 통한 분석," 재정학연구, 제12권, 제2호, pp.41-63, 2019.
36 권혁창, 조혜정,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상태와 노인의 생활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2호, pp.160-191, 2019.   DOI
37 김교성, 김성욱, 이정면, 노혜진. "빈곤의 측정과 규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19권, pp.297-320, 2008.
38 권혁창, "노후소득보장제도 수급과 고령자 노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지역별 비교," 사회복지정책, 제48권, 제1호, pp.39-62, 2021.   DOI
39 관계부처합동, 제2차 기초생활보장 종합계획(2021~2023), 세종: 관계부처합동, 2020.
40 김혜진, "고령층의 국민연금 수급과 경제활동참여 간의 관계," 노인복지연구, 제73권, 제3호, pp.193-213, 2018.   DOI
41 김환준,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 분석,"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3호, pp.5-28, 2017.   DOI
42 보건복지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20년사, 2021.
43 보건복지부,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결과보고서, 2021.
44 손병돈, "한국 노후 소득보장제도의 소득보장효과 분석: 최저생활보장과 적용대상의 포괄성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58권, pp.7-28, 2012.
45 석상훈, 김헌수, "노인빈곤의 실태와 결정요인 분석 -생애근로이력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재정학연구, 제5권, 제3호, pp.99-124, 2012.
46 장현주, "공적연금제도의 노후빈곤 완화효과: 국민연금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3권, 제4호, pp.265-286, 2013.
47 박미영,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노인빈곤 결정요인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7호, pp.63-69, 2018.   DOI
48 최현수, 류연규. "우리나라 노인빈곤 동향 및 빈곤구성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3권, 제3호, pp.143-160, 2003.
49 홍백의, "우리나라 노인 빈곤의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4호, pp.275-290, 2005.
50 민인식, 최필선, STATA 패널데이터분석, 파주: 지필미디어,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