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4.754

A Background Study of 'Haenyeo Uprising Song' in the Jeju Haenyeo Anti-Japanese Movement  

Moon, Hyojin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a reflection and review of looking back on the anti-Japanese movement of Jeju Haenyeo. The Jeju Haenyeo Anti-Japanese Movement is the largest women's solidarity movement in Korea, with the struggle for the right to survive expanding to the anti-Japanese movement. Kang Kwan-Soon of young intellectuals in Jeju carried out an enlightenment campaign and made the unfair lives of Haenyeo into song lyrics to promote the anti-Japanese consciousness. 'Song of Haenyeo' has been excluded from the record for reasons of using Japanese melodies of 'Tokyo March', not traditional folk songs, and the socialist forces behind it. The study of Jeju Haenyeo is an important basic reference for the study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that successfully led the Jeju Haenyeo's human rights struggle. Oral tradition songs are the most fundamental art form. Through this research to revive the spirit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remember the value of their sacrifices and contributions through comparative of the two songs.
Keywords
Jeju Haenyeo Anti-Japanese Movement; Kang Kwan-Soon; Haenyeo Uprising Song; Tokyo March;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엄현섭," 植民地 韓日 大衆文化誌 比較硏究-「死의 讚美」와 「東京行進曲」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제40호, pp.1-24, 2007.
2 임다함, "1920년대 말 조선총독부 선전영화의 전략,"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저널, 제51권, pp.27-38, 2018.
3 志村三, "編棒されるメディア- 「東京行進曲」 の画化をめぐって," JAIRO, 기요연극센터, 와세다대학 21세기 COE 프로그램, 제8권, pp.253-259, 2016.
4 Cameron Clark, 「東京行進曲」(Tokyo Koshinkyoku) "Tokyo March" composed by Shinpei Nakayama, The Ohio State University Libraries, Japanese Collections, 2014.
5 배샛별, 일제강점기 유행가의 음악적 특성 분석,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6 박기선, "군사정권 시기 금지곡의 선율적 특성에 대한 연구:왜색가요로 분류된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음악학학회, 제40권, pp.43-70, 2021.
7 우도지편찬위원회, "우도지 : 제주해녀 항일운동과 잠수," 우도지, 제3권, pp.368-369, 1996.
8 김태완, "보훈정책의 시각에서 본 제주해녀 항일운동의 과제," 한국보훈학회, 제18권, 제4호, pp.91-116, 2019.
9 박경자, "한국대중가요에 나타난 일본음계의 고찰:요나누끼 음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집, 제2권, pp.533-575, 1994.
10 신하경, "기쿠치 칸(菊池館) 멜로드라마의 현재성: 동경행진곡(東京行進曲)을 중심으로," 일본학보, 제95권, pp.123-138, 2013.
11 박찬식, "해녀투쟁의 역사적 기억,"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탐라문화, 제30권, pp.39-68, 2007.
12 김순두, 해녀의 노래, 제민일보 칼럼, 2015.12.27. url 추가 기입
13 권정구 "비공개 심의본에 나타난 왜색 금지곡의 특징분석," 한국민요학회, 제55권, pp.25-52, 2019.
14 권혜경, "한국대중가요에 나타난 일본음계의 고찰:미야꼬부시 음계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집, 제2권, pp.491-531, 1994.
15 심옥주, "일제강점기 제주독립운동의 지형과 독립유공 자 현황 분석,"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제 46호, pp.327-362, 2013.
16 제주학연구센터, 제주해녀항일운동 조사보고서, 제주 특별자치도 해녀문화유산과, 2019.
17 제주해녀항일투쟁 기념사업 추진위윈회, 제주해녀항 일투쟁실록 : 우리 해녀들의 투쟁 회고, 1995.
18 김은실, "제주해녀의 주체성과 제주해녀항일운동," 성신여자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제16호, pp.27-69,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