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3.222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mong Emergency Room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Lee, San-Na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Kim, Seon-Ha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emergency room nurs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43 nurses working in the emergency room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As factors influenc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emotional labor, job stres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work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by age, experience in emergency room, position, work pattern, and intention to move to another department.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job stress and choice to work in the emergency room,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7%.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job stress, the lower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manage job stress arrange departments according to individual needs to improv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nurses in the emergency room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Keywords
Emergency Room; Emotional Labor; Job Stress; Patient Safety; Safety Manag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금옥,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 김미정, 김종경,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역량, 안전간호활동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제17권, 제10호, pp.268-279, 2017.   DOI
3 오명옥, 성미혜, 김양원,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피로, 직무 만족 및 조직 몰입," 임상간호연구, 제17권, 제2호, pp.215-227, 2011.   DOI
4 R. M. Mickey and S. Greenland, "The impact of confounder selection criteria on effect estimation," American J. of epidemiology, Vol.129, No.1, pp.125-137, 1989.   DOI
5 김정은, 강민아, 안경애, 성영희,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문화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조사," 병원간호사회, 제13권, 제3호, pp.169-179, 2007.
6 윤정미, 박형숙,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 위험요인에 대한 위험성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 기본간호학회지, 제21권, 제4호, pp.380-391, 2014.   DOI
7 L. D. Scott, A. E. Rogers, W. T. Hwang, and Y. Zhang, "Effects of critical care nurses' work hours on vigilanceand patients' safety," Am J. of Critical Care, Vol.15, No.1, pp.30-37, 2006.   DOI
8 위선미, 이여진, "감정노동의 하부요인이 병원간호사의 직무만족, 이직의도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제18권, 제3호, pp.310-319, 2012.   DOI
9 채우리,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0 이유림, 안숙희,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근관절건강학회, 제22권, 제1호, pp.30-39, 2015.
11 장은화, 심문숙,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건강증진행위 및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2권, 제2호, pp.249-262, 2018.   DOI
12 윤치근, 이한나, "임상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에 관한 조사연구," 보건정보통계학회, 제28권, 제2호, pp.95-110, 2003.
13 http://www.jointcommission.org/PatientSafety/NationalPatientSafetyGoals/
14 김영미, 이여진,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임파워먼트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제21권, 제3호, pp.258-265, 2012.   DOI
15 안진선, 김연하, 김민주, "응급실 간호사의 감염노출 예방행위 수행정도와 영향요인," 대한근관절건강학회, 제22권, 제1호, pp.40-47, 2015.
16 J. Fordyce, S. J. Fidela, P. Pekowp, S. Gehlbach, E. Benjamin, and P. L. Henneman, "Errors in a busy emergency department,"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Vol.42, No.3, pp.324-333, 2003.   DOI
17 J. A. Morris and D. C. Feldman,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1, No.4, pp.986-1010, 1996.   DOI
18 김수현, 김자숙, "신규간호사의 감정노동, 대인관계, 이직의도와 자기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예측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제18권, 제11호, pp.547-558, 2020.
19 차보경, 최정,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비교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21권, 제4호, pp.405-416, 2015.   DOI
20 이나주, 김정희,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한국간호행정학회, 제17권, 제4호, pp.462-473, 2011.
21 박은희, 박향진,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의료커뮤미케이션학회, 제15권, 제2호, pp.53-60, 2020.
22 D. Alexander, T. L. Kinsley, and C. Waszinski, "Journey to a safe environment: fall prevention in an emergency department at a level I trauma center," J. of Emergency Nursing, Vol.39, No.4, pp.346-352, 2013.   DOI
23 중앙응급의료센터, 2012년도 응급의료 통계연보, 윤여규, 2013.
24 중앙응급의료센터, 2019년도 응급의료 통계연보, 정기현, 2020.
25 A. A. Grandey,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J.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5, No.1, pp.95-110, 2000.   DOI
26 오영미,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27 나영도,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8 C. S. McCleese, L. T. Eby, E. A. Scharlau, and B. H. Hoffman, "Hierarchical, job content, and double plateaus: A mixed-method study of stress, depression and coping responses," J. of Vocational Behavior, Vol.71, No.2, pp.282-299, 2007.   DOI
29 최경란, 허성은, 문덕환, "교대 근무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한국융합학회, 제7권, 제4호, pp.107-1221, 2016.   DOI
30 오윤정, 최영희, "융복합 시대의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한연구, 제13권, 제10호, pp.415-424, 2015.
31 이금옥,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2 이지은, 이은남,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중환자간호학회지, 제6권, 제1호, pp.44-56, 2013.
33 최서란, 정혜선,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메타분석," 산업간호학회, 제14권, 제1호, pp.71-82, 2005.
34 신지선,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소진, 공감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35 N. J.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3rd edition, Appleton & Lange, Stamford, 1996.
36 김명선,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에 대한 인식과영향요인,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7 박소정, 강지연, 이영옥,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중환자간호학회, 제5권, 제1호, pp.44-55, 2012.
38 임선애, 박민정,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6권, 제6호, pp.259-270, 2018.   DOI
39 김매자, 구미옥, "간호원이 근무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구개발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제14권, 제2호, pp.28-37, 1984.
40 김미로, 서은주, 신성희, "응급실 간호사의 감정노동,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 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학스트레스학회, 제27권, 제4호, pp.404-412, 2019.
41 박경아, 응급실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강인성, 소진 및 이직의도,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42 주경희, 임상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휘논문, 2018.
43 정수희, 최은숙,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 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47-54, 2017.
44 이유정,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5 이명선, 응급실 간호사의 소아응급환자 간호업무와 관련된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46 김민정, 임상간호사가 경험하는 폭력의 유형과 폭력 후 대응양상, 한양대학교 간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7 김미경, 이상미,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 활동 간의 인과관계분석," 간호행정학회지, 제25권, 제4호, pp.340-352, 2019.
48 송윤정, 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49 윤금선, 응급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안,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0 남혜리, 조영미, "공감능력과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연구학회지, 제1권, 제1호, pp.37-45, 2017.
51 오미정, 리더십과 조직관리, 수문사, 2021.
52 노진희, 나연경, "병원간호사의 폭력경험, 감정노동, 직무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제24권, 제3호, pp.153-161, 2015.   DOI
53 이승영, 김덕호,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 제27권, 제3호, pp.215-223, 2019.
54 최정화, 이경미, 이미애,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 제17권, 제1호, pp.64-72, 2010.
55 https://www.ahrq.gov/sites/default/files/wysiwyg/profes
56 공현희, 손연정, "상급 종합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제19권, 제4호, pp.453-462, 2012.   DOI
57 조혜원, 양진향,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제19권, 제1호, pp.35-45, 201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