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8.115

An Analysis of Performers' Contribution to Entertainment Show Clips on AVOD Platform  

Ko, Jeong-Min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Choi, Yong-Seok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Jeong, Yuna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Kim, Dong-Young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Kong, Tae-Hyeon (홍익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performers on the number of views and likes of entertainment show clips consumed on AVOD short form platfor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setting program viewing factors and performer's topicality index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setting the number of views and likes of clips as 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erformer's topicality index had a positive(+) effect on both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standardized coefficient, on the number of views, the standardization coefficient of the performer's topicality index was the second highest, and on the number of likes it was the highest among variables. The results suggest that performers contribute a lot to the success of clips on AVOD short form platform.
Keywords
AVOD; Performers; Short Form; Entertainment Show; Clip; Contributiv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남두, 국내 OTT 서비스의 콘텐츠 제공현황 및 서비스.콘텐츠 이용행태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2 이종희, 조지형, 조신, "IPTV에서 프로그램별 VOD 시청 건수결정 요인에 관한 실증 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5권, 제3호, pp.123-156, 2018.
3 조준상, 은혜정, "리얼리티 예능 프로그램연구: 의사사회 상호작용 요인, 플로우 그리고 시청만족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13권, 제3호, pp.556-590, 2013.
4 C. F. Greer and D. A. Ferguson, "Tablet Computers and Traditional Television(TV) Viewing: Is the iPad Replacing TV?," Convergence, Vol.21, No.2, pp.244-256, 2015.   DOI
5 배진아, "드라마 시청률 영향 요인 분석드라마 속성 및 수용자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19권, 제2호, pp.270-309, 2005.
6 김미경, 안재현, 박창희, "인터넷 vod 드라마 시청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3권, 제1호, pp.348-367, 2009.
7 서정주, "스낵컬처(Snack Culture) 확산과 활용," KB 지식비타민, 제78호, pp.1-7, 2015.
8 권호영, 김달진, "드라마에서 스타파워의 지속성 분석," 동서언로, 제28권, pp.5-38, 2010.
9 강명현, 윤대산, "예능 프로그램의 편성, 내용, 제작요인이 시청률 및 가치 평가지표에 미치는 영향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pp.86-117, 2021.
10 주혜민, 이상원, "가입자형 vod와 유료 광고형 vod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사회와 미디어, 제20권, 제3호, pp.57-91, 2019.
11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997597.html, 2022.04.26.
12 R. Cooper, "An Expanded, Integrated Model for Determining Audience Exposur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7, No.4, pp.401-418, 1993.
13 X. Kui, H. Lv, Z. Tang, H. Zhou, W. Yang, J. Li, J. Guo, and J. Xia, "TVseer: A Visual Analytics System for Television Ratings," Visual Informatics, Vol.4, No.3, pp.1-11, 2020.
14 https://www.ldoceonline.com/Film-topic/clip, 2022.04.29.
15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중국과 미국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 고품질화 시도, 2018.
16 http://www.smartmediarep.com/tech/tech_010100.html, 2022.04.06.
17 방송통신위원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2019년 고정형TV 실시간 시청점유율 보고서, 2020.
18 심미선, 한진만, "프라임타임대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6권, 제4호, pp.177-216, 2002.
19 김윤화,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유.무료 이용행태분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1.
20 임정일, 차유리, "TV 프로그램 시청률과 디지털 VOD 클립 조회 수 간 관계에서 이용자 및 프로그램 속성별 세분화 변인의 조절 효과 - 다중 매체 환경에서의 신(新) 이중 위험 현상 단서 탐색,"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8권, 제4호, pp.239-283, 2016.
21 방송통신위원회, 2019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19.
22 방송통신위원회, 2020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20.
23 홍성현, 황상재, "웹 드라마의 흥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제100호, pp.35-69, 2017.   DOI
24 양기문, 정선형, 이상우, "영상클립의 인기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네이버 TV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706-718, 2018.   DOI
25 강수연, 전희정, 김지혜, 송종우, "국내 드라마 시청률 예측 및 영향요인 분석," 응용통계연구, 제28권, 제5호, pp.933-949, 2015.   DOI
26 조석현, 이현지, "방송 클립 동영상 이용과 tv 본방송 시청 간의 관계," 한국광고홍보학보, 제22권, 제3호, pp.5-32, 2020.
27 함민정, 이상우, "네이버TV캐스트 클립영상의 TV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된 대체가능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92-104, 2019.   DOI
28 안재현, 김미경, 민병현, "온라인 VOD 영상콘텐츠 흥행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3호, pp.157-165, 2010.   DOI
29 이화진, 김숙, "TV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내용변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보, 제21권, 제6호, pp.492-535, 2007.
30 김정호, "한국영화 스타파워 분석 -2003-2007 배우와 감독-," 영화연구, 제38호, pp.11-52, 2008.   DOI
31 유세경, 김숙, "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외주 제작 드라마의 생산 요소들을 중심으로,"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8권, 제3호, pp.7-48, 2010.
32 BEREC, Report on OTT services, 2016.
33 한소울, 권상희, "개인화 추천 서비스와 기대일치가 OTT 플랫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유튜브 (youtube)와 넷플릭스(netflix) 섬네일(thumbnail)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11호, pp.151-180, 2022.
34 방송통신위원회, 2018년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 2018.
35 B. A. B. Brown, R. E. Rice, and K. E. Pearce, "Influences on TV Viewing and Online User-shared Video Use: Demographics, Generations, Contextual Age, Media Use, Motivations, and Audience Activity,"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Vol.56, No.4, pp.471-493, 2012.   DOI
36 J. M. Kayany and P. Yelsma, "Displacement Effects of Online Media in the Socio-Technical Contexts of Households," Journal of Broadcasting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215-229, 2000.   DOI
37 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 방송클립 유인요소의 흥행에 대한 기여도 측정 연구, 2022.
38 영화진흥위원회, 영화 온라인 시장 구조분석, 2016.
39 Deloitte, Short Form Video: A Future, but not the Future, of Television, 2015.
40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인문콘텐츠, 제58호, pp.121-139,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