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1.456

Relationship Study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with Occupational Values, Career Decision Standards, and Quality of Life of College Students Intended for Design Students  

Lee, Hee-Young (삼육대학교 아트앤디자인 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social support of college students has with their occupational values, career decision, and quality of life. Subjects of study were art and design college students in Seoul. Social support, occupational values, career deci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measured as criteria. SPSS and AMOS were used to test structural model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internal and external occupational values were studied. Second,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satisfaction and happiness-were studied. Third, effects of occupational values on career decision standards were studied. External occupational val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areer decision, while internal occupational values were found to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Based on th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colleges which need to support the careers and employment of students must support students with informa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Design students must be provided with proper career coaching and environment improvement, as well as development of programs suitable for various talents and aptitudes, so that they can shape appropriate occupational values.
Keywords
Social Support; Occupational Values; Career Decision Standards; Quality of Life; Art and Design Major; Program Develop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정혜윤, 외모 만족과 사회적지지가 연기 전공 학생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 박영숙, 심상신, "한국 청소년의 삶의 질과 인간관계," 한국교육 심리학회 학술대회, 제25권, 제2호, pp.85-125, 2005
3 이백령,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 효능감, 직업 가치관이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4 M. Benjamin, "Toward a Theory of Student Satisfaction : An Exploratory Student of the Quality of Student Lif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36, No.6, pp.574-586, 1994.
5 F. Andrews and S. Withey,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Plenum, 1976.
6 박상란, 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진로 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과 진로 준비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7 민소라, 김영택, 이슬기, "항공 서비스학과 재학생의 전공 만족도가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평생교육HRD연구, 제15권, 제3호, pp.9-13, 2019.
8 김수진, 관광 관련 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에 따라 진로 신화가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9 S. Cobb,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Vol.38, No.5, pp.300-314, 1976.   DOI
10 오은연, 직업체험을 활용한 진로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 정체감과 직업 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11 고향자, 한국 대학생의 의사결정 유형과 진로 결정수준의 분석 및 진로 결정 상담의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12 S. Cohen and H. M. Hoberman,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k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3, No.2, pp.99-125, 1983.   DOI
13 최수남, 복지관광이 사회적 자본 형성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4 김경아, 대학생의 직업가치와 사회적 지지가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5 윤가현, "고령자의 건강과 정서적 지지," 한국 노년학 연구, 제21권, 제10호, pp.151-153, 2012.
16 T. A. Judge and R. D. Bretz, "Effects of Work Value on Job Choice Decisio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No.3, pp.261-271, 1992.   DOI
17 최일수,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 결정 요인에 관한 경험적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8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areer choice: A social cognitive uri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Psychlogy, Vol.47, No.1, pp.36-49, 2002.
19 서보람,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전공 만족도, 사회적 지지,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진로 준비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0 D. E. P. Schultheiss, H. M. Kress, A. J. Manzi, and J. J. Glasscock, "Relational influences in career development: A qualitative inquiry,"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29, No.2, pp.214-239, 2001.
21 T. C. Antonucci, Social support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L.K. George (Ed.), Handbook of aging and the social sciences, New York, NY: Academic Press, pp.205-226, 1990
22 박지원, 사회적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5.
23 임혜영, 전문대학생의 직업 가치관과 전공 선택 동기가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2018.
24 한예정, 대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가 직업 가치관에 따른 수업 참여도와 전공 만족도, 취업 준비 행동과의 영향 관계 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25 S. E. Super(Ed.)., "Life Roles, Values, and Careers :International Findings of the Work Importance Study,"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1995
26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자기 진로 효능감과 고용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교육학 연구, 제50권, 제3호, pp.182-185. 2012.
27 강소희, 계획된 우연 기술과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8 J. S. House,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enlo Park, CA: Addison-Wesley Publishing, 1981.
29 https://blog.naver.com/osima5252/222273031552, 2021. 04. 21.
30 김현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 진로 결정 수준,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 및 진로 준비 행동 간의 구조 관계 분석,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31 M. Olsen and D. Merwin, "Toward a Methodology for Conducting Social Impact Assessments Using Quality of Life Indicators," Methodology of Social Impact Assessment: edited by Kurt Finsterbusch and Charles Wolf, pp.43-63, 1977.
32 이상길, "자기 효능감과 진로 결정수준에 대한 고교생과 대학생 및 성별 간의 차이," 한국진로교육학회, 제21권, 제3호, pp.221-223, 2008.
33 임은미, 장선숙, "인터넷 활용 진로 정보탐색 프로그램의 즉시적 효과와 지속적 효과: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수준과 진로 의사결정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제18권, 제4호, pp.142-145, 2004.
34 E. Ginzberg and J. L. Herma,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1.
35 강선영, 아이덴티티 발달 수준과 진로 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36 심호규, 부모의 진로 기대와 애착 수준이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7 G. A. Meeberg, "Quality of lif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18, No.1, pp.32-38, 1993.   DOI
38 안태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 신념과 사회적 지지 요소,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9 M. Benjamin, "Toward a Theory of Student Satisfaction: An Exploratory Student of the Quality of Student Lif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Vol.36, No.6, pp.574-586, 1994.
40 F. Andrews and S. Withey,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 York:Plenum,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