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7.395

Health Behavior and Sitting Time Effec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Obesity: A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Levels  

Shin, Sang Ye (선린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obesity in the elderly and to seek differentiated intervention measure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obesity in single-person household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Us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2020, cross-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data of a total of 400 respondents, and the analysis showed vulnerability in physical activities that could affect obesity if the education level was low, and risk factors such as eating out and sodium intake were high.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 levels, sedentary time was a risk factor in the low-education group, and sodium intake was a risk factor for obesity in the high-education group. Through this, it was discussed the need for healthy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education for middle-aged and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and differentiated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education.
Keywords
Single-Person Households; Health Behavior; Obesity; A Sedentary Tim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C. B. Ebbeling, D. B. Pawlak, and D. S. Ludwig, "Childhood obesity: public health crisis," Lancet, Vol.36, pp.473-482, 2002.
2 허재헌, "국내 성인의 건강증진 행동 병행 수준과 비만,"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4, pp.889-904, 2020.
3 정소연, 김경우, 장윤녕, 권혁태, 김유일, 허봉렬, 조비룡, "한국 중년에서 건강 행동의 인식도와 실천율의 관련성," 가정의학회지, 제28권, 제11호, pp.845-852, 2007.
4 S. T. Jeor, S. P. Chaney, M. S. Grant, C. Williams, and J. Foreyt, "Family-based interventions for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J Am Diet Association, Vo.102, No.5, pp.640-644, 2002.   DOI
5 김태호, 한태용, 최용철. "남녀 노인의 체력, 비만과 우울 지수의 연관성,"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8권, 제6호, pp.1187-1196, 2019.
6 이연경, 박정란, "연령에 따른 비만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 제13권, 제6호, pp.1015-1021, 2013.   DOI
7 J. P. Ruger, "Ethics of the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 Lancet, Vol.364, No,9439, pp.1092-1097, 2004.   DOI
8 T. H. Hsieh, J. J. Lee, E. W. Yu, H. Y. Hu, S. Y. Lin, and C. Y. Ho,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education level among the elderly in Taipei, Taiwan between 2013 and 2015: a cross-sectional study," Scientific Reports, Vol.1, No.1, pp.1-9, 2020.
9 윤준형, 김종우, 이선영, 김규남, 조인영, 조영민 "한국노인의 대사 지표를 가장 잘 반영하는 비만 지표는?," 대한비만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40-147, 2012.
10 M. Devaux, F. Sassi, J. Church, M. Cecchini, and F. Borgonovi,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obesity," OECD Journal: Economic Studies, Vol.2011, No.1, pp.1-40, 2011.
11 최보름,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 좌식시간, 신체활동 시간과 비만의 상호관련성,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2 Y. Xin and R. Xiaohui, "Social Capital as a Mediator through the Effect of Education on Depression and Obesity among the Elderly in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17. No.1, pp.39-77, 2020.   DOI
13 정동욱, 조영혜, 이상엽, "노인 비만의 평가, 동반 질환 및 관리," 대한비만학회지, 제1권, 제2호, pp.77-83, 2012.
14 C. Zhang, K. M. Rexrode, R. M. van Dam, T. Y. Li, and F. B. Hu, "Abdominal obesity and the risk of all-cause, cardiovascular, and cancer mortality: sixteen years of follow-up in US women," Circulation, Vol.117, No.13, pp.165-166, 2008.
15 N. Owen, P. B. Sparling, G. N. Healy, D. W. Dunstan, and C. E. Matthews. "Sedentary Behavior: Emerging Evidence for a New Health Risk," Mayo Clinic Proceedings, Vol.85, No.12, pp.1138-1141, 2010.   DOI
16 김도영,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 수준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5권, 제4호, pp.329-369, 2015.   DOI
17 이주연, 박진희, 남윤자, "고령 남녀의 체형 특성 연구 다양한 비만지수의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제43권, 제2호, pp.184-203, 2018.   DOI
18 J. A. Batsis and D. T. Villareal, "Sarcopenic obesity in older adults: aetiology, epidemiology and treatment strategies," Nature Reviews Endocrinology, ,Vol.14, No.9, pp.513-537, 2018.   DOI
19 대한비만학회, Obesity Fact sheet, NHIS, 2020.
