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1.611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Kim, Jae Hyun (단국대학교 보건행정학과/ 단국대학교 디지털라이프융합연구소)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2017, 201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s. For the analysis, demographic and economic variables as well as health status/behavior variables were considered. Activity restriction (OR: 4.753, p-value: <.0001) and smoking status (OR: 2.013, p-value: 0.044)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in terms of suicidal ideation, household income (OR: 3.526, p-value: 0.043), subjective health status (OR: 2.945, p-value: 0.007), activity restriction (OR: 2.263, p-value: 0.003) and smoking status (OR: 2.000, p-value: 0.023)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In this regard, single-person households are likely to experience psychological angst, and further experience mental problems due to socio-economic and physical cri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network system in the community to detect those in need an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s to prevent harmful outcomes.
Keywords
Single-Person Household; Depression; Suicidal Ideation; Factor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은택, 강정구, 마광래, "1인가구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3-23, 2016.
2 박보영, 권호장, 하미나, 범은애, "부부가구와 1인가구 노인의 정신건강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30권, 제2호, pp.195-205, 2016.   DOI
3 L. S. Berlin, M. C. Covey, Donohue, and V. Agostiv, "Duration of smoking abstinence and suicide-related outcomes," Nicotine Tob Res, Vol.13, pp.887-893, 2011.   DOI
4 통계청, 2016년 사망원인통계, 2016.
5 보건복지부,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하위 법령 수립지원 연구, 2020.
6 강영호, "사회 경제적 건강불평등에 대한 생애적접근법,"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3호, pp.267-275, 2005.
7 강은나, 이민홍, "우리나라 세대별 1인가구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234권, pp.47-56, 2016.
8 R. Furihata, M. Uchiyama, and S. Takahashi,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problems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 Japanese nationwide general population survey," Sleep Med, Vol.13, pp.831-837, 2012.   DOI
9 홍진표, 이동우, 함봉진, 이소희, 김선웅,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삼성서울병원, 2017.
10 R. Charlier, S. Knaeps, E. Mertens, E. Van Roie, C. Delecluse, J. Lefevre, and M Thomis, "Age-related decline in muscle mass and muscle function in Flemish Caucasians: a 10-year follow-up," Age(Dordr), Vol.38, No.2, p.36, 2016.   DOI
11 하지경, 이성림, "1인가구의 건강관련 습관적 소비, 생활시간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제55권, 제2호, pp.141-152, 2017.
12 T. S. Kim and D. J. Kim,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Korean J Psychopharmacol, Vol.18, pp.393-398, 2007.
13 강모성, 전영주, 손태흥, "기혼중년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3권, 제1호, pp105-134, 2008.
14 최성재, 장인협, 노인복지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9.
15 이석환, 최조순, 경기도 1인 가구 특성 분석연구, 경기복지재단, 2015.
16 김연옥, "1인 가구 시대의 도래: 특성과 생활실태," 한국가족복지학, 제52호, pp.139-148, 2016.   DOI
17 정경희, 남상호, 정은지, 이지혜, 진미정, 가족구조 변화에 따른 정책적 함의 : 1인가구 증가현상과 생활 실태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8 손정남, "독거노인과 비독거노인의 자살생각 관련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21권, 제2호, pp.118-126, 2012.
19 Statistics Korea, Single-person households ratio in Korea. Daejeon: Statistics Korea. 2015.
20 통계청, 2017-2047 장래가구특별추계, 2019.
21 신미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정신건강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2013, 2015, 2017),"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4권, 제4호, pp.11-23, 2019.
22 손신영, 우리나라 노인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제8권, 제2호, pp.146-60, 2014.
23 서가원, 송영신,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감이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간호학회, 제19권, 제2호, pp.71-81, 2016.
24 김소연, 서민숙, 서영준,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489-498, 2018.
25 김은경, 박숙경, "우리나라 여성 1인가구와 다인가구 여성의 건강행태 및 질병이환율 비교: 2013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pp.483-494, 2016.
26 변미리, "도시에서 혼자 사는 것의 의미: 1인 가구 현황 및 도시정책 수요,"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제21권, 제3호, pp.551-573, 2015.
27 정인, 김회민, 2018 한국 1인가구 보고서, 서울: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2018.
28 홍재은, 정민희, "1인 가구 노인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노년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45-162, 2021.
29 김화진, 김경신,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3권, 제6호, pp.115-28, 2015.   DOI
30 김소연, 서민숙, 서영준, "1인가구원의 자살생각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웰니스학회지, 제13권, 제3호, pp.489-498, 2013.
31 E. W. John, "Standards for validating health measures: definition and content," Journal of Chronic Disease, Vol.40, No.6, pp.473-480, 1987.   DOI
32 L. T. Wu and J. C. Anthony, "Tobacco smoking and depressed mood in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Am J Public Health, Vol.89, pp.1837-1840, 1999.   DOI
33 J. H. Kim, K. R. Kim, K. H. Cho, K. B. Yoo, J. A. Kwon, and E. C. Park,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self-rated health in the Korean general population," J Clin Sleep Med, Vol.9, No.10, pp.1057-1064, 2013.   DOI
34 박명화, 최소라, 신아미, 구철회,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활용한 우울 노인의 특성 분석," 한국간호과학회, 제43권, 제1호, pp.1-10, 2013.
35 J. K. Ha and S. L. Lee, "The effect of health-related habitual consumption and lifetime on subjective health of one person household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non-one person households and generation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5, No.2, pp.141-152, 2017.   DOI
36 T. H. Kim and E. J. Han, "Relationship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iving-Alone Elderly People," Journal of Family Relations, Vol.9, No.3, pp.81-106, 2004.
37 C. B. Bares, "Gender, depressive symptoms, and daily cigarette use," Journal of Dual Diagnosis, Vol.10, No.4, pp.187-196, 2014.   DOI
38 J. H. Moon, J. A. Liton, J. H. Choi, J. Kim, J. Lee, and Y. Jo, "Correl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 Group: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4, pp.383-388, 2019.   DOI
39 S. K. Bae, T. Um, and E. J. Lee, "A Study of the Effec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Lone Senior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2, No.4, pp.5-30, 2012.   DOI
40 김영주, "성별에 따른 성인 독신가구와 다가구간의 건강행위 비교,"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3권, 제2호, pp.219-231, 2009.   DOI
41 J. Y. Tsoh, G. L. Humfleet, R. F. Munoz, V. I. Reus, D. T. Hartz, and S. M. Hall, "Development of major depression after treatment for smoking cessation," Am J Psychiatry, Vol.157, pp.368-374, 2000.   DOI
42 최유정, 이명진, 최샛별, "가구형태와 사회적 관계의 객관적, 주관적 측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21권, 제3호, pp.25-51, 2016.   DOI
43 김태완, 윤상용, "빈곤과 우울감 간의 관계: 도농비교를 중심으로," 농촌경제, 제38권, 제2호, pp.147-171, 2015.   DOI
44 전현규, 심재문, 이건창, "국내성인에 있어서 우울증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64-281, 2015.   DOI
45 N. T. Ayas, D. P. White, W. K. Al-Delaimy, J. E. Manson, M. J. Stampfer, F. E. Speizer, S. Patel, and F. B. Hu, "A prospective study of self-reported sleep duration and incident diabetes in women," Diabetes Care, Vol.26, No.2, pp.380-384, 2003.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