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8.527

Low-income Female Single-Parent Families' Experience of Economic Burden and Its Improvement by COVID-19  

Sung, Jung Hyeun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conomic hardship experiences of low-income single-parent families by COVID-19 to find ways to improve after COVID-19. To this end, 10 single parents with children under the secondary school age were recruited through snowball sampling method and in-depth interviews with economic activities, income, expenditure, and economic life.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suffered from unemployment and the disappearance of extra income activities in the early stages of COVID-19, additional expenses incurred by children's food and increased utility bills.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COVID-19 has come to be more difficult and unequal to single-parent families of low-income women. It was found that the temporary living difficulties were resolved with disaster support funds, and it was helpful in the short term by spending according to priorities such as overdue monthly rent, food expenses, children's academy expenses, and purchasing home appliances. However, it was recognized that disaster support funds were inappropriate for customized disaster support and long-term and selective support was necessary. In the conclusion, to improve economic problems after COVID-19, it proposed measures to improve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Keywords
COVID-19; Single-parent families; Economic Burden Experience; Disaster Assistance Fun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선숙, 박호준, "빈곤, 가족구조와 아동 삶의 질의 관계," 사회복지연구, Vol.50, No.2, pp.155-178, 2019.   DOI
2 최정락, 김혜정, 문정희, 이자형, 박금식, 이진숙, "코로나19 경험을 통한 여성가족 분야 대응전략," 연구보고서, 부산여성가족개발원, Vol.5, pp.1-65, 2020.
3 인트리, 단체소개 및 코로나19로 인한 미혼모가정의 위기분석, 미간행자료, 2020.
4 연합뉴스, '코로나19 휴교'에 '온라인 수업'도 불평등이슈로, 2020.3.20.
5 김현미, 코로나19 위기와 젠더, Vol.64, pp.4-5, 2020.
6 울리히 백, 위험사회, 홍성태 역, 새물결, 1997.
7 유범상, "불평등에 대한 대응과 사회복지: 코로나19와 재난기본소득을 통해 본 복지정치의 방향," 생명연구, Vol.57, pp.35-63, 2020.
8 문유진, "코로나19와 청년의 불평등,"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51-153, 2020.
9 정익중, "코로나19 전후 일상생활 변화와 아동 행복," 제17차 아동복지포럼 자료집, 서울: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2020.
10 이혜정, "가족요인과 사회적 차별이 이혼한 한부모의 자녀양육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2019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145-151, 2019.
11 Gloria Hill-Murray, The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Anxiety, Stress, and Resilience in Economically Challenged Single Mothers, PHDissertation Liberty University, 2022.
12 이승호, "코로나19 확산과 가구의 소득, 지출 변화," 노동리뷰, Vol.12, pp.7-20, 2020.
13 김승희, 이한나, "코로나19(COVID-19) 이후 한부모 가족의 주거스트레스 유형별 특성과 지원 방향 모색," IDI 도시연구, Vol.18, pp.9-44, 2020.
14 손서희, 성미애, 유재언, 이재림, 장영은, 진미정,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가계 경제 악화가 가족생활과 심리적 복지에 미친 단기종단적 영향과 조절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6, No.1, pp.3-25, 2021.
15 김유선, "비정규직 규모와 실태-통계청, '경제활동인구 조사 부가조사'(2020.8)결과,"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Vol.20, pp.1-33, 2020.
16 손병돈, 문혜진,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누구에게 집중되었는가?," 한국사회복지학, Vol.73, No.3, pp.9-31, 2021.
17 G. M. Cortes and E. C. Forsythe, The heterogeneous labor market impacts of the Covid-19 pandemic. Upjohn Institute Working Paper 20-327. Kalamazoo, MI: W.E. Upjohn Institute for Employment Research, 2020.
18 남재현, 이래혁,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이 가구 소비에 미치는 영향:소득 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Vol.48, No.1, pp.63-95, 2021.   DOI
19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20.
20 남재현, 이래혁, "코로나19의 영향은 모두에게 동등한가? 종사상 지위별 소득과 빈곤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4, pp.215-241, 2020.
21 Chabeli Carrazana and Jasmine Mithani, "Moving in with other adults has become a lifeline for single moms hit 'tenfold' by the pandemic," Business & Economy, 2022.
22 K. M. Fitzpatrick, G. Drawve, and C. J. Harris, "Facing new fea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ate of America's mental health,"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Vol.75, 2020.
23 김난주, "코로나19의 여성 노동에 대한 영향과 정책 과제," 노동N이슈, Vol.11, pp.1-19, 2020.
24 황선웅, "코로나19 충격의 고용형태별 차별적 영향," 산업노동연구, Vol.26, No.3, pp.5-34, 2020.
25 성미애, 진미정, 장영은, 유재언, 손서희, "가족의 코로나19 관련 정책 인지도, 이용 정도, 이용 만족도 및 요구도," 가족정책연구, Vol.1, No.1, pp.3-20, 2021.
26 신경아, "코로나가 살린 유연근무제," 한국일보. 2021.2.24.
27 임태경, "준실험설계에 의한 코로나19 지원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소상공인-자영업자를 위한 직접지원금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Vol.24, No.3, pp.27-46, 2020.
28 김유식, 정병철, "코로나19 상황이 전업주부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21, Vol.11, No.6, pp.567-578, 2020.
29 통계청, 2019년 생활시간조사결과 보도자료, 2020.7.30.
30 여성가족부 2022 한부모가족지원사업안내
31 김연우, "한부모가족의 생활실태와 복지욕구," 보건복지포럼, 제186호, pp.50-59, 2012.
32 엄미선, 전동일, "저소득 한부모 가족의 양육부담과 사회적지지," 사회복지리뷰, Vol.11, pp.75-108, 2006.
33 서울복지재단, 서울시 저소득층 복지수요조사결과 공개토론회 자료집, 2005.
34 유범상, "불평등에 대한 대응과 사회복지: 코로나19와 재난기본소득을 통해 본 복지정치의 방향," 생명연구, Vol.57, pp.35-63, 2020.
35 변성수, 김도형, 이재은, 나종일, 조성, 김가희, "한국의 재난 약자 지원체계 개선을 위한 해외사례 연구: 미국과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4, No.5, pp.15-34, 2018.
36 Sandra Kostere and Kim Kostere, The Generic Qualitative Approach to a Dissertation in the Social Sciences:A step by step guide, Rourlege, 2022.
37 Renate M. Kahlke, Generic Qualitative Approaches: Pitfalls and Benefits of Methodological Mixology Renate M. Kahlke2014. sage journals, 2014.
38 성정현, 김지혜, "사회적 폭력경험과 자아존중감이 북한이탈여성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1호, pp.761-772, 2021.   DOI
39 여성가족부, 한부모가족실태조사, 2022.
40 홍민기, "코로나19와 긴급재난지원금이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노동리뷰, Vol.12, pp.21-38, 2020.
41 오종헌, "코로나19 국민연금 사각지대 해소 대책과 보험료 지원이 필요하다," 월간복지동향, Vol.259, pp.37-42, 2020.
42 변재현. "1차때 받았는데, 2차 긴급고용안정 긴급지원금도 받을 수 있나요[Q&A]," 서울경제, 2020.9.12.
43 S. B. Merriam,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