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2.682

Masculinity Reproduced in a Korean Cop Films - Mainly in the 2010s  

Won, Il-Hoon (홍익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asculineness reproduced in Korean cop films and their deep meaning, mainly in the 2010s. This analysis work will be a work that embodies the masculine ideal type and true masculinity recognized in Korean society. Also, through this, we will be able to approach the ideals and operations of Korean society. As a result, Korean cop films are mysteriously obsessed with masculinity and masculinity behavior through the main character in the film, which shows off masculinity with mental and physical superiority. Korean cop films also show a desire for patriarchal normality through an ending that shows the moment of masculine recovery through the physical victory of a rough and strong man. And the Korean cop film includes the claim that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justice requires the existence of masculineness, which is essential, and that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justice must be sacrificed to some extent.
Keywords
Masculinity; Cop Films; Masculine Ideal; Masculinity Recovery; Masculinity Cri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박노자, 씩씩한 남자 만들기. 푸른역사, p.6, 2009.
2 H. C. Mansfield, 남자다움에 관하여, 이광조옮김, 이후, p.169, 2010.
3 최태섭, 한국, 남자: 귀남이부터 군무새까지 그 곤란함의 사회, 은행나무, p.135, 2018.
4 송희영, "현대 '남성성'의 창조 - 광고에 나타난 '남성의 몸," 카프카연구, 제25집, pp.329-349, 2011.
5 J. Beynon, 남성성과 문화, 임인숙, 김미영 옮김, 고려 대학교출판부, p.112, 2011.
6 E. Baldwin, B. Longhurst, S. McCracken, M. Ogborn, and G. Smith, 문화코드-문화연구의 이론과 실제, 한울 아카데미, pp.173, 2008.
7 J. Beynon, 남성성과 문화, 임인숙, 김미영 옮김, 고려대학교출판부, p.15, 2011.
8 P. Gates, Detecting Men: Masculinity and the Hollywood Detective Fil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135-136, 2006.
9 최태섭, 한국, 남자: 귀남이부터 군무새까지 그 곤란함의 사회, 은행나무, p.179, 2018.
10 G. L. Mosse, 남자의 이미지-현대 남성성의 창조, 문예출판사, 2004.
11 A. B. Heilbrun, Jr, Human Sex-role behaviour, New york Pergamon Press, 1981.
12 R. W. Connell, 남성성/들, 안상욱, 현민 옮김, 이매진, pp.123-130, 2013.
13 정희진, 한국 남성의 식민성과 여성주의 이론, 한국남성을 분석한다, 권김현영 엮음, 교양인, pp.49-56, 2017.
14 호현찬, 한국 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p.234, 2000.
15 최태섭, 한국, 남자: 귀남이부터 군무새까지 그 곤란함의 사회, 은행나무, p.90, 2018.
16 https://h21.hani.co.kr/arti/culture_general/24900.html
17 R. Ryle, 젠더란 무엇인가 성, 몸, 권력을 둘러싼 사회학적 물음, 조애리, 강문순, 김진옥 역, 한울아카데미, 2020.
18 원일훈, "2000년대 한국 필름느와르에 나타난 남성성," 한국디자인학회 논문지, 제30권, 제3호, p.133, 2017.
19 S. Ruth, Issues in Feminism, An Introduction to women's studies, Mayfield publishing Company, 1995.
20 P. Gates, Detecting Men Masculinity and the Hollywood Detective Fil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125, 2006.
21 P. Bourdieu, 남성지배, 김용숙 역, 동문선, p.22, 2003.
22 P. Bourdieu, 남성지배, 김용숙 역, 동문선, pp.72-73, 2003.
23 허윤, 손희정, 연세대학교 젠더연구소, 그런 남자는 없다: 혐오사회에서 한국 남성성 질문하기, 오월의 봄, 2017.
24 한국영화진흥위원회, 1998-2020 한국 영화 산업 결산 보고서, 2021.
25 박노자, 씩씩한 남자 만들기, 푸른역사, p.33, 2009.
26 최태섭, 한국, 남자: 귀남이부터 군무새까지 그 곤란함의 사회, 은행나무, p.178, 2018.
27 H. C. Mansfield, 남자다움에 관하여, 이광조 옮김, 이후, p.178, 2010.
28 D. D. Gilmore, Manhood in the Making: Cultural Concepts of Masculinity, Yale University Press,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