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5.620

A Qualitative Study on the Anthropocen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Undergraduates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  

Chu, Sung-Kyung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Byeon, So-Yeon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Yoon, Hae-Gyung (동의대학교 기초과학교양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order to prepare for the Anthropocen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the Anthropocene liberal arts education by sharing experiences on anthropocene perception for undergraduates using the FGI analysis metho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14 people who participated in liberal arts tutoring for about four months from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and as a result of confirming meaningful concepts according to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a total of three topics, eight subcategories, and 16 sub-units were derived. "The advent of the new geological age" recognized that the anthrop tax was close to our lives, and it was time to predict the future through the meaning, seriousness,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anthrop tax, and "Anthropocene Reorganization and Responsibility" emphasized the reorganization and responsibility of individuals, companies, and governments. The Direction of Human Tax Liberal Education proposed future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ction practice for climate change, measures to overcome the anthropology using ICT technology, and various liberal arts education contents for a positive anthropology. In this regard, this study raised perception of the survival of mankind by in-depth exploration of the anthropocene in terms of liberal arts education,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necessary in the anthropocene era,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Keywords
Focus Group Interview; Liberal Arts; Anthropocene; Perception; Experi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아,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기반한 '세계시민교육과 리더십' 교양교과목의 사례연구," 교양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255-277, 2019.
2 신두호, "환상에서 현실로: 인류세, 기후 변화, 문학적 수용의 과제," 인문과학, 제60권, pp.67-102, 2016.
3 강윤재, 우리가 인류세에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 동대신문, 2019.
4 임현수, "지질학적 관점에서 인류세(Anthropocene)의 의미," 계간 시작, 제17권, 제4호, pp.54-71, 2018.
5 I. Angus, Facing the Anthropocene: Fossil Capitalism and the Crisis of the Earth System,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2016.
6 박지민, 문정윤, 이주은, "인류세 담론으로 본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 호, pp.138-150, 2020.   DOI
7 장주영, "인류세에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기초로서 동양적 자연관에 기반한 생태소양,"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25권, 제4호, pp.461-471, 2019.
8 전혜숙, "인간 및 생명개념의 변화를 중심으로 본 인류세 시대 미술의 특징," 미술교육논총, 제33권, 제3호, pp.1-25, 2019.
9 최명애, 박범순, "인류세 연구와 한국 환경사회학 : 새로운 질문들," ECO, 제23권, 제2호, pp.7-41, 2019.   DOI
10 변종민, 성영배, "인류세 이전 토양생성률과 20세기 후반 토양유실률 비교를 통한 토양경관 지속가능성 전망," 대한지리학회지, 제50권, pp.165-183, 2015.
11 P. J. Crutzen, "Geology of mankind," Nature, Vol.415, No.23, 2002.
12 J. Zalasiewicz, C. N. Waters, M. Williams, and C. P. Summerhayes, (Eds.) The Anthropocene as a geological time unit: A guide to the scientific evidence and current deb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13 최승기, 김대영, "인류세 시대의 생명정치와 음식생산시스템 --마이클 캐롤란의 「값싼 음식의 실제 가격」에 나타난 외부효과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제18권, 제1호, pp.5-34, 2019.   DOI
14 C. N. Waters, J. Zalasiewicz, C. Summerhayes, A. D. Barnosky, C. Poirier, A. Galuszka, and A. P. Wolfe, "The Anthropocene is functionally and stratigraphically distinct from the Holocene," Science, Vol.351, No.6269, p.137, 2016.
15 W. Willett, J. Rockstrom, B. Loken, M. Springmann, T. Lang, S. Vermeulen, T. Garnett, D. Tilman, F. DeClerck, A. Wood, M. Jonell, M. Clark, L. J. Gordon, J. Fanzo, C. Hawkes, R. Zurayk, J. A. Rivera, W. De Vries, L. Majele Sibanda, ... and C. J. L. Murray, "Food in the Anthropocene: the EAT-Lancet Commission on healthy diets from sustainable food systems," The Lancet, Vol.393, pp.447-492, 2019.   DOI
16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Los Angeles: Sage: Publications, 2009.
17 M. Luke and K. M. Goodrich, "Focus group research: An international strategy for applied group research," The Journal for Specialists in Group Work, Vol.44, No.2, pp.77-81, 2019.   DOI
18 신경림, 장연집, 김영경, 이금재, 최명민, 김혜영, 김영혜 역, 포커스 그룹: 질적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2004.
19 D. L. Morgan, Focus Groups as qualitative research(2n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7.
20 김지성, 남욱현, 임현수, "인류세(Anthropocene)의 시점과 의미," 지질학회지, 제52권, 제2호, pp.163-171, 2016.
