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8.367

Analysis of Changes of Commercial Areas in Yeongdo-gu Urban Regeneration Region  

Lee, Hye-In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협동과정)
Oh, Kwang-Suek (한국해양대학교 해양문화콘텐츠융복합협동과정)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is study, changes in commercial areas in Yeongdo-gu urban regeneration reg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regional revitalization. Urban decline can accelerate the decline of downtown commercial functions, and revitalization of stagnant areas can be evaluated as enhancing the vitality of commercial areas. To reach this objective, dynamic changes in the commercial area in urban regeneration region were confirmed through store density, industry diversity, and restaurant/cafe ratio.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tore density and industry diversity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Yeong-do urban regeneration region. Although it is difficult to find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ratio of restaurant/cafe, it seems that Yeongseon 2-dong has undergone a relatively large commercial chang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quantitatively evaluated and analyzed commercial changes in Yeongdo-gu urban regeneration region.
Keywords
Urban Regeneration; Commercial Revitalization; Store of Density; Industry Diversity; Dynamic Chan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염지혜, 양승우, "음식점 변화를 통한 서울 삼청동길의 상업가로 활성화 단계 실증해석," 도시설계, 제15권, 제6호, pp.111-122, 2014.
2 김동진, 전재균, "IPA기법을 통한 흰여울문화마을의 관광활성화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제23권, 제1호, pp.445-458, 2021.
3 한찬규, 대구광역시 도심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대학교 부동산학, 박사학위논문, 2019
4 정소양, 유재윤 외, 원도심 쇠퇴현황 및 도시재생 추진방향, 국토정책 Brief, 2014.
5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뉴딜사업 (우리동네살리기) 실행계획 수립 및 사업시행 가이드라인, 국토교통부, 2020.
6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선도지역의 사업추진 모니터링 및 정보활용 방안 연구, LH토지주택연구원, 2018.
7 이일희, 이주형, "지속가능성을 위한 도시재생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12권, 제6호, p.101-114, 2011.
8 김소민, 정혜진, "도시재생 활성화 수단으로서의 창업 분석: 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pp.107-120, 2017.
9 유병상,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근린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커뮤니티 비즈니스를 중심으로, 동의대 경제학, 박사학위논문, 2020.
10 https://surc.or.kr/columns/312, 2022.08.04.
11 김영환, 최정우, 오덕성, "성장관리형 도심재생의 기본전략 및 계획요소," 국토계획, 제38권, 제3호, pp.85-97, 2003.
12 한동욱, 김태영, 주수민, 김혜주, 홍명기, 백종인, 반영운, "도시재생사업 효과 분석," 지역연구, 제34권, 제1호, pp.61-75, 2018.   DOI
13 윤윤채, 박진아, "상업용도 변화 측면에서 본 서울시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속도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17권, 제4호, pp.17-32, 2016.   DOI
14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41224000128, 2022.08.04.
15 http://mobile.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027000097, 2022.08.04.
16 https://www.city.go.kr/map/index.do
17 https://www.yeongdo.go.kr/00672/02632/02634.web, 2022.07.07
18 류신현, 임남기, "정량적 평가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 선도지역 사업효과 분석-천안시 선도지역을 사례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제35권, 제10호, pp.83-90, 2019.
19 장성만, 박영수, "신규 창업점포 밀도 및 다양성 지표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 대상지 평가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제37권, 제2호, pp.3-16, 2021.   DOI
20 류화연, 박진아,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4권, 제1호, pp.40-51, 2019.
21 강태연, 박진아, "상권변화과정 분석을 통한 상권 재활성화 진단 연구," 국토계획, 제56권, 제3호, pp.78-91, 2021.
22 이새나리, 김흥순, "상업가로 활성화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신촌, 이태원, 신사동 가로수길, 홍대 지역 가로방문객을 대상으로," 국토지리학회지, 제51권, 제2호, pp.109-121, 2017.
23 임하나, 성은영, 최창규,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 도시설계, 제18권, 제6호, pp.37-49, 2017.
24 심경미, 이상민, 차주영, 상업적 젠트리피케이션 진단체계 연구: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8
25 https://www.chosun.com/national/regional/2022/02/28/P3I4NDZ7ABACLI54G6HHFCU64M/, 2022.07.07.
26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300&key=20201030.33001008594, 2022.08.04.
27 정광진, 전혜진, 정연우, 이삼수,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의 개발과 적용-도시재생 선도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52권, 제3호, pp.55-74, 2017.
28 이영주, 임은선, 서민경제 안정을 위한 지역상권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11.
29 이정란, 최막중, "동종과 이종의 도.소매업종구성에 따른 상권변화의 특성," 한국지역개발학회, 제30권, 제2호, pp.137-154, 2018.
30 부산광역시, 2018년 부산관광산업 동향분석, 2018.
31 김형균, 김종욱, 박상필, 서정렬, 도시재생 사업지역의 주민생활 및 상권변화 연구, 시민행복연구본부, 2015.
32 https://www.city.go.kr/index.do, 2022.07.07
33 김주진, 황규홍, 임주호, 류동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방안, LH토지주택연구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