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1.415

A Study on the Sophie Deraspe's (2019) as a Typical Film of 'New Quebec Cinema'  

Kang, Nae-Young (경성대학교 연극영화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nadian Film Director Sophie Deraspe's . Director Sophie Deraspe adapted a Greek Sophocles's novel to the Film in a modern way. For this study, adopt two research methodologies which are 'Author-structuralism' and 'culture studies', and explore traits of esthetics, narrative, subject and context meaning by analyzing . This study concludes that Firstly director Sophie Deraspe is a 'Quebecious writer-director' who represents cultural identity of contemporary Qubec, Secondly, express immigrants in Qubec using Greek Sophocles's novel tragedy as an allegory in narrative, Thirdly, enhances the dramatic effect in esthetics using virtual mise-en-scene as insert, fantasy, SNS, etc. And lastly, can confirm re-territorializing the cultural identity from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ast tradition to the universal hybridity discours in subject. Therefore, Sophie Deraspe's is a work that symbolizes a new trend of 'New Quebec Cinema' in Canada.
Keywords
Sophie Deraspe; Antigone; Canadian Movie; Sophocles; Quebec director; New Quebec Cinema; Auteur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로버트 스탐, 김병철 역, 영화이론(Film Theory), K-books, p.151, 2012.
2 김로유, 퀘벡영화의 아토피아, 헤테로토피아 - 드니아르캉, 자비에 돌란 영화의 공간 재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3 연합뉴스, 영화 속 그 곳: 안티고네, 2021. https://www.yna.co.kr/view/AKR20210113158900805
4 이인숙, "자비에 돌란 영화에 나타난 퀴어 의미 연구," 프랑스문화예술연구, 제66권, pp.59-84, 2018.   DOI
5 퀘벡학연구모임, 퀘벡, 재현된 역사 혹은 역사의 재현, 아무르문디, 2017.
6 이희승, "소포클레스 비극의 영화적 각색 연구: 소피 데라스페의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제1권, 제35호, pp.67-83, 2021.
7 이송이, "자비에 돌란(Xavier Dolan)의 <로렌스 애니웨이(Laurence Anyways)>, <탐앳더팜(Tom a la ferme)>에 나타난 탈정체성의 공간화," 프랑스문화연구, 제35권, 제2호, pp.189-214, 2017.   DOI
8 From Greek tragedy to Bill 21, Quebec film An tigone bridges millenniums, Montreal Gazette, 2019. https://montrealgazette.com/entertainment/local-arts/from-greek-tragedy-to-bill-21-quebec-film-antigone-bridges-millenniums
9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펭귄클래식코리아, p.131, 2013.
10 김도훈, 퀘벡영화의 클리세, 이화여대출판원, p.384, 2019.
11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지만지드라마, pp.48-49, 2019.
12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지만지드라마, p.79, 2019.
13 이민희, 역사영웅 서사문학의 세계, 서울대학교출판부, pp.190-191, 2009.
14 김도훈, 퀘벡영화의 클리세, 이화여대출판원, 2019.
15 소포클레스, 안키고네, 지만지드라마, p.127, 2019.
16 최영진, 아테네의 비극과 민주주의: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p.468, 2010.
17 최혜영, "안티고네 담론 소포클레스 및 세네카, 장 아누이, 브레히트를 중심으로 본 소재의 변용," 서양고전학연구, p.152, 2007.
18 이유경, 고전 문학 속의 여성영웅 형상 연구, 보고사, p.26, 2012.
19 Antigone: Film Review, Hollywood Reporter, 2019. https://www.hollywoodreporter.com/movies/movie-reviews/antigone-1241323/
20 이반, 희랍 비극 chorus의 기능에 대한 연구: 소피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왕>과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숭실어문, p.268, 1998.
21 이명호, 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 하는가?, 문학동네, p.92, 2014.
22 아마르티아 센, 정체성과 폭력, 바이북스, p.191, 2020.
23 이명호, 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 하는가?, 문학동네, p.61, 2014.
24 스튜어트 홀, 임영호 편역, 스튜어트 홀의 문화이론, 한나래출판사, p.9, 2005.
25 조셉 캠벨, 신화의 힘, 이끌리오, pp.229-235, 2002.
26 민윤영, "안티고네 신화의 법철학적 이해," 한국법철학연구, 제14권, 제2호, p.74, 2011.
27 소포클레스, 안티고네, 지만지드라마, p.138, 2019.
28 수잔 손택, 타인의 고통, 이후, p.223, 2011.
29 로절린드, 모리스,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파르타 차테르지, 리투 비를라, 드루실라 코넬,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그린비, p.79, 2019.
30 BIFF에서 만난 영화인: 소피 데라스페/니에마 리치, 부산일보, 2019.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9100719175026938
31 All you need to know about Antigone: Canad a's international feature entry for Oscars, CBC, 2019. 12. 10. https://www.cbc.ca/news/entertainment/antigone-film-sophie-deraspe-montreal-canada-1.5387205
32 The Film Stage, TIFF Review: 'Antigone' Turns the Ancient Tragedy of Sophocles into a Conte mporary Triumph, 2019. https://thefilmstage.com/tiff-review-antigone-turns-the-ancient-tragedy-of-sophocles-into-a-contemporary-triumph/