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2.337

Research Tendency of Storytelling Utilization in Korean Education - Focusing on Researchers' Recognitions towards the Designs of Tellers and Listeners in Storytelling Classes -  

Lee, Ran (숭실사이버대학교 한국어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In the light of the researchers' recognition towards the designs of tellers and listeners in storytelling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search trend in Korean Education in which storytelling had been utilized and to suggest a proper direction in the related education and research. The most essential thing in the conceptualization towards storytelling was thought to be 'intercommunication.' Also, it is considered as the most basic conceptual factor who we would regard as 'tellers' and 'listeners' in order to plan and construct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searched and analyzed total 28 research results,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2008 to 2021(May), through an academic searching site, Riss with the keyword "Korean Education Storytelling." The analysis exhibited that the formation of Korean classes utilizing storytelling originated from three kinds of researchers' previous conceptualization towards storytelling.: Writers' storytelling, teachers' storytelling, and learners' storytelling. Among them, the most large portion was devoted to 'leaners' storytelling'; its subcategories were learners' retelling, interpretative storytelling, learners' negotiated storytelling and learners' creative storytelling.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n conceptualization of storytelling above, categorized the results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category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respectively.
Keywords
Korean Education with Storytelling; Research Tendency; Designs on Storytelling Classes; Intercommunication; Recognition of Researche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곽경숙, "선교목적 한국어교육에서 성경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광신논단, Vol.29, pp.203-223, 2019.
2 오은엽,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학교육 방안 연구," 제23차 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537-549, 2013.
3 김희숙, "한국어 스토리텔링을 위한 하나의 제언," 한국어와 문화, Vol.9, pp.265-285, 2011.
4 J. S. Bruner, 교육의 과정(The Process of Education), 배영사, 2017.
5 원보라, 최영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교육의 개념 및 유형 체계화 연구," 국어교육, Vol.158, pp.149-182, 2017.
6 조정래, 스토리텔링의 모든 것, 행복한 미래, 2016.
7 류수열, 유지은, 이수라, 이용욱, 장미영, 스토리텔링의 이해, 글누림, 2007.
8 R. Bruinsma, The Joy of Language, Purposeful Design, 2003.
9 김정희,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가,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4.
10 C. H. Miller, Digital Storytelling, Focal Press, 2008.
11 박숙자,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새국어교육, Vol.86, pp.105-124, 2010.
12 조윤경, "결혼이민자를 위한 문학 교육 방법," 한국어교육연구, Vol.1, pp.135-149, 2014.
13 임금복, "영화 <내 마음의 풍금>에 나타난 한국문화교육 방안," 새국어교육, No.82, pp.309-330, 2009.   DOI
14 김영주, "전래동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방안," 새국어교육, No.80, pp.97-124, 2008.   DOI
15 박송희, "스토리텔링을 통한 한국 고전문학 교육방안," 우리문학연구, Vol.52, pp.159-188, 2016.
16 이소영, "민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방안," 스토리앤이미지텔링, Vol.1, pp.145-163. 2011.
17 이소영,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속담 교육 방안," 스토리앤이미지텔링, Vol.10, pp.213-229, 2015.
18 권경미, "세계시민 양성을 위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한국문화연구, Vol.26, pp.187-213, 2014.   DOI
19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과제별 스토리텔링 수행능력에 관한 소고," 우리어문연구, Vol.44, pp.361-387, 2012.
20 곽경숙,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의 스토리텔링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광신논단, Vol.23, pp.215-235, 2013.
21 신정아,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교육방안," 어문론총, Vol.73, pp.185-208, 2017.
22 신정아, "한국어교육의 그림책 활용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학, Vol.106, pp.269-304, 2018.
23 김하나, 김순례, "설화 스토리 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수 방안," 인문학연구, Vol.21, pp.195-220, 2016.
24 고경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스토리앤이미지텔링, Vol.1, pp.11-34, 2011.
25 김지혜, "한국어 학습자의 이야기 구성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 Vol.22, No.3, pp.77-97, 2011.   DOI
26 신정아, "단편영화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동아인문학, Vol.51, pp.257-288, 2020.
27 구민지, 김원경, "유학생 대상 한국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사례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Vol.14, No.3, pp.29-49, 2017.
28 고경민,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육방안," 스토리앤이미지텔링, Vol.5, pp.39-59, 2013.
29 나은영, 나은주,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에 관한 연구," 새국어교육, No.99, pp.235-260, 2014.   DOI
30 김현영, 김현진, "디지털 스토리텔링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토리 생성과정에 나타난 상황학습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Vol.11, No.2, pp.25-57, 2018.
31 김대행, 우한용, 정병헌, 윤여탁, 김종철, 김중신, 김동환, 정재찬,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9.
32 김영순, 허숙, 응웬뚜언아잉, "결혼이주여성의 자기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표현교육 사례연구," 비교문화연구, Vol.25, pp.695-721, 2011.   DOI
33 김규훈, "서사적 의미 소통의 스토리텔링 분석틀-한국어교육을 위한 서사표현교육 담론 탐색," 한국언어문화학, Vol.12, No.1, pp.23-50, 2015.
34 채영희, 이미지, "스토리텔링 기법을 통한 한국어 교재 구성,"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국제학술발표논문집, Vol.2009, pp.251-260, 2009.
35 차순정,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어 문법교육," 한어문교육, Vol.29, pp.33-54, 2013.
36 정재찬, 최인자, 김근호, 염은열, 이지영, 최미숙, 김혜련, 박용찬, 남민우, 김성진, 조희정, 박기범, 문학교육개론1, 역락, 2014.
37 엄나영, 성은주, "전래동화를 중심으로 한 자기문화 스토리텔링 활용 한국어 말하기 능력 신장 방안 연구," 한국언어문화학, Vol.9, No.2, pp.179-210, 2012.
38 김지혜, "그림 보고 말하기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간접인용 표현 교육연구," 동남어문논집, Vol.1, No.30, pp.359-381,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