20 강은정,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사용한 한국 성인의 건강행태 군집의 분류," 보건사회연구, 제27권, 제2호, pp.44-66, 2007.   DOI
21 사회통계국, 2021 통계로 보는 1인 가구, 통계청, 2021.
22 이승원, 김동배, 이주연,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만족도의조절효과를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제12권, 제1호, pp.107-125, 2008.
23 https://www.who.int/westernpacific/health-topics/obesity, 2021.05.01.
24 유순집, "노인 비만과 대사증후군,"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제2권, pp.735-741, 2019.
25 김동배, 유병선, 민정선,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3호, pp.267-290, 2011.   DOI
26 채규희, 원장원, 최현림, 김병성, "65세 이상의 노인에서 체질량지수와 비만 관련 삶의 질의 연관성: 서울 2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가정의 학회지, 제31권, 제7호, pp.540-546, 2010.
27 M. Schwartz and R. Puhl "Childhood obesity: A societal problem to solve," Obesity Reviews, Vol.4, No.1, pp.57-71, 2003.   DOI
28 서남숙, 김영희, 강혜영, "행동수정과 자기효능감에 근거한 비만 관리프로그램의 효과: 초등학교 비만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간호과학회, 제35권, 제3호, pp.611-620, 2005.
29 홍승희, 김지명, "연령대별 1인 가구 및 다인 가구의 식생활 행태 및 건강한 식생활 역량과의 관계," 대한지역 사회영양학회지, 제26권, 제5호, pp.337-349, 2021.
30 G. N. Healy, D. W. Dunstan, J. Salmon, E. Cerin, J. E. Shaw, P. Z. Zimmet, and N. Owen, "Breaks in sedentary time: beneficial associations with metabolic risk," Diabetes care, Vol.31, No.4, pp.661-666, 2008.   DOI
31 강은나, 김혜진, 김영선, "도시지역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 활동유형과 우울 수준,"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184-215, 2017.   DOI
32 김진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한국사회학, 제41권, 제3권, pp.127-153, 2007.
33 김혜련, "만성질환 유병과 주관적 건강 수준의 사회 계층별 차이와 건강행태의 영향 - 서울시민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제25권, 제2호, pp.3-35, 2005.
34 이정민, 김원중, 손혜숙, 전진호, 이명진, 박현숙, "연령층별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른 건강 행위 실천과 주관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317-327, 2012.   DOI
35 임유진,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 전기, 중기, 후기 중고령자 연령대 구분을 중심으로," 글로벌사회복지연구, 제7권, 제1호, pp.85-121, 2017.
36 김근홍, 김효정, 신현석, 서문진희, 송지원, "중.고령자의 지역사회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50권, 제1호, pp.53-81, 2014.
37 김태년, "심혈관대사질환 예측인자로서 허리둘레/신장비의 유용성," 대한비만학회지, 제24권, 제2호, pp.92-94, 2015.
38 D. K. Houston, J. Ding, B. J. Nicklas, T. B. Harris, J. S. Lee, M. C. Nevitt, S. M. Rubin, F. A. Tylavsky, S. B. Kritchevsky, and Health ABC Study, "Overweight and obesity over the adult life course and incident mobility limitation in older adults: the health, aging and body composition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69, No.8, pp.927-936, 2009.   DOI
39 김미현, "한국 성인 여자에서 복부비만에 따른 만성질환 위험 비교: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식품영양학회, 제29권, 제6호, pp.938-945, 2016.   DOI
40 김혜진, 김철현, "한국 성인 비만 평가를 위한 체질량 지수 분별 점의 유효성,"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31-140, 2014.   DOI
41 S. Jackson, R. Beeken, and J. Wardle, "Obesity, perceived weight discrimina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adults in England. Obesity," Vol.23, No.1, pp.1105-1111, 2015.   DOI
42 김명관, 김건엽, 남행미, 홍남수, 이유미, "한국 중년 직장인의 나트륨 과다섭취 특성과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5권, 제5호, pp.2923-2929, 2014.
43 공성아, 한상완, "중년 비만 여성의 비만도 개선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제11권, 제2호, pp.53-61, 2009.
44 조동훈,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 패널분석," 응용경제, 제17권, 제1호, pp.5-27, 2015.
45 김유미, 김명희, "한국 건강 불평등의 현황과 문제," 예방의학회지, 제40권, 제6호, pp.431-43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