21 이우진, "지구위험시대에 따른 교육의 방향전환- '세계시민주의교육'과 '생태시민교육'을 넘어서 '미래생존을 위한 교육'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제89권, 제9호, pp.463-499, 2021.
22 최병두, "인류세를 위한 녹색전환," 공간과 사회, 제71권, pp.10-47, 2020.
23 박태현, "인류세에서 지구공동체를 위한 지구법학," 환경법과 정책, 제26권. pp.1-35, 2021.
24 박세정, 이소은, 서지현, 오금식, "'채식의 날' 기후변화 캠페인이 소셜미디어 반응과 캠페인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부산 지역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888-895, 2021.   DOI
25 조정현, 인류세(Anthropocene) 관점으로서의 현대미술 방향 연구-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6 김소연, "공생을 위한 인류세 시대의 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연구, 제12권, 제4호, pp.1-17, 2020.
27 오재림, 이숙정, "대학 교양 환경교육의 현황과 향후 과제," 한국산림휴양학회지, 제20권, 제3호, pp.39-48, 2016.   DOI
28 한국교양기초교육원, 대학교양기초교육백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17.
29 M. Hume, Why we disagree about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009,
30 김종갑, "인류세 시대의 문학: 탈인간화된 자연의 언어를 찾아서," 계간 시작, 제19권, 제4호, pp.18-25, 2020.
31 이혜정, "지질학과 인류세의 미학," 조형디자인연구, 제24권, 제4호, pp.99-117, 2021.
32 노희정, "인류세의 환경윤리와 도덕교육," 윤리교육연구, 제54호, pp.145-164, 2019.
33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s(5th ed), Thousand Oak, CA: Sage: Publications, 2015.
34 T. A. Schwandt, The SAGE dictionary of qualitative inquiry, London: SAGE Publishing, 2007.
35 이지은, "인류세의 미술: 토마스 사라세노, 피에르 위그, 아니카 이의 작업을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제54권, pp21-41, 2021.
36 S. C. Finney and L. E. Edwards, "The 'Anthropocene' epoch: Scientific decision or political statement?," GSA Today, Vol.26, pp.4-10, 2016.
37 이광석, "인류세 논의를 둘러싼 쟁점과 테크노-생태학적 전망," 문화과학, 제97호, pp.22-54, 2019.
38 S. Lewis and M. Maslin, "Defining the Anthropocene," Nature, Vol.519, pp.171-180, 2015.   DOI
39 E. Pawson, "What Sort of Geographical Education for the Anthropocene?," Geographical Research, Vol.53, No.3, pp.306-312, 2015.   DOI
40 류지영, "인류세 시대의 미술교육," 조형교육, 제71권, pp.61-81, 2019.
41 박지민, 문정윤, 이주은, "인류세 담론으로 본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4호, pp.138-150, 2020.   DOI
42 박성인, "인류세 위기 시대의 글로벌 시민성교육," 글로벌교육연구, 제13권, 제3호, pp.57-78, 2021.
43 김남준, "도덕과에서 환경윤리교육의 내실화 방안-생태 시민성 논의를 중심으로," 윤리와 교육, 제72권, pp.251-283, 2021.
44 홍영식, 이덕로, "우리나라 언론에 나타난 기후변화 거버넌스 연구 : 일간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38-56, 2019.
45 김성희, 이상욱, "인류세 시대에 필요한 지속 가능한 발전 맥락의 과학교양교육 : 한양대학교 <인류세 시대를 위한 미래인문학> 과목의 주제 구성과 운영," 교양학 연구, 제14호, pp.115-140, 2021.
46 W. J. Autin and J. M. Holbrook, "Is the Anthropocene an issue of stratigraphy or pop culture?," GSA Today, Vol.22, pp.60-61, 2012.
47 P. J. Crutzen and E. F. Stoermer, "The Anthropocene. Global Change News-letter,"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IGBP, Vol.41, pp.17-18, 2000.
48 조철기, "인류세의 지리교육적 함의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제27권, 제2호, pp.87-97, 2019.   DOI
49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과정정책과, 2021.
50 J. Zalasiewicz, M. Williams, A. Smith, T. L. Barry, A. L. Coe, P. R. Bown, and P. Stone, "Are we now living in the Anthropocene?," GSA Today, Vol.18, pp.4-8, 2008.
51 W. Steffen, P. J. Crutzen, and J. R. McNeill, "The Anthropocene: are humans now overwhelming the great forces of Nature?," Ambio, Vol.36, pp.614-621, 2007.   DOI
52 정문현, 최미영, "교양체육수업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경험적 의미 탐색," 한국체육학회, 제54권, 제5호, pp.31-4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