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2.135

An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Practice of Maeul Community Media  

Kim, Eun-Gyoo (우석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maeul community media as follows; Who, why, and how the role of participants i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and the participation requirements. For this purpose, the maeul newspaper published in rural areas was approached by ethnographic Research, and participation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were performed.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harmonious participation of residents is the core condi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practice. Residents' participation is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spontaneity, openness, talent donation, and local relationship. Spontaneity is a desire and effort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Openness is related to the operation structure of maeul community media where anyone can freely participate. Talent donation is based on their experience, knowledge, and expertise as a concrete practice of resident participation. Local relationship is the network of community that connects spontaneity and practice, and the operating structure of maeul community media. These requirements should be operated positively to ensure the function of maeul community media and sustainability.
Keywords
Maeul Community Media; Maeul Newspaper; Local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조항제, "지역방송의 지역성 변화: 개념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보, 제34호, pp.275-305, 2006.
2 김재영, 한상헌, "지역방송발전위원회를 향한 기대와 현실," 언론과학연구, 제15권, 제3호, pp.67-96, 2015.
3 김예란, 김용찬, 채영길, 백영민, 김유정, "공동체는 발명되어야 한다; 서울시 마을미디어 형성과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1호, pp.40-74, 2017.
4 채영길, 김용찬, 백영민, 김예란, 김유정, "서울시 마을공동체미디어와 공동체 공론장의 분화와 재구성," 커뮤니케이션이론, 제12권, 제2호, pp.4-46, 2016.
5 채영길, "마을미디어의 참여와 정치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언론과사회, 제21권, 제1호, pp.141-194, 2017.
6 강진숙, 이은비, "공동체 라디오 DJ의 미메시스적 실천과 유희성 연구: 창신동 라디오방송국 '덤'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 제25권, 제2호, pp.37-66, 2013.   DOI
7 강진숙, 이은비, "서울마을미디어의 다중 실천과 문화정치적 의미에 대한 연구: 네그리와 하트의 '다중'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과커뮤니케이션, 제15권, 제3호, pp.143-185, 2014.
8 김은규, "마을만들기와 마을공동체미디어의 호혜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47호, pp.5-45, 2017.   DOI
9 정용복, "마을공동체미디어 생산자의 미디어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1호, pp.153-186, 2017.
10 김은규, "마을만들기를 위한 마을공동체미디어 실천에 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60호, pp.83-128, 2021.   DOI
11 김일웅, "지속가능한 마을미디어 운영에 필요한 것들," 2020 마을공동체미디어 컨퍼런스 자료집,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pp.110-113, 2020.
12 나미수, 미디어 연구를 위한 질적 방법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
13 지역문화연구공동체, 기록과 기억의 문화사: 삼례, 역과 장의 타임캡슐, 완주문화재단, 2017.
14 이민교, 동학농민혁명과 완주 삼례, 화성출판사, 1997.
15 정은경, "마을공동체미디어의 역할과 의의," 2020 마을공동체미디어 컨퍼런스 자료집,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pp.144-149, 2020.
16 이희랑, 김희영, "마을미디어 실천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82호, pp.75-121, 2017.
17 김광모, "우수정책사례: 삼례문화예술촌 조성 사업," 월간 공공정책, 제144호, pp.71-71, 2017.
18 호남지방통계청, 2020년 호남.제주지역 귀농어.귀촌인 현황 및 분석, 호남지방통계청, 2021.
19 김왕중, "지역소식: 우리들이 찍은 사진 보러 오세요," 삼례사람들, 2020년 12월호, p.2, 2020.
20 강진숙, 소유석, "공동체 라디오 동작FM의 다중참여와 실천사례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60권, 제5호, pp.292-318, 2016.   DOI
21 시청자미디어재단, 전국 미디어센터 및 마을공동체미디어 강사운영 현황 조사, 시청자미디어재단, 2019.
22 김규남, "삼례시장 사람들의 시민정신을 기리며 2," 삼례사람들, 2020년 3월호, p.3,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